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민사수(民使首; 미타미노츠카히노오비토)

민사수(民使首; 미타미노츠카히노오비토)
 고향촌주(高向村主; 다카무쿠노스구리)와 조상이 같으며, 보덕공(寶德公)의 후손이다.
 
【주석】
1. 민사수(民使首)
민사(民使)의 씨명은 대화 조정 직할령의 인민 관리를 위해 파견된 직장명에서 유래한다. 민사수의 옛 성은 회우민사(檜隅民使, 檜前隅民使)이고 후에 회전민사수(檜前民使首)를 받았다. 『일본서기』 웅략기(雄略紀) 8년(464) 2월조에 “회우민사박덕(檜隅民使博德)을 오국에 파견했다”는 기록이 보인다. 민사씨의 수(首) 성 인물로는 신구(神龜) 3년부 「산배국애탕군운하리계장(山背國愛宕郡雲下里計帳)」(『大日本古文書』1-353)에 회전민사수지두미매(檜前民使首志豆米賣)가 나온다. 민사수씨(民使首氏)의 동족으로는 『속일본기』 보귀(寶龜) 원년(770) 3월조에 민사비등일리(民使毗登日理)가 있다. 천평(天平)5년부 「은기국정세장(隱伎國正稅帳)」(『대일본고문서』1-460)에 민사고마려(民使古麻呂), 천평(天平) 10년 2월 8일부 「경사등행사수실(經師等行事手實)」(『대일본고문서』 7-127)에 민사석산(民使石山), 천평 11년 4월 15일부 「사경사계(寫經司啓)」(『대일본고문서』 2-162)에 민사마려(民使麻呂) 등도 일족으로 생각된다.
2. 고향촌주(高向村主)
우경 제번(하) 「고향촌주」 조(852) 참조.
3. 보덕공(寶德公)
보덕공에 대해서는 우경 제번(하) 「운제련(雲梯連)」 조(853)에도 보인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민사수(民使首; 미타미노츠카히노오비토)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10_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