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사대문궤

승리한 중국 병사들이 철수할 경우 왜노(倭奴)가 다시 침범할 경우에 대한 대응책 등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선국왕에게 보낸 자문(咨文)

68. 經略咨會審察倭情商確戰守
  • 발신자
    欽差經略薊遼保定山東等處防海禦倭軍務兵部右侍郞 宋
  • 발송일
    1593년 3월 7일(음)(萬曆二十一年三月初七日)
  • 출전
    事大文軌 卷3: 81b-83b / 『壬辰倭亂 史料叢書 1~8 對明外交』(국립진주박물관, 2002 영인본) 1책: 164~168쪽
68. 經略咨會審察倭情商確戰守주 001
각주 001)
본 문서의 내용과 관련된 기사가 송응창의 『經略復國要編』에도 실려 있다(宋應昌, 『經略復國要編』 卷七).
닫기
 
欽差經略薊遼保定山東等處防海禦倭軍務兵部右侍郞 宋,
爲 倭情 事.
 
據 李提督 稟稱.
二月十八日, 差家丁査慶等, 同朝鮮通事, 哨至王京東門外, 遇見倭奴四名打草, 各丁卽向前射砍賊, 跑走活捉倭奴一名愼八羅到職, 譯審. 得本倭供稱, 倭兵屢戰, 傷損甚多. 但懼關白法度, 不敢回巢. 王京城內, 見有三四萬, 聯結八營, 城外龍山館, 平行長結營三處. 又去討關白示下, 關白說, 平壤開城去年已取, 如何輕棄, 傳知衆倭死守王京. 要在三月間, 自領兵二十餘萬, 一半前來王京, 合兵拒敵, 一半沿海分, 犯中國. 等情.
又據 李提督 塘報.
本月二十日, 密遣哨丁金子貴等, 同朝鮮通事, 潛夜前去, 倭賊屯箚處所, 將龍山館積貯糧草二十三處, 乘西北風, 用明火毒火, 火箭齊發飛射, 倉房草垜盡行焚燒. 賊見火箭飛空, 不知我兵虛實, 伏不敢救. 次日放火自燒南關房屋. 又探得咸境道倭奴, 往南行走由高山鐵山館, 離王京二百餘里, 奔集王京去訖. 看得, 倭賊結營城外, 實畏我兵, 今因焚糧絶食, 遂自燒房, 倭賊雖衆, 勢難久持, 因而退走未可知也. 等情.
續又據 李提督 報稱.
據 原差家丁査慶等 報稱. 倭奴約有三四百, 自辰時渡江, 至申時止, 陸續過去, 次日復還. 等情.
各到部. 照得, 本部奉命統兵救援屬國, 自攻取平壤, 以至開城, 及碧蹄館, 屢戰屢勝. 欲乘破竹之勢, 取王京以全朝鮮, 滅醜類以絶禍本, 因時値天雨, 道路泥濘, 兵馬不便馳驟. 以故稍俟晴乾, 令倭奴倂集王京, 內外固守, 是待關白救援之兵, 萬一有此彼衆我寡, 只得分兵拒守, 久持所費不貲. 倘倭奴因勢敗而逃遁, 或因許其通貢而走回, 該國地廣兵微, 防守頗難. 若欲議留中國官兵, 該國糧蒭不敷, 犒賞全無. 自救援以來, 中國已費百萬金, 軍士尙爾淡食, 塩醬腥葷, 竝未入口, 若以强留, 久必生變. 如中國之兵, 盡數撤回, 倘倭奴覘知, 復犯該國, 兵力旣單, 軍火器械又無, 未知作何拒守. 是又不可不爲之遠慮也. 擬合咨會. 爲此, 合行移咨前去, 煩爲督令該國陪臣, 會同大小官員, 悉心講求, 廣集衆議. 目今倭奴設有救兵, 前來中國兵馬分防外, 該國兵馬, 應該作何拒守. 糧料草束, 何處搬運, 有無足用. 若倭奴逃去, 我兵凱旋, 王京開城平壤等處, 撥何處官兵, 作何守禦. 若倭衆復來突犯, 應該作何拒堵, 軍兵是否足恃, 器械有無完備, 能否保全. 若欲請留中國之兵, 應用糧草器甲軍裝, 作何備辦, 有何銀兩堪以動支. 若糧草不敷, 器具不備, 留之必難, 八道官兵, 應否召集, 遂一從長酌議明悉, 文到五日內, 咨復前來, 以憑酌處施行.
須至咨者.
右咨朝鮮國王.
 
萬曆二十一年三月初七日.

  • 각주 001)
    본 문서의 내용과 관련된 기사가 송응창의 『經略復國要編』에도 실려 있다(宋應昌, 『經略復國要編』 卷七).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승리한 중국 병사들이 철수할 경우 왜노(倭奴)가 다시 침범할 경우에 대한 대응책 등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선국왕에게 보낸 자문(咨文) 자료번호 : sdmg.d_0001_06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