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압부(鴨部; 가모베)

압부(鴨部; 가모베)
 어간성입언오십경식천황(御間城入彦五十瓊殖天皇; 미마키이리히코이니웨노스메라미코토)[시호는 숭신(崇神; 스진)이다.]의 후손이다.
 
【주석】
1. 압부(鴨部)
압부씨(鴨部氏)는 일문(逸文-9) 「하무조신(賀茂朝臣)」 조에도 게재되어 있다.
압부(鴨部; 가모베)의 압(鴨; 가모)은 하무(賀茂; 가모)라고도 쓴다. 율령제하 대화국(大和國) 갈상군(葛上郡) 상부향(上鳬鄕), 하부향(下鳧鄕)의 부(鳧; 가모)라는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의 나량현(奈良縣) 어소시(御所市) 즐라(櫛羅), 소림(小林), 삼실(三室), 죽전(竹田) 일대에 해당된다.
하내국 압부씨 일족으로는 『속일본후기』 승화(承和) 3년(836) 5월 정사조에는 “하내국(河內國) 사람 산위(散位) 압부선주(鴨部船主)와 무산위(武散位) 압부씨성(鴨部氏姓) 등이하무조신(賀茂朝臣)이라는 성을 받았다”라고 하고, 속수좌웅명(速須佐雄命)의 후손이라 기록되어 있다.
「천평 3년(731) 9월 2일자 대안사(?) 청경첩상[天平三年九月二日付 大安寺(?)請經牒狀]」(『대일본고문서』 7-32)에 나오는 압부마좌(鴨部麻佐), 천평 15년(743) 4월 1일 시(始)「일체경본충병납지장(一切經本充竝納紙帳)」(『대일본고문서』 8-171)의 압부을만려(鴨部乙万呂), 천평보자 4년(760) 4일자 「압부사만려해(鴨部蓑万呂解)」(『대일본고문서』 4-399)의 압부사만려(鴨部蓑万呂), 천평보자 6년(762) 12월 6일 「봉사관정경료전용장(奉寫灌頂經料錢用帳)」(『대일본고문서』 16-19)의 압부병족(鴨部竝足) 등이 보인다. 그런데 일문(逸文)「하무조신(賀茂朝臣)」 조에는 “대화국(大和國), 아파국(阿波國), 찬기국(讚岐國) 등의 하무숙녜(賀茂宿禰)가 압부(鴨部) 등의 조상이다”라고 적혀 있다. 또 “원강국(遠江國), 토좌국(土佐國) 등의 하무숙녜가 압부 등의 조상이다”라고 기재되어 있어 대화, 아파, 찬기, 원강, 토좌 등의 제국(諸國)에도 압부씨가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미정잡성에 기재된 하내국 압부씨 일족이라고 단정하기 어렵다.
2. 어간성입언오십경식천황(御間城入彦五十瓊殖天皇)
숭신천황(崇神天皇)에 관해서는 좌경(左京) 황별(하) 「하모야조신(下毛野朝臣)」 조(097)숭신천황 참조.
압부씨는 어간성입언오십경식천황(御間城入彦五十瓊殖天皇)의 후손이라 주장하고 있다. 하내국 압부씨는 사서에 나오지만, 압부와 숭신천황의 관계를 설명해 주는 기록이 「고기」 와 「구전」 등에 존재하지 않아 세운 조상도 의문시되어 미정잡성에 기재된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압부(鴨部; 가모베)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12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