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왕암동유적

  • 저필자
    최재도(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
  • 날짜
    2001
  • 시대
    원삼국~조선
  • 위치
  • 원소장처
    충청북도 제천시 왕암동 산 50-1번지일대
  • 시대
    상고사
  • 유형
    복합
입지
2001년 중앙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하였으며 원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에 해당하는 유구와 유물이 확인되었다.
유적개관
발굴조사는 모두 8개 지구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왕암동 고인돌 유적도 함께 조사되었다. 왕암동 유적은 원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에 해당하는 건물지·분묘·생산관련유구·수혈유구 등이 확인되었다. 건물지의 경우 1동이 조사되었으며 고려~조선시대에 해당하는 수혈주거지 11기가 조사되었다. 원삼국~조선시대에 이르는 수혈 유구 29, 석렬 유구 3기가 조사되었고 토기류·도기류·청자류·분청사기·백자·청동발·청동숟가락 등이 출토되었다. 이 중 수혈유구에서 다량의 원삼국시대 타날문 토기가 출토되어 제천 지역의 원삼국시대 토기 문화 연구에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출토유물
* 토기류, 도기류, 청자류, 분청사기, 백자, 청동발, 청동 숟가락 등, 타날문 토기
참고문헌
중앙문화재연구원, 「제천 왕암유적」, 2002
충북대학교박물관·제천시, 「문화유적분포지도-제천시」, 2004
해설
충청북도 제천시 왕암동 산 50-1번지 일대에 위치하는 원삼국~조선시대의 복합유적이다. 왕암동 일대는 북쪽이 높고 남쪽이 낮은 지형으로 백곡산에서 발원한 백곡저수지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소하천이 농경지에 관개하여 벼농사가 발달한 곳이다.
제천시에서 중부 내륙지방의 산업단지 육성발전을 위하여 제천지방산업단지 건설을 왕암동 일대에 계획하면서 2001~2002년 중앙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조사를 시행하였다. 발굴 조사는 모두 8개 지구로 나누어 실시하였고, 왕암동 고인돌[지석묘(支石墓)] 유적도 함께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원삼국~조선 시대에 해당하는 건물지, 무덤, 생산관련 유구, 구덩유구[수혈유구(竪穴遺構)] 등이 확인되었다. 조선시대 건물지 1기가 조사되었으며, 원삼국∼조선 시대에 이르는 구덩유구 29기, 석렬유구(石列遺構)] 3기가 조사되었다. 또한 고려∼조선 시대에 해당하는 주거지 11기, 조선 시대 움무덤[토광묘(土壙墓)] 30기가 등 총 84기의 다양한 유구들이 확인되었다.
8개 지구 중 원삼국~삼국시대의 유구 및 유물은 일부에서만 주로 확인되었다. Ⅳ지구는 Ⅳ-1지구와 Ⅳ-2지구로 나누어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Ⅳ-2지구에서 삼국시대의 구덩유구 3기 및 조선시대로 추정되는 토광묘 7기, 시기미상의 석렬유구 및 구덩유구 각 1기가 확인되었다. 이중 삼국시대의 구덩유구에서 다량의 토기 조각이 출토되어 주목되며, 쇠낫[철겸(鐵鎌)] 등도 출토되었다. Ⅴ지구에서는 통일신라 돌덧널무덤[석곽묘(石槨墓)] 1기, 삼국~고려시대에 이르는 구덩유구 7기 및 석렬유구 2기, 조선시대로 추정되는 토광묘 17기, 시기미상의 고상가옥 2기 등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유물은 구덩유구 및 석렬유구에서 주로 출토되는데, 적갈색 무늬가 찍힌[타날문(打捺文)] 무른토기[연질토기(軟質土器)]와 회색 및 회청색의 무늬가 찍힌 토기 조각과 함께 쇠도끼[철부(鐵斧)] 등이 출토되었다. Ⅷ지구에서는 삼국~고려시대에 이르는 수혈유구 9기 및 수혈무리[군(群)] 등이 확인되었다. 유물은 적갈색 무른[연질(軟質)]토기, 동이류, 청자 조각도 일부 확인되었다. 왕암동 유적에서 유물은 토기류, 도기류, 청자류, 분청사기, 백자, 청동바리[동제발(銅製鉢)], 청동 숟가락[동제시(銅製匙)] 등 575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제천 지역은 고고학적 조사가 활발하지 못하여 연구 결과가 적은 지역이다. 이러한 지역에서 발굴 조사가 진행된 왕암동 유적은 원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는 오랜 기간의 문화 양상을 보여주는 대표적 유적으로 의미가 크다. 특히 Ⅳ-2지구의 구덩유구 등에서 다량의 원삼국시대의 무늬가 찍힌 토기가 출토되어 제천지역의 원삼국~삼국시대 토기문화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확보했다는 데 의미가 크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왕암동유적 자료번호 : isea.d_0001_0030_0150_002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