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출운신(出雲臣; 이즈모노오미)

출운신(出雲臣; 이즈모노오미)
 같은 신의 아들 천일명조명(天日名鳥命; 아메노히나토리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출운신(出雲臣)
출운(出雲; 이즈모)이라는 씨명은 율령제하의 출운국(出雲國), 즉 현재의 도근현(島根縣)에서 비롯된 것이다. 다만 본조 출운신씨의 본거지는 산성국(山城國) 애탕군(愛宕郡) 출운향(出雲鄕), 즉 현재의 경도시(京都市) 북구(北區)의 소산(小山)·안마구(鞍馬口), 상경구(上京區), 좌경구(左京區)의 하압(下鴨)·고야(高野) 일대이다.
출운신이라는 씨성을 가진 인물로는 산배국(山背國) 애탕군 출운향 운상리(雲上里) 사람인출운신관(出雲臣冠, 神龜 3년 「山背國愛宕郡出雲鄕雲上里計帳」, 『대일본고문서』 1-133),출운신진족(出雲臣眞足, 종8위하 勲十二等, 상동 1-334 등), 출운신풍족(出雲臣豐足, 종8위하 勲十二等, 상동 1-336), 출운신국상(出雲臣國上, 少初位上 授刀舍人, 상동 1-336), 출운신국계(出雲臣國繼, 少初位上 右兵衛, 상동 1-337), 출운신천내(出雲臣川內, 상동 1-338 등), 출운신은가(出雲臣隱加, 勳十等, 상동 1-343), 출운신대도(出雲臣大島, 정6위하, 상동), 출운신팔강(出雲臣八綱, 大藏省使部, 상동 1-345 등), 출운신천의(出雲臣千依, 大初位上, 상동), 출운신도마려(出雲臣島麻呂, 勳十二等, 상동 1-346), 출운신우양(出雲臣牛養, 少初位上 右衛士府使部, 상동 1-347), 출운신승마려(出雲臣勝麻呂, 상동 1-348), 출운신우족(出雲臣友足, 상동 1-350), 출운신대시(出雲臣大市, 상동 1-350), 출운신갱(出雲臣粳, 大初位下, 상동 1-351) 등이 있다. 같은 군 같은 향의 운하리(雲下里)에도 출운신숙나마려(出雲臣宿奈麻呂, 神龜 3년 「山背國愛宕郡出雲鄕雲下里計帳」1-354), 출운신군마려(出雲臣君麻呂, 大初位下 후에大宰史生 정8위하, 상동 1-356 및 天平 10년 「周防國正稅帳」 2-132), 출운신마려(出雲臣麻呂, 勳十二等, 神龜 3년 「山背國愛宕郡出雲鄕雲下里計帳」 1-357), 출운신광족(出雲臣廣足, 少初位上, 상동 1-358), 출운신산촌(出雲臣山村, 太政大臣藤原不比等家位分資人, 상동 1-359), 출운신의미마려(出雲臣意美麻呂, 상동 1-360), 출운신도마려(出雲臣島麻呂, 從五位下 壬生部 直美保萬呂資人, 상동 1-362), 출운신필(出雲臣筆, 大初位上, 상동 1-364), 출운신안마려(出雲臣安麻呂, 大初位下 北宮帳內, 상동 1-364), 출운신대해(出雲臣大海, 鑄錢寮使部, 상동 1-365 등), 출운신치견(出雲臣置見, 少初位上 鑄錢寮史生, 상동 1-365), 출운신문전(出雲臣文田, 상동 1-366 등), 출운신인인(出雲臣忍人, 大初位下 左大臣資人, 상동1-367), 출운신아다(出雲臣阿多, 少初位上 園池司使部, 상동 1-368), 출운신길사(出雲臣吉事, 상동 1-369), 출운신마양(出雲臣馬養, 상동 1-370), 출운신마려(出雲臣麻呂, 右大辨官使部, 상동 1-372), 출운신을마려(出雲臣乙麻呂, 少初位上 民部省使部, 상동1-373 등), 출운신궁마려(出雲臣弓麻呂, 少初位下 左大舍人, 상동 1-373), 출운신사미마려(出雲臣沙美麻呂, 少初位下 阿部 旦臣筑紫資人, 상동 1-374) 출운신심도(出雲臣深島, 少初位上 造宮省工, 상동 1-376 등), 출운신황마려(出雲臣荒麻呂, 상동 1-377) 등이 거주하였다.
또한 산성국 애탕군에는 출운신족(出雲臣族)이라는 씨성을 가진 사람들도 있다. 출운향 운상리의 출운신족과안(出雲臣族果安, 神龜 3년 「山背國愛宕郡出雲鄕雲上里計帳」, 『대일본고문서』 1-348), 출운신족동인(出雲臣族東人, 상동1-348), 출운신족소동인(出雲臣族小東人, 상동 1-348), 출운신족진동인(出雲臣族眞東人, 상동 1-348), 출운신족도자매(出雲臣族刀自賣, 상동 1-348)를 비롯하여 운하리의 출운신족갱충매(出雲臣族粳虫賣, 神龜 3년 「山背國愛宕郡出雲鄕雲下里計帳」 1-367), 출운신족족재(出雲臣族足梓, 상동 1-377 등), 출운신족인인(出雲臣族忍人, 상동 1-378), 출운신족상(出雲臣族桑, 상동 1-378), 출운신족삼목매(出雲臣族三木賣, 상동 1-378), 출운신족풍석매(出雲臣族豐石賣, 상동 1-378), 출운신족만매(出雲臣族萬賣, 상동 1-378), 출운신족고도자매(出雲臣族古刀自賣, 상동 1-378), 출운신족을등매(出雲臣族乙等賣, 상동 1-378), 출운신족역매(出雲臣族逆賣, 상동 1-379), 출운신족주도자매(出雲臣族酒刀自賣, 상동 1-379), 출운신족자매(出雲臣族呰賣, 상동 1-379)가 있다. 또한 애탕군에는 출운부(出雲部)라는 씨명을 가진 사람들이 있는데, 출운향 운상리에 출운부정도자매(出雲部淨刀自賣, 神龜 3년 「山背國愛宕郡出雲鄕雲上里計帳」 1-349),출운부가노지(出雲部加努智, 상동 1-349), 출운부포기(出雲部布岐, 상동 1-349), 출운부궁옥매(出雲部宮屋賣, 상동 1-350), 출운부가주매(出雲部家主賣, 상동 1-350)가 있으며, 운하리에 출운부지기량매(出雲部志祁良賣, 神龜 3년 「山背國愛宕郡出雲鄕雲下里計帳」 1-354), 출운부미도기매(出雲部美都岐賣, 상동 1-363), 출운부제매(出雲部弟賣, 상동 1-371), 출운부이좌매(出雲部伊佐賣, 상동 1-374) 등이 있다. 이들은 출운신씨에 예속된 씨족 집단의 후예일 가능성이 크다.
2. 동신(同神)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신찬성씨록』 완본에 천수일명(天穗日命)으로 되어 있었을 것으로 보았다. 천수일명에 대해서는 좌경 신별(중) 「출운숙녜(出雲宿禰)」 조(393) 천수일명 참조.
3. 천일명조명(天日名鳥命)
천이조명(天夷鳥命)과 같다. 천일명조명에 대해서는 좌경 신별(중) 「출운숙녜(出雲宿禰)」 조(393) 천이조명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출운신(出雲臣; 이즈모노오미)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40_0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