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문부련(門部連; 가도베노무라지)

문부련(門部連; 가도베노무라지)
 모수비명(牟須比命; 무스비노미코토)의 아들 안모수비명(安牟須比命; 야스무스비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문부련(門部連)
문부련은 문의 경비를 담당한 문부의 반조씨족이었던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위문부(衛門部)는 율령제 관사의 하나로 궁성의 제문(諸門)을 경비하고 부서(部署)를 순찰하는 일 등을 담당했다. 문부는 위문부에 속하여 궁중 여러 문의 단속을 담당한 무관이었다. 『일본서기』 천무천황(天武天皇) 10년(681) 4월 경술조에 문부직대도(門部直大島; 가도베노아타이오시마)가 연성을 받았고, 이어서 천무 12년(683) 9월 정미조에 문부직(門部直; 가도베노아타이)이 연성을 받은 기록이 보인다.
문부(門部)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백치(白雉) 4년 7월조에 당에 파견되었다가 배가 침몰된 뒤에 살아남은 5명 가운데 문부금(門部金 : 가도베노카네)이 있다. 그는 대나무를 베어 뗏목을 만들어 신도(神島)에 이르러 목숨을 구했으므로 문부금을 칭찬하여 관위를 올리고 녹을 내렸다고 적혀 있다.
문부련(門部連) 일족으로는 『속일본기』 화동(和銅) 7년(714) 윤2월 무오삭조의 미농(美濃) 소연(少掾) 정7위하 문부련어립(門部連御立)의 위계를 올려 주었다는 기사가 보이고, 『일본후기(日本後紀)』 연력(延曆) 23년(804) 7월 신축조에는 우경인(右京人) 문부련송원(門部連松原)이 토사국(土左國)에 불효를 이유로 유배당한 기사가 보이지만 대화국인이 아니라 우경인이었다. 『속일본후기(續日本後紀)』 승화 5년(838) 정월 병인조에는 문부련정종(門部連貞宗)이 종5위하(극위)로 승진하였다고 적혀 있다. 또 『일본문덕천황실록(日本文德天皇實錄)』 제형(齊衡) 3년(856) 11월 경자삭조에 시의(侍醫) 정6위상 문부련명계(門部連名繼)가 보인다. 문부련명계는 이때 흥도숙녜(興道宿禰)라는 성을 받았다.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觀) 18년(876) 11월 18일 신묘조에는 “종5위상(극위) 행전약두(行典藥頭) 겸 시의(侍醫) 흥도숙녜명계가 죽었다(卒)”라고 기재되어 있다.
2. 안모수비명(安牟須比命), 모수비명(牟須比命)
모수비명(牟須比命; 무스비노미코토)은 안모수비명(安牟須比命; 야스무스비노미코토)의 아버지이다. 안모수비명은 좌경 신별(중) 「부혈직(浮穴直)」 조에 이수모수비명(移受牟受比命; 야스무스비노미코토)의 5세손 제의손련(弟意孫連)의 후손이라 적혀 있다. 좌경 신별(중) 「부혈직(浮穴直)」 조(388) 이수모수비명(移受牟受比命)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문부련(門部連; 가도베노무라지)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50_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