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하무현주(賀茂縣主; 가모노아가타누시)

하무현주(賀茂縣主; 가모노아가타누시)
 신혼명(神魂命; 가미무스비노미코토)의 손자인 무진지신명(武津之身命; 다케츠노미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하무현주(賀茂縣主)
하무(賀茂; 가모)라는 씨명은 율령제하의 산성국(山城國) 애탕군(愛宕郡) 하무향(賀茂鄕), 즉 현재의 경도시(京都市) 북구(北區) 상하무(上賀茂)와 좌경구(左京區) 하압(下鴨)일대를 가리키는 지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하무현주의 원래 씨성은 압녜의진발부(鴨禰宜眞髮部)였다. 『속일본기(續日本紀)』 보귀(寶龜) 11년(780) 4월 경신조에서 산배국(山背國) 애탕군(愛宕郡) 사람 정6위상 압녜의진발부진수(鴨禰宜眞髮部津守) 등 11인에게 하무현주(賀茂縣主)라는 성을 내렸다고 하였다.
하무현주라는 씨성을 가진 인물로는 하무현주진수(賀茂縣主津守, 『속일본기』 寶龜 11년 4월 경신조)를 비롯하여, 하무현주입장(賀茂縣主立長, 『일본후기』延曆 16년 2월 계유조 등), 하무현주광우(賀茂縣主廣友, 『類聚國史』 99 叙位 天長 8년 12월 신미조 등), 하무현주광웅(賀茂縣主廣雄, 『續日本後紀』 承和 2년 4월 기해조 등), 하무현주의웅(賀茂縣主益雄, 『日本文德天皇實錄』 仁壽 원년 4월 무오조), 하무현주진당(賀茂縣主眞當, 『日本三代實錄』 貞觀 5년 4월 정미조), 하무현주천계(賀茂縣主千繼, 『日本三代實錄』 貞觀 16년 8월 병자조), 하무현주문마려(賀茂縣主門麻呂, 『일본삼대실록』 상동) 등이 있다.
780년 4월에 하무현주(賀茂縣主)라는 씨성을 받은 압녜의진발부진수의 원래 씨성은 압녜의백발부(鴨禰宜白髮部)였다. 압녜의백발부에 대해서는 〈하무신관압씨계도(賀茂神官鴨氏系圖)〉의 소지지내명(小止知乃命) 다음에 ‘압녜의백발부복신(鴨禰宜白髮部腹申)’이라고 되어 있으며, 그 일족에 압녜의백발부방인(鴨禰宜白髮部防人, 天平 20년 4월 25일자 「寫書所解」, 『대일본고문서』3-80)이 있다. 압녜의백발부방인 다음에 “나이 18세, 노(勞) 4년 산배국(山背國) 애당군(愛當郡)”(상동)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백발부(白髮部)라는 성은, 『속일본기(續日本紀)』 연력(延曆) 4년(785) 5월 정유조에 광인천황(光仁天皇)의 본명을 기피하기 위하여 백발부를 진발부(眞髮部)로 바꾸었다는 기사가 보인다.
하무현주광우(賀茂縣主廣友)에 대해서는, 『속일본후기(續日本後紀)』 승화(承和) 11년(844) 11월 임자조에 압상하대신궁(鴨上下大神宮) 예의(禰宜) 외종5위하 하무현주광우 등이 “이른바 압천은 두 신사를 거쳐 남쪽으로 흘러 나갑니다. 그런데 왕신가의 사람들과 백성들이 북산에서 사슴과 산돼지를 잡아서 곧 물가에서 씻으니 그 흘러 내려온 것이 신사에 와 닿습니다. 이 때문에 더러움에 의한 저주가 점괘에 자주 나타납니다. 비록 금지하여도 이를 따라서 삼가는 자가 없습니다.(所謂鴨川. 經二神社指南流出. 而王臣家人及百姓等. 取鹿彘於北山. 便洗水上. 其末流來觸神社. 因茲. 汚穢之祟屢出御卜. 雖加禁制. 曾無順愼者.)”라고 하였다. 그러자 칙하기를, “해당 국에 명령하여 하원까지 엄히 금지하도록 하라. 만약 어기는 자는 본인을 잡아 오고, 국사 군사 및 녜의나 축으로서 허용한 자는 반드시 중히 처벌하라.(勅. 宜仰當國迄于河源. 嚴加禁斷. 若違犯者. 禁其身申送. 國郡司幷禰宜祝等許容之者. 必處重科.)”라고 하여 압천을 오염시키는 일을 금지할 것을 논의하였다는 내용이 보인다. 한편 하무현주광웅(賀茂縣主廣雄)은, 『속일본후기』승화 2년(835) 4월 기해에 정6위상에서 외종5위하에 승서되고 동 15년 2월 신해에 신사의 어호대전(御戶代田) 1정을 늘여 줄 것을 요구하여 허락을 받았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2. 신혼명(神魂命)
신혼명에 대해서는 좌경 신별(중) 「현견양숙녜(縣犬養宿禰)」 조(380) 신혼명 참조.
3. 무진지신명(武津之身命)
산성국 신별 「압현주(鴨縣主)」 조에는 압건진지신명(鴨建津之身命)으로 되어 있으며, 「시전부(矢田部)」 조에는 압건진신명(鴨建津身命), 「축부(祝部)」 조에는 건각신명(建角身命), 일문인 〈압현주본계(鴨縣主本系)〉에는 압건이진신명(鴨建耳津身命) 등으로 나타난다. 무진지신명(武津之身命)에 관한 전승으로는 다음 조에서 신혼명(神魂命)의 손자인 압건진지신명(鴨建津之身命)이 큰 까마귀로 변하여 하늘로 날아올라 길을 안내하여 중주(中洲)에 도달하였기에 그 공으로 천팔지오(天八咫烏)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고 하였다. 자세한 것은 다음 「압현주(鴨縣主)」 조(506)의 압건진지신명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하무현주(賀茂縣主; 가모노아가타누시)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40_0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