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범하내기촌(凡河內忌寸; 오호시카후치노이미키)

범하내기촌(凡河內忌寸; 오호시카후치노이미키)
 액전부탕좌련(額田部湯坐連; 누카타베노유에노무라지)과 조상이 같다.
 
【주석】
1. 범하내기촌(凡河內忌寸)
범하내(凡河內)라는 씨명은 대하내(大河內), 범천내(凡川內)라고도 쓴다. 범하내라는 씨명은 범하내국(凡河內國)이라는 국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상대(上代)의 범하내국은 율령제 시대의 섭진국, 하내국, 화천국(和泉國)에 걸친 광범한 지역으로 현재 대판부(大阪府)에 해당된다. 범하내씨는 본조와 같은 천진언근명(天津彦根命)의 후손과 천수일명(天橞日命)의 후손, 그리고 후한 효헌제(孝献帝)의 아들 백룡왕(白龍王)의 후손 등 세 계통이 있다.
『일본서기』 천무천황 12년(683) 9월 정미조에 범하내직에게 연(連) 성을 주었다고 적혀 있다. 또 천무천황 14년(685) 6월 갑오조에 범천내련(凡川內連)에게 기촌(忌寸)이라는 성을 주었다고 적혀 있다.
범하내직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웅략천황(雄略天皇) 9년 2월 갑자삭조의 범하내직향사(凡河內直香賜), 안한천황(安閑天皇) 원년 7월 신사삭조의 대하내직미장(大河內直味張), 선화천황(宣化天皇) 원년 3월 기유조 등의 대하내치자원(大河內稚子媛), 추고천황(推古天皇) 15년(608) 6월 병진조의 대하내직강수(大河內直糠手) 등이 있다.
웅략천황 9년조에는 천황이 범하내직향사와 채녀를 함께 보내 흉방신(胸方神, 宗像 3녀신)에게 제사 지내게 하였는데 향사가 제사를 지내러 가서 채녀를 범하였다. 천황이 이를 듣고 주살하게 하자 향사가 삼도군(三島郡) 남원(藍原)으로 도망쳤다가 잡혀서 죽었다고 적혀 있다. 그가 도망친 곳인 삼도군 남원은 율령 시대 섭진국 도하군(島下郡)안위향(安威鄕)이다. 이곳은 범하내직의 본거지에 가까운 곳이라 추정된다. 또 안한천황 원년 7월 신사삭조 등에 나오는 대하내직미장(大河內直味張)은 삼도군의 토호였다. 그리고 범하내기촌석마려(凡河內忌寸石麻呂)가 섭진국조였던 것은 범하내기촌씨가 범하내국조였던 것에 의거한다.
범하내기촌 일족으로는 『속일본기』 경운(慶雲) 3년(706) 10월 임오조의 섭진국조 종7위상 범하내기촌석마려(凡河內忌寸石麻呂) 등이 위계 1위 진급한 것이 보인다. 『속일본후기』 천장(天長) 10년(833) 2월 갑술조의 섭진국 사람 산위(散位) 종6위상 범하내기촌기주(凡河內忌寸紀主)와 종8위상 범하내기촌기마려(凡河內忌寸紀麻呂), 아우 대초위하(大初位下) 범하내기촌복장(凡河內忌寸福長) 등 3인에게 청내숙녜(淸內宿禰)를 주었다고 적혀 있다.
범하내직향사는 채녀와 함께 흉방신에게 제사 지내게 하였는데 제사를 지내려 할 때 그 채녀를 범하였다. 천황이 이를 듣고 주살하게 하자 향사가 삼도군 남원으로 도망하였고 이를 잡아서 목을 베었다고 적혀 있다. 그가 도망한 곳인 삼도군(三島郡) 남원(藍原)은 율령 시대 섭진국 도하군(島下郡) 안위향(安威鄕)이다. 이곳이 범하내직의 본거지에 가까운 곳이라 간주된다. 안한천황(安閑天皇) 원년 7월 신사삭조 등에 나오는 대하내직미장(大河內直味張)은 삼도군의 토호이다. 범하내기촌석마려(凡河內忌寸石麻呂)가 섭진국조였던 것은 범하내기촌씨가 범하내국조였던 것에 의거한다.
2. 액전부탕좌련동조(額田部湯坐連同祖)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액전부탕좌련동조(額田部湯坐連同祖)’ 다음에 ‘천진언근명지후야(天津彦根命之後也)’ 혹은 ‘천진언근명자명립천어영명지후야(天津彦根命子明立天御影命之後也)’라는 글자가 있었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천진언근명은 『고사기』 에는 천진일자근명(天津日子根命; 아마츠히노네노미코토)이라고 나오고, 『일본서기』 에는 천진언근명(天津彦根命; 아마츠히코네노미코토)의 주에 “범천내직(凡川內直)과 산대직(山代直) 등의 조상이다”라고 적혀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범하내기촌(凡河內忌寸; 오호시카후치노이미키)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60_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