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한나라 황제가 흉노에게 화친을 구하는 편지에 답장을 보내면서 각종 물품도 보내옴

  • 국가
    흉노(匈奴)
효문황제 주 001
각주 001)
『漢書』에는 “孝文皇帝”가 아니라 “孝文”으로 약칭되어 있다.
닫기
전원(前元)주 002
각주 002)
漢 文帝는 23년간 재위하였는데, 중간에 한 번 개원하였다. 그래서 前元 7년과 그 이후 後元 16년으로 나누어진다.
닫기
6년(전174) 한나라[의 황제가] 흉노에 편지를 보내 말하였다. “황제는 삼가 흉노대선우에게 무고하신가 안부를 묻소. 낭중(郞中) 혜호천(係雩淺)을 시켜 짐주 003
각주 003)
“朕”은 옛날에 일반적인 自稱이었으나 秦 始皇帝 시대부터 皇帝의 自稱으로만 사용되었다.
닫기
에게 편지를 보내 말하기를, ‘우현왕이 [선우인 나한테도] 주청하지 않고 [자기 부하인] 후의노후 난지 등의 계획을 듣고 [한나라 관리들과 서로 싸워] 두 나라 임금 사이에 맺었던 약속을 깨뜨려 버림으로써 형제간의 친밀함을 이간질하게 되자, 한나라도 그를 이유로 화합하지 않게 되었고 이웃 나라와도 친하지 않게 되었소. 지금 낮은 관리가 [화친의] 약속을 깨뜨렸기 때문에 우현왕에게 그 벌로 서쪽의 월지를 치게 해 모두 평정할 수 있었소. 원컨대, 이제는 전쟁을 중지시켜 사졸을 쉬게 하고 말을 먹여 앞서 있었던 [국경분쟁] 문제를 불문에 붙여 이전의 [화친] 약속을 회복시킴으로써 변경지대 백성들을 편하게 하고, 어린아이들이 탈 없이 자라게 하고 늙은이들이 그 땅에서 편안하게 하여 대대로 태평함을 즐기도록 해 주고 싶소이다.’주 004
각주 004)
『漢書』에는 匈奴에서 보내 온 편지 내용에서 앞부분이 생략되고 “원컨대, 전쟁을 중지시켜 사졸을 쉬게 하여 앞서 있었던 [국경분쟁] 문제를 불문에 붙여 이전의 [화친] 약속을 회복시킴으로써 변경지대 백성들을 편하게 하여 대대로 태평함을 즐기도록 해 주고 싶소이다.”라고 한 부분만 기록되어 있다(願寢兵休士, 除前事, 復故約, 以安邊民, 世世平樂 : 3758).
닫기
라고 했소. 짐은 [이 말을] 매우 기쁘게 여기는데, 이는 옛 성왕의 뜻이기도 하오. 한나라는 흉노와 형제가 되기로 약속해 선우에게 아주 후하게 선물을 보냈었소. 그런데도 약속을 어기고 형제의 정리를 이간시킨 이유는 늘 흉노에 있었소. 그러나 우현왕이 일으킨 사건은 [한나라에서] 이미 대사령(大赦令)을 발포하기 이전의 일이므로 선우는 그를 너무 심하게 책하지 말기 바라오. 만약 선우가 이 편지의 뜻과 같다면, 그대 나라의 여러 관리들에게 명백히 알려 화친의 약속을 저버리는 일이 없도록 해 주시오. 그 사실이 확인되면, 삼가 선우 편지의 뜻을 따를 것이오. 사자가 선우께서 몸소 군사를 이끌고 여러 나라를 정벌해주 005
각주 005)
伐國 : 匈奴가 정복한 나라를 말하는데, 그 대상은 東胡, 渾庾, 屈射, 丁零, 鬲昆, 薪犂, 烏孫, 月支 등이었다(주267) 참조).
닫기
비록 전과는 얻었으나 전쟁으로 인한 피해 역시 크다고 하니, [짐이 입는] 의복인 수겹기의(繡袷綺衣)주 006
각주 006)
繡袷綺衣 : ‘꽃을 수놓은 비단으로 겉옷을 만들고, 꽃무늬를 짜 넣은 비단으로 안감을 댄 겹옷’으로 天子가 착용했다. 『漢書』에는 “繡袷”이 없다.
닫기
, 수겹장유(繡袷長襦)주 007
각주 007)
繡袷長襦 : ‘수놓은 비단으로 만든 긴 겹옷’이다. 『漢書』에는 “長襦”로 되어 있다.
닫기
, 금겹포(錦袷袍)주 008
각주 008)
錦袷袍 : 겉감을 큰 꽃무늬를 채색한 비단으로 만든 솜옷이다. 『漢書』에는 “袷”이 없다.
닫기
각 한 벌, 비여(比余)주 009
각주 009)
比余 : 금으로 장식한 빗의 종류이다. 『漢書』에는 “比疏”라고 되어 있다.
닫기
한 개, 황금으로 만든 허리띠[黃金飾具帶]주 010
각주 010)
“具”는 ‘貝’를 잘못 표기한 것이다. 이것은 조개 장식을 단 황금 요대를 말한다.
닫기
와 황금으로 만든 허리띠 장식[黃金胥紕]주 011
각주 011)
胥紕 : 허리띠 고리(버클)를 말한다. 『漢書』에는 “犀紕”로 되어 있다.
닫기
한 개, 수놓은 비단[繡] 열 필주 012
각주 012)
繡 : 무늬가 있는 비단이다.
닫기
, 비단(錦)주 013
각주 013)
錦 : 색깔이 빛나는 비단이다. 『漢書』에는 “二十匹”로 되어 있다.
닫기
서른 필, 붉은 색의 두꺼운 비단[赤綈]주 014
각주 014)
綈 : 음은 ‘제’이고, 두꺼운 비단이다.
닫기
과 푸른색 비단[綠繒]주 015
각주 015)
繒 : 명주실로 짠 모든 직물을 말한다.
닫기
각각 마흔 필주 016
각주 016)
匹 : 織物의 길이를 計量하는 중국 고대의 量詞이다. 漢代에 1匹의 폭이 얼마인지 확실하지 않으나, 대개 帛의 넓이가 폭이 2尺 2寸, 길이가 40尺인 것을 1匹이라고 한다. 1尺=23.5cm이므로 漢代의 1匹은 길이가 약 940cm, 폭이 51.7cm 정도였다(內田吟風, 1975 : 227 및 丘光明, 1992 : 520).
닫기
씩을 중대부(中大夫)주 017
각주 017)
中大夫 : 관직 명칭으로 郎中令의 속관으로 議論을 관할하였다. 武帝 太初 元年에 光祿勳으로 바뀌었다가, 다시 光祿大夫로 바뀌었다.
닫기
의(意) 주 018
각주 018)
意는 사람 이름이다.
닫기
와 알자령(謁者令)주 019
각주 019)
謁者令 : 관직 명칭으로 中書謁者令을 말한다. 주요 업무는 문서를 전달하는 것이었고, 少府에 소속되었다. 후에 中謁者令으로 바뀌었다.
닫기
견(肩) 주 020
각주 020)
肩은 사람 이름이다.
닫기
을 시켜 선우에게 보내오.”

  • 각주 001)
    『漢書』에는 “孝文皇帝”가 아니라 “孝文”으로 약칭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漢 文帝는 23년간 재위하였는데, 중간에 한 번 개원하였다. 그래서 前元 7년과 그 이후 後元 16년으로 나누어진다.
     바로가기
  • 각주 003)
    “朕”은 옛날에 일반적인 自稱이었으나 秦 始皇帝 시대부터 皇帝의 自稱으로만 사용되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4)
    『漢書』에는 匈奴에서 보내 온 편지 내용에서 앞부분이 생략되고 “원컨대, 전쟁을 중지시켜 사졸을 쉬게 하여 앞서 있었던 [국경분쟁] 문제를 불문에 붙여 이전의 [화친] 약속을 회복시킴으로써 변경지대 백성들을 편하게 하여 대대로 태평함을 즐기도록 해 주고 싶소이다.”라고 한 부분만 기록되어 있다(願寢兵休士, 除前事, 復故約, 以安邊民, 世世平樂 : 3758).
     바로가기
  • 각주 005)
    伐國 : 匈奴가 정복한 나라를 말하는데, 그 대상은 東胡, 渾庾, 屈射, 丁零, 鬲昆, 薪犂, 烏孫, 月支 등이었다(주267)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6)
    繡袷綺衣 : ‘꽃을 수놓은 비단으로 겉옷을 만들고, 꽃무늬를 짜 넣은 비단으로 안감을 댄 겹옷’으로 天子가 착용했다. 『漢書』에는 “繡袷”이 없다.
     바로가기
  • 각주 007)
    繡袷長襦 : ‘수놓은 비단으로 만든 긴 겹옷’이다. 『漢書』에는 “長襦”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8)
    錦袷袍 : 겉감을 큰 꽃무늬를 채색한 비단으로 만든 솜옷이다. 『漢書』에는 “袷”이 없다.
     바로가기
  • 각주 009)
    比余 : 금으로 장식한 빗의 종류이다. 『漢書』에는 “比疏”라고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0)
    “具”는 ‘貝’를 잘못 표기한 것이다. 이것은 조개 장식을 단 황금 요대를 말한다.
     바로가기
  • 각주 011)
    胥紕 : 허리띠 고리(버클)를 말한다. 『漢書』에는 “犀紕”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2)
    繡 : 무늬가 있는 비단이다.
     바로가기
  • 각주 013)
    錦 : 색깔이 빛나는 비단이다. 『漢書』에는 “二十匹”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4)
    綈 : 음은 ‘제’이고, 두꺼운 비단이다.
     바로가기
  • 각주 015)
    繒 : 명주실로 짠 모든 직물을 말한다.
     바로가기
  • 각주 016)
    匹 : 織物의 길이를 計量하는 중국 고대의 量詞이다. 漢代에 1匹의 폭이 얼마인지 확실하지 않으나, 대개 帛의 넓이가 폭이 2尺 2寸, 길이가 40尺인 것을 1匹이라고 한다. 1尺=23.5cm이므로 漢代의 1匹은 길이가 약 940cm, 폭이 51.7cm 정도였다(內田吟風, 1975 : 227 및 丘光明, 1992 : 520).
     바로가기
  • 각주 017)
    中大夫 : 관직 명칭으로 郎中令의 속관으로 議論을 관할하였다. 武帝 太初 元年에 光祿勳으로 바뀌었다가, 다시 光祿大夫로 바뀌었다.
     바로가기
  • 각주 018)
    意는 사람 이름이다.
     바로가기
  • 각주 019)
    謁者令 : 관직 명칭으로 中書謁者令을 말한다. 주요 업무는 문서를 전달하는 것이었고, 少府에 소속되었다. 후에 中謁者令으로 바뀌었다.
     바로가기
  • 각주 020)
    肩은 사람 이름이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효문황제, 혜호천(係雩淺), 난지, 의(意), 견(肩)
지명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월지, 한나라, 한나라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한나라 황제가 흉노에게 화친을 구하는 편지에 답장을 보내면서 각종 물품도 보내옴 자료번호 : jo.k_0001_0110_0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