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아보기(阿保機)가 스스로 황제(天皇王)라 칭하고 발해의 요동(遼東)을 토벌함

  • 국가
    거란(契丹)
천우(天祐) 말, 아보기(阿保機)는 곧 스스로 황제를 칭하고 중국의 관호(官號)를 썼다. 그들은 오랫동안 목축을 따라 [이동해] 평소에는 [거처하는] 읍실(邑屋)이 없었으나 연(燕) [일대에 살던] 사람들에게 가르침을 얻어 곧 막북(漠北)에서 성곽궁실(城郭宮室)[에 관한] 제도를 행했는데 [그 곳은] 유주(幽州)에서 삼천 리 떨어져 있었고 그 읍(邑)을 이름하여 서루읍(西樓邑) 주 001
각주 001)
西樓邑: 遼의 祖州를 말한다. 치소는 林東(지금의 內蒙古自治區 巴林左旗 서남)에 있다. 阿保機가 가을에 이 곳에서 사냥을 하고 처음으로 서루를 설치한 이래 후에 祖州라 불렀다.
닫기
이라 하였으며 옥문(屋門)은 모두 동쪽을 향해 있었는데 [이것은] 그들이 살던 장막(帳幕)이 모두 동쪽을 향했던 제도[車帳之法]와 같았다. 성 남쪽에는 따로 성(城)을 쌓아 한인(漢人)들로 [그 곳을] 채웠는데 이름하여 한성(漢城) 주 002
각주 002)
漢城: 거란의 耶律阿保機가 부획한 한인들을 거주시키기 위해 축조한 지명으로 지금의 河北省 灤平縣에 그 舊址가 있다.
닫기
이라 하였고 성 가운데에는 불사(佛寺) 세 [곳]이 있었는데 승려[僧尼]는 천 명이었다. 그 나라 사람들은 아보기를 불러 천황왕(天皇王)이라 했다.
[후당(後唐) 장종(莊宗)] 동광(同光) 연간(923~926), 아보기는 [자신들의] 땅을 개척하겠다는 뜻이 절실하여주 003
각주 003)
원문은 “阿保機深著闢地之志”인데 『舊五代史新輯會證』에서는 『冊府元龜』에 의거해 “阿保機深貯亂華之志”로 고쳤다.
닫기
병사를 거두어 대대적으로 공격하려 했으나 발해(渤海) 주 004
각주 004)
渤海: 당대 靺鞨粟末部를 주축으로 기타 말갈의 여러 부락과 일부 고구려인들을 결합해 건설한 정권을 말한다.
닫기
가 그[의] 뒤를 쫓아올까 근심하였다. [동광] 3년(925),주 005
각주 005)
『資治通鑑』(卷273; 8923~24)은 이 기사를 同光 2년(924) 7월조에 적고 있다.
닫기
그의 무리를 들어 발해요동(遼東)을 토벌하고주 006
각주 006)
원문은 “舉其衆討渤海之遼東”인데 『舊五代史新輯會證』에서는 『冊府元龜』에 의거해 “舉軍衆討渤海之遼東”로 고쳤다.
닫기
 독뢰(禿餒)노문진(盧文進)에게 명하여 영[주](營州)평[주](平州) 등의 주(州)에 웅거(雄據)하게 하여 우리의 연계(燕薊) [일대]를 어지럽혔다.

  • 각주 001)
    西樓邑: 遼의 祖州를 말한다. 치소는 林東(지금의 內蒙古自治區 巴林左旗 서남)에 있다. 阿保機가 가을에 이 곳에서 사냥을 하고 처음으로 서루를 설치한 이래 후에 祖州라 불렀다. 바로가기
  • 각주 002)
    漢城: 거란의 耶律阿保機가 부획한 한인들을 거주시키기 위해 축조한 지명으로 지금의 河北省 灤平縣에 그 舊址가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은 “阿保機深著闢地之志”인데 『舊五代史新輯會證』에서는 『冊府元龜』에 의거해 “阿保機深貯亂華之志”로 고쳤다. 바로가기
  • 각주 004)
    渤海: 당대 靺鞨粟末部를 주축으로 기타 말갈의 여러 부락과 일부 고구려인들을 결합해 건설한 정권을 말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5)
    『資治通鑑』(卷273; 8923~24)은 이 기사를 同光 2년(924) 7월조에 적고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은 “舉其衆討渤海之遼東”인데 『舊五代史新輯會證』에서는 『冊府元龜』에 의거해 “舉軍衆討渤海之遼東”로 고쳤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아보기(阿保機), 아보기, 장종(莊宗), 아보기, 독뢰(禿餒), 노문진(盧文進)
지명
중국, 막북(漠北), 유주(幽州), 서루읍(西樓邑), 한성(漢城), 후당(後唐), 발해(渤海), 발해, 요동(遼東), 영[주](營州), 평[주](平州), 연계(燕薊)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아보기(阿保機)가 스스로 황제(天皇王)라 칭하고 발해의 요동(遼東)을 토벌함 자료번호 : jo.k_0018_0137_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