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산대기촌(山代忌寸; 야마시로노이미키)

산대기촌(山代忌寸; 야마시로노이미키)
 노국(魯國)의 백룡왕(白龍王)의 후손이다.
 
【주석】
1. 산대기촌(山代忌寸)
산대(山代)의 씨명은 하내국(河內國) 석천군(石川郡) 산대향(山代鄕)의 지명에서 유래한다. 현재 대판부(大阪府) 남하내군(南河內郡) 남정서천(南町西川)이다. 『속일본기』 천평(天平) 20년(748) 7월조에 산대직대산(山代直大山) 등 3인이 기촌(忌寸)으로 개성한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일족으로는 산대이미길진작(山代伊美吉眞作)이 있으며, 그의 묘지명에는 “문무천황 이래 4대의 천황에게 봉사한 하내국(河內國) 석천군(石川郡) 산대향(山代鄕) 출신의 산대기촌진작(山代忌寸眞作)이 무진년 11월 25일에 사망하였고, 부인인 문실기촌추정(蚊屋忌寸秋庭)은 임술년 6월 14일에 사망하였다(所知天下自輕天皇御世以来至于四繼仕奉之人河內國石川郡山代鄕従六位上山代忌寸眞作. 戊辰十一月廿五日□□□□, 又妻京人同國郡鄕移蚊屋忌寸秋庭, 壬戌六月十四日□□□.)”라고 기록되어 있다. 부부합장의 묘지이다. 이 인물은 『정창원문서』 양로(養老) 5년(721)부 호적에도 보인다. 무진년은 신귀(神龜)5년(728), 임진년은 양로 6년(722)에 해당하기 때문에 부인 추정(秋庭)의 유골이 산대기촌진작(山代忌寸眞作)의 묘에 개장되었다고 보인다.
이 외에도 산대기촌의 일족으로는 산대이미기길련(山代伊美伎吉年, 「藤原宮木簡斷片」,『藤原宮木簡』 1-54)이 보이고, 『정창원문서』 에도 산대기촌국의(山代忌寸國依, 『大日本古文書』 25-145), 산대기촌마려(山代忌寸麻呂, 동 25-145), 산대기촌지마수(山代忌寸志麻守,동 25-93), 산대기촌풍족(山代忌寸豐足, 동 25-93), 산대기촌백예(山代忌寸百曳, 동 15-133)등이 있다. 또 『속일본기』 천평승보(天平勝寶) 8년(756) 7월조에 하내국(河內國) 석천군(石川郡) 사람 한인광교(漢人廣橋), 한인도자매(漢人刀自賣) 등 13인이 산대기촌의 성을 받고 있어, 산대기촌과 동족임을 주장하고 있다.
2. 노국백룡왕(魯國白龍王)
노국(魯國)은 지역적으로 현재 중국의 산동성 남부를 가리킨다. 제후국으로서의 노국은 주대로부터 춘추전국 시대에 존재했던 국이다. 대대로 노의 공족인 삼환씨(三桓氏)가 실권을 잡고부터 국정이 혼란해지다가 기원전 249년에 초나라에 합병되어 멸망하였다. 백룡왕에 대해서는 『신찬성씨록』 우경 제번(상) 「일기촌(臺忌寸)」 조(830)에 “일기촌은 하내기촌(河內忌寸)과 같은 조상이다. 한 효헌제의 아들 백룡왕(白龍王)의 후손이다”라고 하거나 동 하내국 제번 「하내기촌」 조(1013)에도 “하내기촌은 산대기촌(山代忌寸)와 같은 조상이다. 노국의 백룡왕의 후손이다”라고 하고, 동 화천국(和泉國) 제번의 「범인중가(凡人中家)」 조(1056)에는 “범인중가(凡人中家)는 산대기촌(山代忌寸)과 같은 조상이다. 백룡왕의 후손이다”라고 하는 내용이 나온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산대기촌(山代忌寸; 야마시로노이미키)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10_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