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박인야(狛人野; 고마히토노)

박인야(狛人野; 고마히토노)
 같은 신의 아들 즐일방명(櫛日方命; 구시히카타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박인야(狛人野)
박인야라는 씨명은 산성국(山城國) 상락군(相樂郡) 대박향(大狛鄕)·하박향(下狛鄕), 즉 현재의 경도부(京都府) 상락군(相樂郡) 산성정(山城町) 상박(上狛) 일대를 본거지로 하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는 박인흑마려(狛人黑麻呂, 天平 17년 「智識優婆塞貢進文」, 『대일본고문서』25-65), 박인마도(狛人麻島, 上同) 및 박부숙녜나매(狛部宿禰奈賣, 『속일본기』 和銅 4년 7월 무인조) 등과 마찬가지로 해당 지역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박인야라는 씨명을 가진 인물로는 박인야궁성(狛人野宮成, 『日本三代實錄』 貞觀 8년
5월 임자조 등)이 있다. 박인야궁성은 의술을 배우는 학생으로 급제하여 종6위상에서 정6위상에 올랐고(『日本三代實錄』 貞觀 8년 5월 임자조), 시의(侍醫)로서도 활동하였다(『日本三代實錄』 元慶 원년 정월 을해조). 같은 해 산성국 상락군에서 우경(右京) 5조(五條)로 본관을 옮겼다(『日本三代實錄』 元慶 원년 12월 신묘조).
2. 동명(同命)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대물주명(大物主命)이라고 되어 있었을 것이다. 대물주명에 대해서는 좌경 신별(하) 「석변공(石邊公)」 조(417)의 대국주명(大國主命) 및 산성국 신별(하) 「신궁부조(神宮部造)」 조(513) 대물주신(大物主神) 참조.
3. 즐일방명(櫛日方命)
구사비하다명(久斯比賀多命)이라고도 한다. 구사비하다명에 대해서는 좌경 신별(하)「석변공(石邊公)」 조(417) 구사비하다명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박인야(狛人野; 고마히토노)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40_0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