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조청국경회담자료집

백두고적고(白頭古蹟攷) : 백두산의 옛 유적 및 관련 사건들을 소개하고 이 산이 조선의 조종산(祖宗山)이자 열성(列聖)의 발상지이니 각(閣)을 지어 제사지내기를 바람

白頭古蹟攷
東國文獻備考曰白頭山茂山府西三百五十里一統志云在故會寧府南六十里橫亘千里高二百里上有潭周八十里南流爲鴨綠江北流爲混同江東流爲阿也苦河
肅宗三十八年烏喇總管穆克登白頭山定界我國遣接伴使朴權咸鏡監司李善溥克登於蓮囦克登與譯官金應瀗 金慶門同上看審坐汊水間謂慶門曰此可名分水嶺遂勒石爲記
海左地圖說曰白頭山首起西北直下大荒至此陡立其高不知幾千萬仞山巓有池如人顋穴周可二三十里水色黝黑不測四月氷雪委積望之漠漠一銀海也山形在遠若覆白甕及登巓四圍微凸中窪如仰甕口向上外白內赤四壁側立若糊丹埴圻其北數尺水溢出爲瀑卽黑龍江源也從岡脊而下三四里始得鴨綠之源
淸儒吳兆騫 長白山賦曰混同之本鴨綠之源谺爲神池以宅乎其間自註云池在山之極頂縱餘五里橫八里北流至松花烏拉入黑龍混同江南流至朝鮮鴨綠江又曰群流旣渫四派乃馳自註云四月間池水及石罅凍泉先開其出之水凡四派穿白石崖而下掛流百丈聲若驚雷出乎松花之陬注乎五龍之外四派之水至尼雅穆尼雅庫滙爲一流以入於松花烏拉又曰畢山經以撰異莫玆嶽之靈長自註云相傳其上有仙靈往來擅射麋鹿者卽雲霧述徑○兆騫 江蘇人順治間謫戍寧古塔康熙初作長白山賦詳見吉林通誌
白頭山山海經所謂不咸山唐史所稱長白山也蓋崑崙一枝行大漠之南東爲醫巫閭山自此大斷爲遼東之野渡野起爲白頭山卽我國山脈之首也
成宗庚子倣大明一統志例命史臣撰輿地勝覽具載本國地理是時關北茂山尙未設焉因誌白頭會寧山川條曰在府西七八日程若一統志之會寧府指金人所設上京之地不可錯與我國會寧看也山上之潭周三說不同後考可明古人圖誌多隨所聞故潭之溢者流於三方然據今諸見則獨北溢之流爲松花眞源而至於黑龍 混同鴨綠之源從是潭近南岡脊而出其曰東流之阿也苦河亦必指大潭相近之水也今不可詳然記昔壬辰定界穆克登坐汊字彙曰水岐流水間旣分東西而歧流於西曰鴨綠歧流於東曰土門則大明所誌阿也苦河抑非此江歟天下地理家若詳其坐汊名嶺之義孰不曰碑記土門分水嶺岐流之一也
英祖朝寶鑑曰丁亥秋七月左議政韓翼謩白頭山乃是我國之祖宗山而北道又爲國朝發祥之地北嶽祀秩今宜移設於白頭山
上下詢大臣奉朝賀兪拓基曰我國諸山皆發脉於白頭山而山之傍近又是
列聖發祥之地立國近四百年尙未崇祀恐是闕典白山之祀臣無容別議
上從之命咸鏡道臣擇地於甲山府八十里雲寵堡望德坪建閣望祀於白頭山

색인어
이름
穆克登, 朴權, 李善溥, 克登, 克登, 金應瀗, 金慶門, 慶門, 吳兆騫, 兆騫, 穆克登, 韓翼謩, 兪拓基
지명
白頭山, 鴨綠江, 混同江, 阿也苦河, 白頭山, 分水嶺, 白頭山, 黑龍江, 鴨綠, 長白山, 混同, 鴨綠, 松花, 黑龍, 混同江, 朝鮮, 鴨綠江, 松花, 松花, 江蘇, 寧古塔, 長白山, 白頭山, 不咸山, 長白山, 崑崙, 大漠, 醫巫閭山, 遼東, 白頭山, 茂山, 白頭, 會寧, 會寧, 松花, 黑龍, 混同, 鴨綠, 阿也苦河, 鴨綠, 土門, 阿也苦河, 土門, 分水嶺, 白頭山, 白頭山, 白頭山, 白山, 咸鏡道, 甲山府, 雲寵堡, 望德, 白頭山
관서
茂山府, 會寧府, 會寧府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백두고적고(白頭古蹟攷) : 백두산의 옛 유적 및 관련 사건들을 소개하고 이 산이 조선의 조종산(祖宗山)이자 열성(列聖)의 발상지이니 각(閣)을 지어 제사지내기를 바람 자료번호 : jc.d_0008_0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