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이반한 무리를 포용하여 강성함을 칭하였고, 부용한 김씨를 이어 [왕]성으로 삼았다.

이반한 무리를 포용하여 강성함을 칭하였고, 부용한 김씨를 이어 [왕]성으로 삼았다.
『괄지지』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신라 왕성은 김씨인데, 그 선조가 나온 바는 자세하지 않다.” 수대의 『동번풍속기』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김씨 성이 서로 계승한 것이 30여 대였는데, 그들의 선조는 백제에 부용하였다. 고려를 정벌하자주 001
각주 001)
竹內理三은 주체를 隋로 파악하였고(竹內理三, 『翰苑』, 大宰府 天滿宮文化硏究所, 1977, 42쪽) 湯淺幸孫은 백제로 보았다(위의 책, 99쪽). 곽승훈은 『隋書』, 『北史』, 『太平寰宇記』 원문에 백제가 명시됨을 근거로 백제로 보는 것이 옳다고 하였고, 그 시점에 대해서는 장수왕대 이후 백제와 신라가 연합하여 고구려의 남쪽을 압박한 때라고 하였다. 북진 과정에서 고구려인들이 신라로 귀부, 망명했는지는 의문시하면서 한강 유역을 신라가 점령한 사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곽승훈, 위의 논문, 277쪽).
닫기
[고]려인이 역을 감당하지 못하고 서로 이끌고 귀부하니, 드디어 강성하게 되었다. 관에는 17등급이 있다. 첫 번째는 이벌간, 두번째는 이척간, 세 번째는 잡간, 네 번째는 파진간, 다섯 번째는 대아간, 여섯 번째는 아간, 일곱 번째는 을길간, 여덟 번째는 사돌간, 아홉 번째는 급벌간, 열 번째는 대나마, 열한 번째는 나마, 열두 번째는 대사, 열세 번째는 소사, 열네 번째는 길사, 열다섯 번째는 대오, 열여섯 번째는 소오, 열일곱 번째는 조위이다.주 002
각주 002)
참고
등위隋書
(636)
北史
(627~659)
梁書
(629~636)
南史
(627~649)
通典
(766~801)
太平寰宇記
(10C~11C)
1伊罰干伊罰干子賁旱支子賁旱支伊罰于伊罰干
2伊尺干伊尺干齊旱支齊旱支伊尺于伊尺干
3迎干迎干謁旱支謁旱支迎于迎干
4破彌干破彌干壹告支壹告支破彌于破彌干
5大阿尺干大阿尺干奇貝旱支奇貝旱支大河尺于大阿尺干
6阿尺干阿尺干 壹旱支河尺于阿尺干
7乙吉干乙吉干 乙吉于吉干
8沙咄干沙咄干 沙咄于沙咄干
9及伐干及伐干 及伏于及伏干
10大奈摩干大奈摩干 大奈摩大奈摩干
11奈摩奈摩 大舍奈摩干
12大舍大舍 小舍大吉
13小舍小舍 吉土小吉
14吉土吉士 大烏吉土
15大烏大烏 小烏大烏
16小烏小烏 達位小烏
17造位造位 造位
닫기
 
• 참고
『太平寰宇記』 卷174 新羅 按隋東藩風俗記云 金姓相承三十餘葉 文帝拜爲樂浪郡公新羅王 又按其先 附庸於百濟 後因百濟征高麗 人不堪戎役 相率歸之 遂致强盛 因襲加羅任那諸國滅之 並三韓之故地也 其西北界大牙出高麗百濟之間 官有十七等 其一曰 伊罰干貴相如 次伊尺干 次迎干 次破彌干 次大阿尺干 次阿尺干 次吉干 次沙咄干 次及伏干 次大奈摩干 次奈摩干 次大吉 次小吉 次吉土 次大烏 次小烏 次造位外 外有郡縣 其文字甲兵 同於中國 選人之壯健者 悉入軍鋒戍邏 俱有營屯步伍 風俗者 刑政衣服 畧與高麗百濟同
『隋書』 卷81 新羅 傳祚至金眞平 開皇十四年 遣使貢方物 高祖拜眞平爲上開府樂浪郡公新羅王 其先附庸於百濟 後因百濟征高麗 高麗人不堪戎役 相率歸之 遂致强盛 因襲百濟附庸於迦羅國

  • 각주 001)
    竹內理三은 주체를 隋로 파악하였고(竹內理三, 『翰苑』, 大宰府 天滿宮文化硏究所, 1977, 42쪽) 湯淺幸孫은 백제로 보았다(위의 책, 99쪽). 곽승훈은 『隋書』, 『北史』, 『太平寰宇記』 원문에 백제가 명시됨을 근거로 백제로 보는 것이 옳다고 하였고, 그 시점에 대해서는 장수왕대 이후 백제와 신라가 연합하여 고구려의 남쪽을 압박한 때라고 하였다. 북진 과정에서 고구려인들이 신라로 귀부, 망명했는지는 의문시하면서 한강 유역을 신라가 점령한 사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곽승훈, 위의 논문, 277쪽). 바로가기
  • 각주 002)
    참고
    등위隋書
    (636)
    北史
    (627~659)
    梁書
    (629~636)
    南史
    (627~649)
    通典
    (766~801)
    太平寰宇記
    (10C~11C)
    1伊罰干伊罰干子賁旱支子賁旱支伊罰于伊罰干
    2伊尺干伊尺干齊旱支齊旱支伊尺于伊尺干
    3迎干迎干謁旱支謁旱支迎于迎干
    4破彌干破彌干壹告支壹告支破彌于破彌干
    5大阿尺干大阿尺干奇貝旱支奇貝旱支大河尺于大阿尺干
    6阿尺干阿尺干 壹旱支河尺于阿尺干
    7乙吉干乙吉干 乙吉于吉干
    8沙咄干沙咄干 沙咄于沙咄干
    9及伐干及伐干 及伏于及伏干
    10大奈摩干大奈摩干 大奈摩大奈摩干
    11奈摩奈摩 大舍奈摩干
    12大舍大舍 小舍大吉
    13小舍小舍 吉土小吉
    14吉土吉士 大烏吉土
    15大烏大烏 小烏大烏
    16小烏小烏 達位小烏
    17造位造位 造位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이반한 무리를 포용하여 강성함을 칭하였고, 부용한 김씨를 이어 [왕]성으로 삼았다. 자료번호 : hw.k_0002_0070_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