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서쪽곁방_남쪽_묘주부인상_상세_시녀1

  • 저필자
    김진순(부산국제여객터미널 문화재감정관)
안악 3호분 서쪽 곁방 남쪽 벽의 묘주 부인초상 그림에 등장하는 시녀의 모습이다. 두 손을 소매 자락 안으로 마주 잡고 서있는, 매우 공손한 자세로 묘사되었다. 아마도 귀부인을 가장 가까이 모셨던 참모격인 시녀가 아닌가 생각된다. 머리 장식은 귀부인과 마찬가지로 고리 튼 머리 형식을 보여준다. 단지 초승달모양의 머리 장식 아래로 긴 머리를 내려트리지 않은 것과 머리를 고정하는데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붉은 막대 장식이 귀부인의 것보다 소박한 형태를 보여준다는 점이 다르다. 특히 초승달 모양의 심에 머리를 감아 돌린 후, 머리가 풀리지 않도록 끝부분을 붉은 색의 비단 끈으로 묶어 고정시킨 모습이 확인된다. 초승달 모양의 머리 장식을 가채머리로 여길 수 없는 중요한 단서이다. 사실적인 묘사가 돋보이는 매우 훌륭한 작품이다. 이처럼 고구려 시대의 평양일대에서는 여인들 사이에 고리 튼 머리 형식이 신분과 관계없이 유행하였던 것으로 보이는데, 고대 여인들이 아름다움 앞에서는 모두 평등하였다는 사실이 매우 흥미롭다.
의복은 흰색의 속저고리에 다시 붉은 색의 화려한 겉저고리를 덧입었다. 저고리는 상부는 붉은 색이지만 하부는 흰색의 레이스를 달아 놓은 것처럼 주름이 많이 잡혀 있다. 서로 다른 천을 허리 부분에서 이어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하의로는 폭이 넓은 주름 잡힌 치마를 입었고 붉은 신을 신었다. 묘주 부인의 옷에 사용된 화려한 비단과는 견주기 어렵지만 저고리의 디자인은 부인의 것을 따르고 있어 시녀들 가운데에서도 어느 정도 지위를 가진 여인이라 하겠다. 전체적인 인상이 묘주 부인과 같이 풍만하면서도 위엄 있는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남자 묘주초상화에서처럼 인물들의 얼굴에 개성이 드러나지 않은 점이 유일한 단점이라 하겠다. 고대 인물회화에서 흔히 발견되는 특징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서쪽곁방_남쪽_묘주부인상_상세_시녀1 자료번호 : kk.d_0003_0040_0030_001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