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속자치통감장편

우사간(右司諫) 왕적(王覿)의 마사(馬事)와 정사(政事)의 개변(改變) 등에 관한 상언

  • 날짜
    1086년 11월 (음)(元祐 元年(1086) 11月 壬申)
  • 출전
    卷391 元祐 元年(1086) 11月 壬申
左司諫王覿言, “臣近以爲馬事不經由駕部, 高麗·夏國進奉不經由鴻臚, 失本末之序, 有害官制, 非經久之道. 其狀於九月二十八日投進訖, 至今未蒙施行.
臣竊以朝廷改更政事, 皆出不得已, 若可以改·可以無改, 則不若因仍舊貫之爲愈也. 況徒致紛更之勞, 未見其利, 且復有害者, 又可以輕改哉. 夫尙書省六曹無所不統, 實姬周六官之遺法也. 今內則寺·監分治場務, 外則監司分治郡縣, 而六曹二十四司行其政令焉, 乃上下相維之序, 不可亂也.
若使駕部不得預太僕之馬政, 何異提刑司不得預州縣之刑獄, 轉運司不得預州縣之錢穀哉. 於州縣則便矣, 論朝廷之綱紀則非也. 使鴻臚不得預高麗·夏國之朝貢, 而專之於主客, 何異州縣不得治刑獄·錢穀, 而專之於提刑·轉運司. 於提刑·轉運司則專矣, 論朝廷之綱紀則非也.
誠使如建議者之意, 以謂馬事不經由駕部而後功可成, 則是省曹有害於寺·監, 而凡事在於寺·監者, 省曹皆可以不預矣, 何獨駕部也. 謂高麗·夏國朝貢不經由鴻臚而後事可濟, 則是寺·監無益於省曹, 而凡事在於寺·監者, 皆可以歸之於省曹矣, 何獨鴻臚也.
若此, 則場務亦可不隸寺·監, 而省曹亦可專領場務矣. 太僕不肯領車營·致遠等務, 而歸之駕部, 是也. 以至凡所謂法度綱紀者, 顛倒錯亂, 無所不可矣. 此豈陛下增修典法, 欲以維持長久之意也. 臣竊爲朝廷惜之. 伏望聖慈特賜指揮, 檢會臣九月二十八日奏狀, 早賜施行.”
貼黃稱, “馬事不經由駕部, 此太僕寺之所欲也. 大凡欲專權而自快者, 皆惡於屬人. 如張誠一用事之際, 嘗領牧馬矣, 亦不肯有所屬, 朝廷俯從其意, 亦欲其有成而已. 誠一豈不專哉. 然終以敗事而無所成就, 此非駕部之爲害也明矣. 今太僕已欲襲蹈誠一之跡, 可復許哉. 臣謂若使駕部預太僕之馬政, 決不爲馬政之害, 而亦須有補及可以存朝廷之紀綱也. 惟聖慈詳察.”

색인어
이름
王覿, 張誠一, 誠一, 誠一
지명
高麗, 夏國, 高麗, 夏國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우사간(右司諫) 왕적(王覿)의 마사(馬事)와 정사(政事)의 개변(改變) 등에 관한 상언 자료번호 : jt.d_0006_0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