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일본서기

소아적형신과 유간황자가 뜻이 같음을 확인함

11월 경진삭 임오(3일)에 유수관주 001
번역주 001)
留守官은 천황이 행차할 때 皇居나 皇都를 지키는 官이다.
닫기
소아적형신(蘇我赤兄臣;소가노아카에노오미)주 002
번역주 002)
天智朝의 중신이며 『公卿補任』에서는 馬子의 孫, 雄當(雄正子)의 아들이라고 적고 있다. 딸을 中大兄과 大海人皇子에게 시집보냈으며, 筑紫率을 거쳐 좌대신에 이르렀지만 壬申의 난 이후 유배되었다.
닫기
유간황자에게 “천황이 행하는 정사에는 세 가지 잘못주 003
번역주 003)
소아적형의 ‘三失’에 대한 비판적인 언사에 대해서는 사건 이후의 경과 등을 고려하여 배후에 있던 중대형의 지시에 의해 유간황자를 제거하기 위해 도발한 것이라는 설과 적형이 중대형에게 받아들여지기 위해 도발했다는 설, 그리고 적형이 도중에 배반했다는 설 등이 제시되어 있다.
닫기
이 있습니다. 큰 창고를 지어 백성의 재물을 모아 쌓아둔 것이 첫째이고, 길게 수로를 만들어주 004
번역주 004)
제명천황 2년 시세조의 ‘狂心渠’를 가리킨다.
닫기
나라의 양식을 낭비한 것이 둘째이며, 배에 돌을 싣고 날라다가 담을 쌓은 것주 005
번역주 005)
제명천황 2년 시세조의 ‘石山丘’를 가리킨다.
닫기
이 셋째입니다.”라고 말하였다. 그러자 유간황자적형이 자기에게 호의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고 기뻐하며 “나도 이제 군대를 일으킬 수 있는 나이가 되었다.”고 답하였다.

  • 번역주 001)
    留守官은 천황이 행차할 때 皇居나 皇都를 지키는 官이다.바로가기
  • 번역주 002)
    天智朝의 중신이며 『公卿補任』에서는 馬子의 孫, 雄當(雄正子)의 아들이라고 적고 있다. 딸을 中大兄과 大海人皇子에게 시집보냈으며, 筑紫率을 거쳐 좌대신에 이르렀지만 壬申의 난 이후 유배되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3)
    소아적형의 ‘三失’에 대한 비판적인 언사에 대해서는 사건 이후의 경과 등을 고려하여 배후에 있던 중대형의 지시에 의해 유간황자를 제거하기 위해 도발한 것이라는 설과 적형이 중대형에게 받아들여지기 위해 도발했다는 설, 그리고 적형이 도중에 배반했다는 설 등이 제시되어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4)
    제명천황 2년 시세조의 ‘狂心渠’를 가리킨다.바로가기
  • 번역주 005)
    제명천황 2년 시세조의 ‘石山丘’를 가리킨다.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소아적형신, 유간황자, 유간황자, 적형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소아적형신과 유간황자가 뜻이 같음을 확인함 자료번호 : ns.k_0040_0050_006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