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1) 층위

2017년도 발굴조사를 통해 제53구역의 위 건축면 층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섹터 1과 섹터 2의 문화층의 두께는 전체적으로 0.9m까지, 섹터 3에서는 0.24m까지, 수혈 구덩이의 내부를 정리한 깊이까지 고려하면 1.2m까지였다(도면 324~340).
발굴조사가 된 부분의 전체 층위는 다음과 같은 양상을 보였다(도면 324~340).
 
- 표토와 부식토(두께 12~22cm)
- 거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알록달록한 무른 사질토(16~26cm)
- 단단한 갈색 사질토(38cm까지)
- 황갈색의 거친 모래(10~24cm)
 
섹터 1과 섹터 2의 베(Б)-5-엠(М)-5선 남동벽 토층은 다른 벽의 토층에 비해 더 두텁다(도면 324, 326).
 
- 표토와 부식토(14~34cm), 경작의 흔적이 잘 확인된다.
- 두꺼운 단단한 갈색 사질토층(10~42cm)이 베(Б)-제(З)-5방안에서 관찰된다. 이 사질토층과 표토 사이에는 게(Г)-데(Д)-5방안에서는 큰 입자의 모래가 섞인 암갈색 사질토층(10~20cm)이, 예(Е)-줴(Ж)-5방안에서는 무르고 알록달록한 갈색 사질토층(10~20cm)이 각각 구분된다. 단단한 갈색 사질토층 아래에는 벽의 거의 모든 구간에 걸쳐 단단한 암갈색 사질토층(6~20cm)이 분포한다.
- 줴(Ж)-엘(Л)-5방안에서는 표토 아래에 무르고 알록달록한 갈색 사질토층(12~27cm)이, 그 아래에는 두께가 10~16cm인 황갈색의 작은 입자 모래층이 각각 위치한다.
- 엘(Л)-5방안에는 모래 간층들과 다양한 입자의 모래가 섞인 사질토 간층들이 두께 10cm까지로 관찰되었다.
 
섹터 3에서는 오(О)-5-떼(Т)-5선의 남동벽 토층이 2개의 층으로 구분된다.
 
- 두께 14~20cm의 표토와 큰 입자의 모래가 섞인 알록달록하고 무른 갈색 사질토층(10~20cm)
 
섹터 1과 섹터 2의 엠(М)-베(Б)-5'선 북서벽 토층은 다음과 같은 층위 양상을 보인다(도면 328, 330).
 
- 표토와 부식토(15~25cm)
- 엠(М)-까(К)-5' 방안에는 표토 아래에 큰 입자의 모래가 섞인 단단한 갈색 사질토층(7~22cm)이 위치하는데, 이 사질토층은 게(Г)-베(Б)-5' 방안까지 이어져 있다. 까(К)-5' 방안에서 이 사질토층은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무른 알록달록한 갈색 사질토층(두께 23cm까지)으로 바뀐다. 이 사질토층은 예(Е)-5' 방안까지 이어진다. 이 사질토층의 아래로 이(И)-예(Е)-5' 방안에는 큰 입자의 모래와 작은 돌들이 섞인 갈색 사질토층(두께 10~14cm)이, 데(Д)-붸(В)-5' 방안에는 알록달록한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이 각각 위치한다. 붸(В)-베(Б)-5' 방안에는 이 사질토층이 두께 5cm까지의 황갈색 모래 간층으로 바뀐다.
- 엠(М)-까(К)-5' 방안에는 큰 입자의 모래가 섞인 단단한 갈색 사질토층 아래에 조금 덜 단단한 갈색 사질토층(8~26cm)이, 그 아래에는 모래가 많이 포함된 얇은 무른 사질토 간층이 각각 위치한다. 이 사질토 간층은 엠 (М)-까(К)-5' 방안에서 상당히 두꺼운 단단한 갈색 사질토층(6~16cm)에 의해 교체된다.
- 까(К)-베(Б)-5' 방안에는 황갈색의 밝은 굵은 입자 모래층이 두께 10~24cm로 길게 위치한다. 그 아래로 줴(Ж)-예(Е)-5' 방안에는 무른 황갈색의 거친 입자 모래층이, 예(Е)-베(Б)-5' 방안에는 거친 입자의 모래가 섞인 무른 갈색 사질토층(6~14cm)이 각각 위치한다. 다시 그 아래로 제(З)-베(Б)-5' 방안에는 다양한 입자의 모래가 섞인 단단한 갈색 사질토층이 두께 12~24cm로 위치하면서 섹터 1의 구들 주거지 내부 퇴적토 윗부분을 이루고 있다.
- 베(Б)-5' 방안에는 중간 크기와 큰 크기의 황색 모래 입자 간층들이 포함된 무른 갈색 사질토층(10~18cm) 가장 두꺼운 토층을 이루고 있다. 그 아래에는 작은 입자의 황색 모래 얼룩들이 포함된 갈색 사질토층(두께 10cm까지)이 위치한다.
 
섹터 3의 떼(Т)-5'-오(О)-5'선 북서벽 토층은 다음과 같은 층위 양상을 보인다(도면 329, 331).
 
- 표토와 부식토(12~24cm).
- 큰 입자의 모래가 섞인 알록달록한 무른 갈색 사질토층, 두께 6~12cm.
- 다음 토층들은 발굴구역의 벽에 그 단면이 조사된 수혈 구덩이의 내부 퇴적토를 반영한다. 수혈 구덩이 2(떼(Т)-5' 방안)에는 알록달록한 갈색 사질토층 아래에 큰 입자의 모래가 섞인 암갈색 사질토층(6~12cm)이 위치한다. 수혈 구덩이 2의 기본 층위는 부식토화된 얼룩들과 모래들이 섞인 갈색 사질토층인데, 이 사질토층 안에는 암갈색과 회갈색의 사질토 간층들도 포함되어 있다.
- 수혈 구덩이 3(에르(Р)-오(О)-5' 방안)에는 알록달록한 갈색 사질토층 아래에 부식토화한 얼룩들과 모래들이 섞인 갈색 사질토층이 두께 45cm까지로 위치하는데, 오(О)-5' 방안에서 회갈색의 짙은 사질토층(6~26cm)과 경계한다. 이 두토층 아래로는 회색 모래 얼룩들이 포함된 암갈색 사질토층(두께 48cm까지)과 황갈색 모래 간층들이 위치하였다.
 
섹터 1과 섹터 2의 베(Б)-5'-베(Б)-5선 북동벽 토층의 층위 양상은 다음과 같다(도면 332, 334).
 
- 표토와 부식토(두께 18~24cm).
- 북동벽에는 거의 전 구간에 걸쳐 표토와 부식토 아래로 거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알록달록한 무른 사질토층이 두께 5~22cm로 위치하였다. 다만 베(Б)-4-5방안에는 표토와 부식토 아래로 단단한 갈색 사질토층(14~40cm)이 있었다.
- 베(Б)-5'-4' 방안에는 갈색의 알록달록한 사질토층 아래로 황갈색의 큰 입자 모래 간층들이 두께 6~24cm로 위치하였다. 베(Б)-4' -1' 방안에는 거친 입자의 모래와 쇄석이 섞인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18~26cm)이 있었다. 이 사질토층은 베(Б)-2' -1' 방안에서 갈색 사질토층(두께 23cm까지) 아래로 이어진다. 베(Б)-1' -4방안에는 거친 입자의 모래가 섞인 암갈색 사질토층이 베(Б)-4방안의 단단한 갈색 사질토층과 경계한다.
- 베(Б)-5'-3' 방안에는 중간 크기와 큰 크기의 모래 입자 간층들이 섞인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8~22cm) 아래에 작은 입자의 황색 모래 얼룩들이 섞인 갈색 사질토층(5~10cm)이 위치한다.
- 베(Б)-2'-베(Б)-3방안에서는 황갈색의 알록달록한 석립이 섞인 다양한 크기 모래 간층, 황갈색의 큰 입자 모래 간층, 거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른 사질토간층 등 얇은 간층들이 많이 구분되었다. 베(Б)-1' -4방안에는 이 간층들 아래에 부드러운 갈색의 사질토층(4~16cm)이 위치하였다.
- 베(Б)-4-5방안에서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토층은 두께가 4~10cm인 매우 단단한 갈색의 사질토층이었다. 이 사질토층은 베(Б)-1-3방안에서 암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7~14cm)으로 교체되었다. 베(Б)-2' -1' 방안에서는 두께 5~10cm의 작은 입자 모래들이 섞인 갈색의 사질토층이 아래 토층을 이루고 있었다.
 
섹터 1과 섹터 2 사이 줴(Ж)-5-줴(Ж)-5'선 둑의 토층 양상은 다음과 같다(도면 333, 335).
 
- 표토(14~22cm).
- 줴(Ж)-5-2' 방안의 둑 구간에는 표토 아래에 큰 입자의 모래들이 섞인 알록달록한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10~34cm)이 위치하였다. 그 아래로 줴(Ж)-5-4방안에는 단단한 갈색의 사질토층(10~20cm)이 있다. 이 사질토층은 줴(Ж)-4방안에서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과 경계하는데, 황갈색의 다양한 입자 모래층(두께 15cm까지)이 그 두 토층을 갈라 놓고 있다. 줴(Ж)-2-2' 방안에는 거친 입자의 모래와 쇄석이 섞인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이 두께 10cm까지로 위치한다. 이 토층은 줴(Ж)-1' 방안에서 거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 아래로 들어가 있다.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토층은 단단한 암갈색의 사질토층(4~24cm)과 다양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4~10cm)이다.
- 줴(Ж)-2' -5' 방안의 둑 일부는 보다 얇고 그리고 모래층들로 이루어져 있다. 줴(Ж)-3' -4' 방안에는 표토 바로 아래에 큰 입자의 황갈색 모래층(4~14cm)이 놓여 있었다. 이 모래층은 이전에 확인된바 있는 큰 입자의 모래가 섞인 알록달록한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6~17cm)을 덮고 있었다. 그 아래에는 큰 입자의 모래와 잔돌들이 섞인 갈색의 사질토층(7~14cm)이 위치하였다. 그 아래에는 밝은 황갈색의 거친 입자 모래층(8~16cm), 거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층(12cm까지), 그리고 가장 아래에는 다양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4~14cm)이 차례로 놓여 있었다.
 
섹터 2와 섹터 3 사이 엔(Н)-5-엔(Н)-5'선 둑의 토층 양상은 다음과 같다(도면 336, 338).
 
- 표토(12~24cm).
- 둑 전체적으로 표토 아래에는 큰 입자의 모래가 섞인 알록달록한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10~40cm)이 위치한다. 엔(Н)-5방안에는 이 사질토층 아래에 갈색의 작은 입자 모래 간층(10cm까지), 무른 갈색의 사질토 간층(10~16cm), 그리고 작은 입자의 황색 모래 얼룩들이 섞인 갈색 사질토 간층(14~20cm)이 각각 있다. 그 아래로 엔(Н)-5-엔(Н)-4방안에는 작은 입자의 모래가 섞인 단단한 갈색의 사질토층(16~18cm)과 단단한 갈색 사질토층(8~18cm)이 놓여 있었다.
- 엔(Н)-3-엔(Н)-1방안에는 큰 입자의 모래가 섞인 알록달록한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 아래에 큰 입자의 모래와 잔돌들이 섞인 갈색의 사질토층(4~28cm)이 놓여 있었다. 이 사질토층은 엔(Н)-1방안에서 두께 18cm까지의 단단한 갈색 사질토층과 경계한다. 이 토층들 아래에는 중간 크기와 큰 크기의 모래 간층들이 섞인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10~20cm)과 잔돌들과 무른 갈색 사질토 및 암갈색 사질토 간층들이 섞인 단단한 회갈색 사질토층(14~24cm)이 위치한다.
- 엔(Н)-2' -엔(Н)-5' 방안에는 큰 입자의 모래가 섞인 알록달록한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 아래에 다음과 같은 많은 얇은 층들이 놓여 있다. 암갈색 사질토층(8~10cm), 무른 갈색 사질토층(2~6cm), 작은 입자 모래와 잔돌들이 섞인 갈색 사질토층(4~6cm), 황갈색의 큰 입자 모래층(5~10cm). 상대적으로 두꺼운 토층은 엔(Н)-3' -엔(Н)-5' 방안의 중간 크기와 큰 크기의 모래 간층들이 섞인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10~20cm)이다. 이 사질토층 아래에는 작은 입자의 모래와 잔돌들이 섞인 갈색의 사질토층(5~20cm)이 놓여 있다. 가장 아래의 토층은 단단한 철화 모래층인데 중간 크기와 큰 크기의 모래 간층들이 섞인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두께 14cm까지)과 경계하고 있었다.
- 엔(Н)-5' 방안에는 대부분 다음과 같은 얇은 간층들이 차지하고 있었다: 작은 입자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 간층(두께 14cm까지), 철화 모래 간층(4~6cm), 단단한 갈색 사질토 간층(2~4cm).
 
섹터 3의 떼(Т)-5-떼(Т)-5' 선 남서벽 토층의 양상은 다음과 같다(도면 337, 339). 기본 토층은 표토(10~28cm)와 큰 입자의 모래가 섞인 알록달록한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5~10cm)이다. 남서벽에 남은 수혈 구덩이 2의 단면은 상당히 복잡한 토층 양상을 보여준다. 수혈 구덩이 2의 단면 문화층은 두께가 1.2m까지 노출되었다. 표토 아래에 거친 입자의 모래와 다양한 입자의 회갈색 모래 간층들과 알록달록한 갈색 모래 간층들이 섞인 암갈색 사질토층(10~16cm)이 위치하였다. 그 아래에는 회갈색의 짙은 사질토층(6~10cm)이 놓여 있었다. 수혈 구덩이의 기본 토층은 부식토 얼룩들이 섞인 갈색 사질토층이다. 이 토층에는 암갈색의 짙은 사질토 작은 얼룩들이 매우 많이 섞여 있었다.
문화층에 대한 정리조사는 각각의 섹터들에서 인공층 단위로 차례로 실시하였다. 인공층들의 두께는 평균 10~15cm로 하였다. 전체적으로 섹터 1과 섹터 2에서는 5개의 인공층을 조사하였고, 섹터 3에서는 1개의 인공층을 조사하였다. 섹터 1과 섹터 2에서는 4개의 구덩이가 조사되었다. 섹터 3에서는 문화층이 19세기 말~20세기 초에 한국 사람들이 남긴 저장 구덩이인 수혈 구덩이들로 인해 심하게 훼손되어 있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1) 층위 자료번호 : kr.d_0014_0030_003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