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2018년도 발굴조사

크라스키노발해성

서론

  • 저필자
    김은국, 정석배, E.I. 겔만
2018년 7월 15일부터 8월 17일까지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극동제민족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와 대한민국 동북아역사재단은 동북아역사재단과 러시아학술재단의 지원(No. 14-18-01165 “극동 중세 제국의 도시들”)으로 러시아연방 연해주 하산 지구에 위치하는 크라스키노 성에서 공동으로 고고학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도면 1~4). 발굴조사는 러시아과학원 고고학연구소 야외조사부에서 E.I. 겔만에게 발급한 발굴조사허가서 No. 866에 따라 실시되었다. 발굴조사는 세 지점에서 진행되었다(도면 5, 6).
 
- 성의 북서쪽 부분에서는 제48구역(77m²)에 대한 발굴조사를 계속해서 진행하였다.
- 성의 북서쪽 부분에서는 제51구역(56m²)에 대한 발굴조사를 계속해서 진행하였다. 이 발굴구역은 남쪽으로는 과거 발굴을 한 사원지와, 서쪽으로는 성벽과 각각 인접한다.
- 성의 북쪽 가운데 부분에서는 제53구역(291m²)에 대해 발굴조사를 하였다. 이 발굴구역은 남서쪽으로 제50구역과 인접한다.
 
발굴조사는 여러 단계에 걸쳐 거주하였던 성 주민들의 물질적 및 정신적 문화, 발해 주민들과 자연환경 사이의 상호관계, 그리고 유적의 상대적 및 절대적 연대 등에 관한 포괄적이고 완전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2018년도 크라스키노 성 발굴 기간 동안의 기본 과제들은 다음과 같았다.
 
- 주거지 잔재들과 경제 구덩이들이 있는 제48구역의 아래 (제5)건축면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한다.
- 제51구역의 도로 유구를 계속해서 조사한다. 이 도로 유구는 성벽과 사역의 담장에 바로 인접한다. 2017년에는 이 도로 유구에 대한 발굴조사가 제3건축면의 위 부분 단계에서 중단되었다. 이 구역에서 아랫건축면들에 대해 계속해서 발굴조사를 하는 것은 성 존속 여러 단계에서의 성의 평면 배치를 밝혀내고, 사원지와 주거구역 사이의 건축면들의 상호관계와 성벽 위 부분의 축조, 수축, 증축의 각 단계들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 2017년에 발굴조사를 시작한 유적 북쪽 중앙 부분의 제53구역에서는 2018년에도 계속해서 발굴조사를 한다(2017년에 윗건축면의 구조물들이 노출되었다). 유적이 이 부분에 대한 아랫건축면들에서의 평면 배치를 밝힐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발굴조사는 424m2 면적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고고학 발굴조사를 통해 출토된 유물들은 모두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극동제민족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박물관에 그리고 관련 야외조사 서류들은 초기중세고고학 분과에 각각 보관되어 있다.
크라스키노 발굴조사단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블라디보스톡) E.I. 겔만 박사(발굴단장), E.V. 아스따쉔꼬바 박사, Ya.E. 삐스까료바 박사, 선임 연구원 겸 박사과정 A.S. 보루루예바, 연구원 T.A. 삐스까료바.
- 동북아역사재단 (대한민국, 서울) 김은국 박사 (재단 연구위원 겸 한국측 발굴조사 책임자), 한국전통문화대학교(부여) 정석배 교수.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김영길 석사과정, 최슬기 석사과정, 강나루 학생, 황진서 학생.
 
크라스키노 고고학조사단에는 다음의 인물들이 포함되었다.
 
-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박사과정 A.S. 이그나뗀꼬.
- 극동연방대학교 박사과정 R.A. 그리찌께비치.
-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E.V. 또로뽀바 도서관장.
- 연해주 정보 프로그램국 직원(“베스찌: 쁘리모리예”, 국립 텔레비전 라디오 채널 방송 블라디보스톡) V.S. 찌노브낀.
- 블라디보스톡 극동연방대학교 석사과정 A.L. 꼬즐로바, E.I. 란쩨바.
- 극동연방대학교 학생 A.S. 말르이쉐브, E.A. 가유띤, I.Yu. 아글레디노브, S.A. 바센꼬, E.A. 본다렌꼬, A.D. 브이꼬냐, V.A. 도로페예바, R.V. 엘리넵스끼, K.D. 레오노브, N.A. 바흐띤, I.O. 셈첸꼬, D.A. 소로끼나, I.A. 차조브, D.M. 줴블라꼬브, D.V. 꾸쥬린, V.G. 오부호바, S.D. 오제랸꼬, R.E. 브이스꾸보브, A.P. 까자레즈, S.N. 꼬르닐로브, A.A. 우샤꼬브, A.I. 슬류사렌꼬, V.A. 레베데바, E.D. 쁘로뜨첸꼬, V.V. 쯔이레또로바, A.A. 소로꼬레또바.
- 인부 D.A. 도브르이딘, E.S. 렌쥐나, D.I. 올리페렌꼬, A.P. 그나뗀꼬, V.S. 올레니끄, A.I. 오스삐쉐바, A.V. 찌노브낀, A.O. 산니꼬브.
- 블라디보스톡과 연해주의 중등학교 및 김나지움 학생 A.S. 됴미나, A.S. 랴쉡스끼, I.V. 쉐브첸꼬, I.A. 바자노브, E.A. 이만굴로바.
- 요리사 V.J. 안줄리스.
- 운전기사 M.V. 부트.
 
발굴조사에 대한 본문 작업은 E.I. 겔만, E.V. 아스따쉔꼬바, Ya.E. 삐스까료바, 김은국, 정석배가 하였고, 본문에 대한 교열은 E.I. 겔만, 정석배, 김은국이 하였다.주 010
각주 010)
이 책의 러시아어판본은 러시아연구재단의 학술지원 프로젝트 No. 14-18-01165 “극동 중세 제국의 도시들”를 통해 준비하였다.
닫기
도면 작성과 사진 촬영은 한국과 러시아 측 발굴단의 학자들이 함께 하였다. 토제 유물에 대한 정리 작업과 통계는 A.S. 보루루예바가 하였고, 토제 유물의 분석과 실측은 E.I. 겔만이, 발굴현장에서의 유물 정리 작업은 E.V. 또로뽀바, E.I. 겔만, A.A. 보루루예바가, 유물에 대한 사진촬영은 사진작가 L.A. 까라까가 각각 하였다. 유구 실측도면에 대한 컴퓨터 작업은 D.G. 또밀로프가, 유물 실측 및 유물 실측도면 컴퓨터 작업은 선임 연구원인 S.V. 리빠또바가 하였다. 자료 정리에는 선임 연구원인 A.A. 보루루예바, 연구원 T.A. 삐스까료바, A.S. 말르이쉐브, E.S. 가유띤, 선임 연구원 겸 석사과정 N.E. 꾸쉬나레프, 석사과정 I.V. 보로딘이 함께 참여하였다.
2018년도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모든 대량유물과 개별유물들은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박물관 수장고에 전달되었고 보관되어 있다. 실측도면들과 야장들은 연구소의 초기중세고고학 분과에 보관된다. 뼈 자료들과 식물유체들은 상응하는 연구를 위해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연구소들 및 러시아과학원 시베리아지소 연구소들에 전달되었다.

  • 각주 010)
    이 책의 러시아어판본은 러시아연구재단의 학술지원 프로젝트 No. 14-18-01165 “극동 중세 제국의 도시들”를 통해 준비하였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서론 자료번호 : kr.d_0015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