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시흥 오이도 유적

  • 저필자
    오용제
  • 날짜
    1960·1988·2001~2003
  • 시대
    신석기, 초기철기, 원삼국, 통일신라
  • 위치
  • 원소장처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914외
  • 시대
    상고사
  • 유형
    무덤
입지
1960년 안말(배다리)에서 처음 확인되었고, 이후 서울대학교에서 4차례에 걸쳐 시발굴조사가 이루어짐.
유적개관
현재까지 소래벌 조개더미, 신포동 A·B·C 조개더미, 가운데 살막 가·나·다 조개더미, 뒷살막 조개더미, 작은 소래벌 A·B·C 조개더미의 6개 지역 12지점에서 조개더미 유적이 확인되었다. 조개더미는 대부분 신석기시대 조개 껍칠층 위에 삼국시대 조개껍질층이 퇴적된 양상을 보이며, 초기철기시대, 통일신라시대 이후의 조개껍질층도 확인되었다. 이는 신석기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 이후의 시대까지 이용된 유적으로서 서해안 지역주민의 생업경제와 구덩주거지, 온돌시설 등 주거양상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유적이다.
참고문헌
「오이도」, 서울대학교박물관, 2003
「오이도 뒷살막패총-시굴조사 보고서」, 서울대학교박물관, 2002
「오이도 가운데살막패총」, 서울대학교박물관, 2001
「오이도패총-신포동A,B패총발굴조사보고-」, 서울대학교박물관, 1988
해설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오이도에 위치하는 패총(貝塚) 유적이다. 오이도는 1980년대 시화공단의 조성과 관련하여 간척이 이루어지며 육지와 연결된 서해상의 섬이며, 발견된 유적은 해안의 구릉사면뿐 아니라 해안 사주(沙洲)에까지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1960년대 안말(배다리)에서 처음 유적의 존재가 확인되어 학계에 알려졌고, 이후 서울대학교 박물관에서 4차례에 걸쳐 시굴 및 발굴조사를 시행하여 소라벌 패총, 신포동 A, B, C 패총, 가운데살막 가, 나, 다 패총, 뒷살막 패총, 작은 소라벌 A, B, C 패총 등 총 6개 지역 12개 지점에서 패총 유적이 확인되었다.
많은 패총에서 빗살무늬토기를 비롯하여 신석기시대에 해당하는 다양한 토기가 확인되고 있으며 돌도끼를 비롯한 석기도 일부 확인되었다.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는 암사동에서 발견되는 구분문계토기도 확인되지만 동일문계토기도 확인되며 문양 구성은 유적마다 다양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가운데살막 ‘나’ 패총에서는 원형으로 바닥에 돌을 깔고 불을 땐 흔적이 나타나는 신석기시대의 야외노지 4기가 확인되었으며, 가운데살막 ‘다’ 패총에서는 심하게 유실된 집자리 3기가 발견되었다. 파괴가 심하여 집자리의 정확한 성격을 알기는 어려우나 화덕 주변에서 빗살무늬토기 조각이 확인되고 있어 신석기시대 해안에서 먹을거리를 채취하는 동안 이용하였던 일시적인 야영시설로 추정된다. 작은 소라벌 A 패총, 뒷살막 패총, 신포동 패총에서도 다수의 신석기시대 야외노지가 발견되었다.
한편 뒷살막 패총에서는 빗살무늬토기가 발견되는 신석기시대층 상부로 백제토기가 확인되는 삼국시대층, 그리고 그 위로 통일신라층이 확인되고 있어 이를 통해 오이도 유적의 역사성을 파악할 수 있다. 작은 소라벌 B 패총은 구릉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석기시대, 초기철기시대, 원삼국시대 유물이 조개껍질과 함께 순서대로 쌓여 발견되었다. 토기는 빗살무늬토기와 점토대토기(粘土帶土器), 경질무문토기(硬質無文土器)와 타날문토기(打捺文土器)가 다량 출토되었다. 작은 소라벌 C 패총에서는 통일신라대 집자리 14기가 확인되었는데, 이 중 5호 주거지에서는 부뚜막과 온돌 시설이 확인되었다. 완(盌)과 굽다리접시[고배(高杯)] 등의 통일신라 토기도 출토되었다.
오이도 패총은 신석기시대부터 원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 동안 이용되었던 곳으로 서해안 주민들의 생업경제와 그 변화양상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유적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시흥 오이도 유적 자료번호 : isea.d_0001_0030_0020_004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