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속자치통감장편

고려 사신이 알현하는 예법(禮法)

  • 날짜
    1071년 8월 (음)(熙寧 4年(1071) 8月 丙寅)
  • 출전
    卷226, 熙寧 4年(1071) 8月 丙寅
합문이 말하기를, “고려 사신이 알현할 때 하국의 예에 의거하여 자신전(紫宸殿)에서 입반(立班)주 001
각주 001)
立班 : 立班은 품계에 따라 자리를 정해 일어서 있게 한다는 뜻을 가진 단어이다.
닫기
하고 동타전(東朶殿)에서 연좌(燕坐)주 002
각주 002)
燕坐 : 燕坐는 편안하게 앉게 한다는 뜻을 가진 단어이고, 불교에서는 坐禪이나 음식을 보시한다는 뜻으로도 사용된다.
닫기
하려 합니다.”라고 하였다. 그것을 따랐다. 이어서 서쪽에 입반하고 연좌의 차례는 이에 의거했다.

  • 각주 001)
    立班 : 立班은 품계에 따라 자리를 정해 일어서 있게 한다는 뜻을 가진 단어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2)
    燕坐 : 燕坐는 편안하게 앉게 한다는 뜻을 가진 단어이고, 불교에서는 坐禪이나 음식을 보시한다는 뜻으로도 사용된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고려 사신이 알현하는 예법(禮法) 자료번호 : jt.k_0005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