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속자치통감장편

통주(通州)에서 고려 사신이 입공(入貢)하였다고 보고함

  • 날짜
    1071년 5월 (음)(熙寧 4年(1071) 5月 丙午)
  • 출전
    卷223, 熙寧 4年(1071) 5月 丙午
통주(通州)주 001
각주 001)
通州 : 북송의 지명. 後周 顯德 5年(958)에 靜海軍을 고쳐 설치했고, 治所는 靜海縣(현재 江蘇省 南通市)에 있었다. 天聖 元年(1023)에 崇州로 고쳤다가 明道 2年(1033)에 다시 通州로 개칭했다.
닫기
에서 고려 사신 민관시랑(民官侍郎) 김제(金悌) 등이 입공하여 해문현(海門縣)주 002
각주 002)
海門縣 : 북송의 지명. 後周 顯德 5年(958)에 설치되어 通州에 속해 있던 곳이다. 현재 江蘇省 啓東市 동북쪽 南陽村 부근에 위치해 있었다.
닫기
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조서를 내려 집현교리(集賢校理) 육경(陸經)주 003
각주 003)
陸經 : 생몰년 미상. 북송의 관인. 북송 越州(현재 浙江省 紹興) 사람으로 字는 子履이다. 인종 시기에 大理評事, 館閣校勘까지 승진하여 『崇文總目』 편찬에 참여했다. 慶曆 元年(1041)에 책이 완성되어 그 공적으로 集賢校理가 되었다. 신종 시기에는 同判太常寺 등의 관직을 역임했다. 남긴 저서로는 『寓山集』, 『祖宗獨斷』이 있다.
닫기
을 임시로 지제고 관반으로 삼고, 좌장고부사(左藏庫副使)주 004
각주 004)
左藏庫副使 : 宋代에 중앙에서 관할하는 가장 큰 財庫이다. 송대 초기에는 左藏庫使가 관할했다가 이후에 三司에 소속되었고 元豐 연간 이후에는 太常寺와 戶部에 예속되었다. 元豐新制로 정해진 左藏庫副使의 품계는 종7품이었다.
닫기
장성일(張誠一)주 005
각주 005)
張誠一 : 생몰년 미상. 북송의 관인. 북송 開封府 사람이다. 熙寧 연간에 관직이 樞密副都承旨, 西上閤門使, 榮州刺史에 이르렀다. 元豐 연간 초기에는 『高麗入貢儀式』을 편찬하는 데에 참여했다. 元豐 4年(1081)에 客省使, 樞密都承旨 겸 群牧使가 되었다. 이후에 明州觀察使가 되어 提擧經度制置牧馬司를 겸했다. 철종이 즉위하면서 知潞州로 폄출되었다.
닫기
로 하여금 그를 돕게 했다.

  • 각주 001)
    通州 : 북송의 지명. 後周 顯德 5年(958)에 靜海軍을 고쳐 설치했고, 治所는 靜海縣(현재 江蘇省 南通市)에 있었다. 天聖 元年(1023)에 崇州로 고쳤다가 明道 2年(1033)에 다시 通州로 개칭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海門縣 : 북송의 지명. 後周 顯德 5年(958)에 설치되어 通州에 속해 있던 곳이다. 현재 江蘇省 啓東市 동북쪽 南陽村 부근에 위치해 있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3)
    陸經 : 생몰년 미상. 북송의 관인. 북송 越州(현재 浙江省 紹興) 사람으로 字는 子履이다. 인종 시기에 大理評事, 館閣校勘까지 승진하여 『崇文總目』 편찬에 참여했다. 慶曆 元年(1041)에 책이 완성되어 그 공적으로 集賢校理가 되었다. 신종 시기에는 同判太常寺 등의 관직을 역임했다. 남긴 저서로는 『寓山集』, 『祖宗獨斷』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4)
    左藏庫副使 : 宋代에 중앙에서 관할하는 가장 큰 財庫이다. 송대 초기에는 左藏庫使가 관할했다가 이후에 三司에 소속되었고 元豐 연간 이후에는 太常寺와 戶部에 예속되었다. 元豐新制로 정해진 左藏庫副使의 품계는 종7품이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5)
    張誠一 : 생몰년 미상. 북송의 관인. 북송 開封府 사람이다. 熙寧 연간에 관직이 樞密副都承旨, 西上閤門使, 榮州刺史에 이르렀다. 元豐 연간 초기에는 『高麗入貢儀式』을 편찬하는 데에 참여했다. 元豐 4年(1081)에 客省使, 樞密都承旨 겸 群牧使가 되었다. 이후에 明州觀察使가 되어 提擧經度制置牧馬司를 겸했다. 철종이 즉위하면서 知潞州로 폄출되었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통주(通州)에서 고려 사신이 입공(入貢)하였다고 보고함 자료번호 : jt.k_0005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