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광번공(廣幡公; 히로하타노키미)

광번공(廣幡公; 히로하타노키미)
 백제국(百濟國) 진왕(津王; 츠와우)의 후손이다.
 
【주석】
1. 광번공(廣幡公)
광번(廣幡; 히로하타)이라는 씨명은 지명이나 직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기 어렵고, 미칭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삼대실록(日本三代實錄)』 정관(貞觀) 5년(863) 5월22일갑신조에는“산성국(山城國) 광번신(廣幡神), 전중신(田中神)을 애탕군(愛宕郡) 이좌미리(伊佐彌里)로 옮길 것을 명하였다”라고 적혀 있다. 산성국의 광번신은 광번공(廣幡公)의 씨신이라 추정된다.
광번공씨 일족으로는 천평보자 5년(761) 9월 17일 「대법거다라니경 권9 오서(大法炬陀羅尼經卷九奧書)」 (『대일본고문서』 15-125)에 나오는 광번군대명(廣幡君大名), 광번군식도(廣幡君息島), 광번군가주녀(廣幡君家主女) 등이 있다.
조(造) 성과 무성(無姓)의 광번씨는 천평 5년(733) 「우경계장(右京計帳)」(『대일본고문서』 1-488)에 기재된 광번조광안(廣幡造廣安)과 『속일본기』 천평(天平) 20년(748) 10월 정해조에 기재된 정7위하 광번우양(廣幡牛養)을 들 수 있는데, 광번우양은 진(秦)이라는 성을 받았으므로 무성의 광번씨가 진이라는 성을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광번씨 중에 진인(秦人)을 관칭한 씨족이 산성국 애탕군(愛宕郡)에 분포하고 있다. 「천평 5년(733) 산배국애탕군계장(山背國愛宕郡計帳)」(『대일본고문서』 1-514~515)에는 진인광번석족(秦人廣幡石足), 진인광번군대명(秦人廣幡君大名), 진인광번군식도(秦人廣幡君息島)를 비롯한 진인광번씨 총 21명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천평보자 5년(761) 9월 17일 「대법거다라니경권9오서(大法炬陀羅尼經卷九奧書)」(『대일본고문서』 15-125)에 나오는 광번군대명(廣幡君大名), 광번군식도(廣幡君息島)는 천평 5년 「산배국애탕군계장」 에는 진인광번대명(秦人廣幡大名), 진인광번식도(秦人廣幡息島)라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천평 5년(733)경 「산배국애탕군계장(山背國愛宕郡計帳)」(『대일본고문서』 1-514)에는 호주(戶主) 진인광번석족(秦人廣幡石足)이 39세의 정정(正丁), 아우 진인광번식도(秦人廣幡息島)는 36세 정정(正丁), 그의 아들 진인광번대명(秦人廣幡大名)은 2세라고 적혀 있다. 733년경에 진인광번식도가 36세이고 그의 아들 대명은 2세이므로, 그로부터 29년 뒤인 「천평보자 5년(761) 9월 17일 「대법거다라니경 권9 오서(大法炬陀羅尼經卷九奧書)」 의 사경지식(寫經知識)으로 등장한 광번군대명(廣幡君大名)과 식도(息島)는 진인광번대명과 진인광번식도일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르면 광번군(廣幡君)의 옛 성은 진인광번(秦人廣幡)이었음을 알 수 있다.
2. 진왕(津王)
진왕은 여기에만 보인다.
『송서(宋書)』 「이만열전(夷蠻列傳)」 백제국조에는 ‘여도(餘都)’, 『양서(梁書)』 「동이열전(東夷列傳)」 백제조에는 ‘모도(牟都)’라고 문주왕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도(都; 츠)는 진왕(津王; 츠와우)과 음운상으로 통하므로 문주왕일 가능성도 있다.
광번공은 백제국 진왕(津王)의 후손이라 주장하고 있지만, 진왕은 여기에만 보이고, 광번공씨 일족도 고문서에만 보이고 있다. 따라서 광번공과 진왕의 관계를 입증할 만한 기록이 「고기」 와 「구전」 등에 존재하지 않고 세운 조상도 의문스럽기 때문에 『신찬성씨록』편찬국에서 미정잡성으로 분류하여 기재한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광번공(廣幡公; 히로하타노키미)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90_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