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의봉(衣縫; 기누누히)

의봉(衣縫; 기누누히)
 백제국(百濟國)의 신로명(神露命; 가무로노미코토)에서 나왔다.
 
【주석】
1. 의봉(衣縫)
의봉은 화천국(和泉國) 신별 「의봉」 조에도 게재되어 있다.
의봉(衣縫; 기누누히)이라는 씨명은 의복을 짓는 일에 종사한 의봉부(衣縫部; 기누누히베)를 관할하는 반조씨족(伴造氏族)이나 그 부민의 후손이었기에 붙은 씨명이라 추정된다.
의봉씨(衣縫氏)는 본조 외에도 화천국(和泉國) 신별(神別)에 게재된 ‘요속일명(饒速日命) 6세손 이향아색웅명(伊香我色雄命)의 후손임을 주장하는 의봉씨가 있다.의봉씨 일족은 화천국 신별 「의봉」 조(703) 참조.
*의봉에 관한 전승 기사
『일본서기』 응신(應神) 14년 2월조에 “백제 왕이 봉의공녀(縫衣工女)를 바쳤는데 이름이 진모진(眞毛津)이었다. 지금 내목의봉(來目衣縫; 구메노키누누이)의 시조이다”라고 적혀 있고, 응신천황 37년 2월 시월(是月)조에는 “이달에 아지사주 등이 오(吳)에서 축자로 왔다. 이때 흉형대신(胸形大神)이 공녀(工女)들을 원했기 때문에 형원(兄媛)으로 하여금 흉형대신을 받들도록 하였다. 이는 즉 지금의 축자국에 있는 어사군(御使君; 미츠카히노키미)의 선조이다. 이 세 명의 여자를 데리고 진국(津國)의 무고(武庫)에 도착했을 때 천황이 이미 죽어 만나지 못하였다. 그래서 대초료존에게 헌상하였다. 이 여인들의 후손은 지금의 오의봉(吳衣縫; 구레노키누누히)과 문옥의봉(蚊屋衣縫; 가야노키누누히)이다”라고 적혀 있다. 또한 『일본서기』 웅략(雄略) 7년 시세조에 인용된 혹운(或云)에서는 “어떤 책에서는 길비신제군이 백제로부터 돌아와서 한수인부(漢手人部; 아야노테히토베), 의봉부(衣縫部; 기누누히베), 육인부(宍人部; 시시히토베)를 바쳤다고 적고 있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또 웅략 14년 정월 병인삭 무인조에는 “신협촌주청(身狹村主靑) 등이 오국의 사신과 함께 오(吳)가 바친 수말재기(手末才技)인 한직(漢織; 아야하토리), 오직(吳織; 구레노하토리) 및 의봉(衣縫)인 형원(兄媛; 에히메)과 제원(弟媛; 오토히메)을 거느리고, 주길진(住吉津; 스미노에노츠)에 머물렀다. 이달에 오의 사절을 위한 길을 만들어 기치진로(磯齒津路)와 통하게 하고, 오판(吳坂)이라고 이름하였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파마국풍토기(播磨國風土記)』 읍보군(揖保郡) 이세야조(伊勢野條)에는 “의봉저수(衣縫猪手; 기누누이노이테)와 한인도량(漢人刀良; 아야히토노토라) 등의 선조가 이곳으로 와서 살면서 신사를 산봉우리에 세워 공손히 제사지냈다”라고 적혀 있다.
2. 신로명(神露命)
신로명은 여기에만 보인다.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신로(神露)가 ‘가무로’라고 읽히는 백제인의 이름이며 명(命) 자는 사주(使主; 오미)나 의미(意彌; 오미)라는 말이 전화되어 사용된 것이라 추정하였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의봉(衣縫; 기누누히)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50_0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