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귤초(橘抄)』 에 이르기를...]

『귤초(橘抄)』 에 이르기를,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錄)』 제1권(第一卷), 중무경(中務卿) 4품(四品) 만다(萬多) 등 칙을 받들어 편찬하다”라고 하였다.
 
【주석】
1. 귤초운(橘抄云)
이 일문은 『태자전옥림초(太子傳玉林抄)』권제1(卷第一) 풍일천황(豐日天皇)의 사적에 인용된 것으로 제1권 권수(卷首)의 일문이다. 같은 책 권제4에서도 “『신찬성씨록』 제1권은 중무경 4품 만다 등이 칙을 받들어 편찬하다.(新撰姓氏錄第一卷, 中務卿四品萬多等奉勅撰.)”라는 내용이 보인다. 『태자전옥림초』 는 훈해(訓海)라는 승려가 편찬한 성덕태자의 전기이고, 『귤초』 는 법공(法空)이라는 승려가 쓴 책으로 『태자전옥림초』 에 인용되어 있다.
2. 신찬성씨록제일권(新撰姓氏錄第一卷)
『속일본기(續日本紀)』 권제1의 경우에도 “정유년 8월부터 경자년 12월까지 종4위하 행민부대보 겸 좌병위독 황태자학사 신 관야조신진도 등이 칙을 받들어 편찬하다.(起丁酉年八月盡庚子年十二月, 從四位下行民部大輔兼左兵衛督皇太子學士臣菅野朝臣眞道等, 奉勅撰.)”라고 되어 있고, 『일본후기(日本後紀)』 의 경우도 “연력 15년 7월부터 16년 3월까지 좌대신 정2위 겸행좌근위대장 신 등원조신동사 등이 칙을 받들어 편찬하다.(起延曆十五年七月盡十六年三月, 左大臣正二位兼行左近衛大將臣藤原朝臣冬嗣等, 奉勅撰.)”라고 되어 있으므로, 『신찬성씨록』 완본의 경우도 각 권의 수록 범위를 명시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제1권의 경우는 “좌경(左京)의 식장진인(息長眞人)부터 시작하여 섭진국(攝津國)의 위나진인(爲奈眞人)까지 44씨이다.(起自左京息長眞人, 盡攝津國爲奈眞人, 卌四氏.) 중무경 4품 신 만다 등이 칙을 받들어 편찬하다.(中務卿四品臣萬多等, 奉勅撰.)”라고 기록하였을 것이다.
3. 중무경사품만다(中務卿四品萬多)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만다(萬多)라는 이름 앞에 ‘신(臣)’이라는 글자가 있었다는 사실을 『태자전옥림초』 권제4에 인용된 이 조항과 같은 내용의 일문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그 일문에서는 중무경 4품과 만다 사이에 ‘신’이라는 글자가 있다.
그는 연력(延曆) 7년(788)에 태어나 천장(天長) 7년(830)에 죽었으며, 환무천황의 다섯째 아들이고 처음 이름은 자전(茨田)이었다. 최종 관위는 2품, 관직은 대재수(大宰帥)였고, 1품에 추증되었다. 차아조(嵯峨朝)에 『신찬성씨록』 을 편찬하여 홍인(弘仁) 5년(814)에 완성하였다. 홍인 8년(817)에 3품, 천장 7년에 2품에 서위되었다. 관직은 823년에 식부경(式部卿), 828년에 대재수에 임명되었다.
『제왕편년기(帝王編年記)』 에서도 814년 갑오 6월에 환무천황의 황자인 만다친왕과 담해공(淡海公)의 증손이자 참의(參議) 풍마(楓麿)의 아들인 우대신 등원원인(藤原園人)이 『신찬성씨록』 을 편찬하였다고 하였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귤초(橘抄)』 에 이르기를...] 자료번호 : ss.k_0003_004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