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근세 한일관계 사료집

조선인의 에도(江戸) 도착 이후의 일정

一. 2월 16일 [통신사] 에도 도착
  당일 [통신사 일행을] 맞이하기 위해 시나가와(品川)까지 나가다. 마치부교(町奉行) 쓰치야 에치젠노카미(土屋越前守)주 001
각주 001)
쓰치야 마사카타(土屋正方). 당시의 에도마치부교. 하타모토. 1752년 교토마치부교(京都町奉行), 1754년에 에도마치부교에 임명되었다.
닫기
 혼간지 여관에서 향응
    삼사·상상관(당상관)에게 7·5·3의 요리[를 대접하다]주 002
각주 002)
젠(膳)이란 접대를 위해 요리를 갖추어서 제공하는 상을 총칭한다. 일본 요리의 정식 상차림으로, 으뜸 상에 7찬(饌), 둘째 상에 5찬, 셋째 상에 3찬을 내는 성대한 요리이다.
닫기
    관관(冠官)·차관주 003
각주 003)
차관(次官)은 통신사에 대한 일본 측의 분류 등급 중의 하나. 일본 측은 통신사의 등급을 삼사(三使)·상상관(上上官)·상관(上官)·차관(次官)·중관(中官)·하관(下官) 등으로 구분했다. 차관에는 마상재(馬上才), 전악(典樂), 이마(理馬), 반당(伴倘), 선장(船將)이 해당된다. 마상재, 전악은 각 2명, 이마는 1명, 반당과 선장은 각 3명으로 삼사가 각 1명씩을 거느렸다.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이하 ‘대일외교 용어사전’으로 표기)
닫기
·소동주 004
각주 004)
나이가 어린 10대 아동. 배소동(陪小童)·소동자(小童子)라고도 한다. 소동은 직무나 소속에 따라 통인소동(通引小童), 소동통사(小童通事), 수역소동(首譯小童) 등으로 구분되며, 소동 중에는 간혹 갓을 쓸 정도의 나이인 성인도 있다. 통신사행 때 대체로 삼사(三使)가 각각 4명씩 거느렸고, 당상관이 각각 2명씩 거느렸으며, 제술관이 1명을 거느렸다. 사행 중 정사, 부사, 종사관, 제술관, 역관의 시중을 들며, 때로는 춤을 추거나 노래를 불러 사신 일행의 무료함을 달래주는 역할을 맡기도 했다. 일본 우시마도(牛窓)에는 사행 당시 소동들이 추었다고 하는 가라코 춤이 지금까지도 전해지고 있다. 통신사행 때 육로에서 소동은 상관(上官)과 마찬가지로 상마(上馬)를 타며 수종(隨從)하는 왜인들이 10명도 넘었다. (대일관계 용어사전)
닫기
·중관에게 5·5·3의 요리주 005
각주 005)
7·5·3요리에서 7찬 요리를 5찬 요리로 대신한 것. 본선(本膳)에 밥을 넣어서 5종, 니노젠(二の膳)에 5종, 산노젠(三の膳)에 3종의 요리를 내는 것이다.
닫기
   일정
2월 16일  에도 도착
  17일   국기(國忌). 18일 상사(上使)주 006
각주 006)
상사(上使)는 막부, 조정(朝廷), 주가(主家) 등 상부 권력자로부터 공명(公命)을 띠고 파견되는 사자.
닫기
  19일   곡마(마상재) 사전 확인. 쓰시마 번주 소씨 저택에서
  20일   정진일(精進日).주 007
각주 007)
정진(精進)을 행하는 특정일. 근친(近親)의 기일 등 육식을 삼가하고 불도(佛道)에 힘쓰는 날.
닫기
또한 21일부터 26일까지 법회주 008
각주 008)
불교 식의 재를 거행.
닫기
  27일   [에도성] 등성
  28일   당상관
  29일
3월 1일    마상재 관람(上覽)주 009
각주 009)
쇼군이 조선의 마상재를 관람하다.
닫기
  2일    국기(國忌)
  3일·4일  고산케(御三家)를 당상관이 순방함. 별폭(別幅) 예물을 지급.
  5일    삼사(三使)를 쓰시마노카미 저택으로 초청
  6일    활쏘기. 도에이잔(東叡山)주 010
각주 010)
도쿄 우에노(上野)에 소재하는 간에이지(寛永寺)의 산호(山號)가 도에이잔(東叡山)이다. 간에이지는 천태종 관동(關東) 총본산. 도쿠가와 쇼군 가문의 기도소(祈禱所)이자 보다이지(菩提寺)로, 도쿠가와 역대 쇼군 15명 중 6명이 간에이지에 잠들어 있다.
닫기
말사(末寺)주 011
각주 011)
원문은 하사(下寺). 게지는 본사(本寺)에 소속하는 사원, 말사(末寺)의 의미.
닫기
에서 개최
   단, 6일·7일에 여러 분들이 선물을 보내다.
  7일    용무 없음
  9일    쓰시마노카미 용무 없음
  11일    출발
  
2월 18일 상사(上使) 마쓰다이라 우콘노쇼겐(松平右近將監)
          마쓰다이라 우쿄노다이후(松平右京大夫)
          혼간지에서 향응이 있었다.

  • 각주 001)
    쓰치야 마사카타(土屋正方). 당시의 에도마치부교. 하타모토. 1752년 교토마치부교(京都町奉行), 1754년에 에도마치부교에 임명되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젠(膳)이란 접대를 위해 요리를 갖추어서 제공하는 상을 총칭한다. 일본 요리의 정식 상차림으로, 으뜸 상에 7찬(饌), 둘째 상에 5찬, 셋째 상에 3찬을 내는 성대한 요리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3)
    차관(次官)은 통신사에 대한 일본 측의 분류 등급 중의 하나. 일본 측은 통신사의 등급을 삼사(三使)·상상관(上上官)·상관(上官)·차관(次官)·중관(中官)·하관(下官) 등으로 구분했다. 차관에는 마상재(馬上才), 전악(典樂), 이마(理馬), 반당(伴倘), 선장(船將)이 해당된다. 마상재, 전악은 각 2명, 이마는 1명, 반당과 선장은 각 3명으로 삼사가 각 1명씩을 거느렸다.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이하 ‘대일외교 용어사전’으로 표기) 바로가기
  • 각주 004)
    나이가 어린 10대 아동. 배소동(陪小童)·소동자(小童子)라고도 한다. 소동은 직무나 소속에 따라 통인소동(通引小童), 소동통사(小童通事), 수역소동(首譯小童) 등으로 구분되며, 소동 중에는 간혹 갓을 쓸 정도의 나이인 성인도 있다. 통신사행 때 대체로 삼사(三使)가 각각 4명씩 거느렸고, 당상관이 각각 2명씩 거느렸으며, 제술관이 1명을 거느렸다. 사행 중 정사, 부사, 종사관, 제술관, 역관의 시중을 들며, 때로는 춤을 추거나 노래를 불러 사신 일행의 무료함을 달래주는 역할을 맡기도 했다. 일본 우시마도(牛窓)에는 사행 당시 소동들이 추었다고 하는 가라코 춤이 지금까지도 전해지고 있다. 통신사행 때 육로에서 소동은 상관(上官)과 마찬가지로 상마(上馬)를 타며 수종(隨從)하는 왜인들이 10명도 넘었다. (대일관계 용어사전) 바로가기
  • 각주 005)
    7·5·3요리에서 7찬 요리를 5찬 요리로 대신한 것. 본선(本膳)에 밥을 넣어서 5종, 니노젠(二の膳)에 5종, 산노젠(三の膳)에 3종의 요리를 내는 것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6)
    상사(上使)는 막부, 조정(朝廷), 주가(主家) 등 상부 권력자로부터 공명(公命)을 띠고 파견되는 사자. 바로가기
  • 각주 007)
    정진(精進)을 행하는 특정일. 근친(近親)의 기일 등 육식을 삼가하고 불도(佛道)에 힘쓰는 날. 바로가기
  • 각주 008)
    불교 식의 재를 거행. 바로가기
  • 각주 009)
    쇼군이 조선의 마상재를 관람하다. 바로가기
  • 각주 010)
    도쿄 우에노(上野)에 소재하는 간에이지(寛永寺)의 산호(山號)가 도에이잔(東叡山)이다. 간에이지는 천태종 관동(關東) 총본산. 도쿠가와 쇼군 가문의 기도소(祈禱所)이자 보다이지(菩提寺)로, 도쿠가와 역대 쇼군 15명 중 6명이 간에이지에 잠들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은 하사(下寺). 게지는 본사(本寺)에 소속하는 사원, 말사(末寺)의 의미.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조선인의 에도(江戸) 도착 이후의 일정 자료번호 : kn.k_0006_0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