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불파련(不破連; 후하노무라지)

불파련(不破連; 후하노무라지)
 백제국(百濟國) 사람 도모왕(都慕王)의 후손인 비유왕(毗有王)으로부터 나왔다.
 
【주석】
1. 불파련(不破連)
불파(不破)의 씨명은 미농국(美濃國) 불파군(不破郡)의 지명에서 유래한다. 현재의 기후국(岐阜國) 불파군(不破郡)이다. 이 지역에 이주한 백제계 씨족이다. 불파련씨(不破連氏) 일족은 보이지 않으나, 무성(無姓)의 인명은 다수 확인되고 있다. 『정창원문서』 에도 「불파견감(不破犬甘)」(天平寶字 8년 7월 24일자 「奉寫御經所淸經文」, 『대일본고문서』 16-465), 「불파우족(不破友足)」(神護慶雲 4년 7월 「奉寫一切經料淨衣用帳」, 동 6-8), 「불파진조(不破眞助)」(신호경운 4년 8월 「奉寫一切經料淨衣用帳」, 동 6-12) 등이 보이는데, 이 중에서 연(連) 성을 갖는 자도 있을 것이다.
2. 도모왕(都慕王)
도모왕에 대해서는 좌경 제번(하) 「불파승(不破勝)」 조(779) 참조.
3. 비유왕(毗有王)
백제 제19대 왕으로, 재위 기간은 427~455년까지이다. 우경 제번(하) 「비조호(飛鳥戶)」조(1038)에는 비유왕(比有王)으로 나오고, 『일본삼대실록』 정관 5년(863) 11월 경오조에는 우경인(右京人) 음양소속(陰陽少屬) 종6위상 비조호조궤정(飛鳥戶造潰貞) 등이 백제숙녜(百濟宿禰)로 사성받았고, 그 선조는 백제국인 비유(比有)의 후손이라고 나온다. 또 동 정관 6년 8월 신미조에는 우경인 대황태후궁소속 정7위상 백제숙녜유세(百濟宿禰有世)가 어춘조신(御春朝臣)으로 사성되었고 그 선조의 출자는 백제국인 비유(比有)라고 하였다. 여기서는 백제국인(百濟國人) 비유(比有)라고 하여 백제왕이 아닌 일반 백제인의 인명으로 표기되어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불파련(不破連; 후하노무라지)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40_0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