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중과숙녜(中科宿禰; 나카시나노스쿠네)

중과숙녜(中科宿禰; 나카시나노스쿠네)
 관야조신(菅野朝臣; 스가하라노아오미)과 조상이 같으며, 염군(鹽君)의 손인 우지(宇志)의 후손이다.
 
【주석】
1. 중과숙녜(中科宿禰)
중과숙녜의 옛 성은 왕(王)에서 진사(津史), 진련(津連)의 순으로 개성되고, 중과숙녜의 씨성을 마지막으로 관야조신(菅野朝臣)이 된다.
『일본서기』 민달기(敏達紀) 3년(574) 10월조에 선사(船史) 왕진이(王辰爾)의 동생 우(牛)가 진사(津史)의 씨성을 받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 『속일본기』 천평보자(天平寶字)2년(758) 8월 병인조에 진사추주(津史秋主) 등 34인이 사(史) 성에서 진련(津連)의 씨성으로 개성해 줄 것을 청원하자 승인받았다. 이어 『속일본기』 연력 10년 정월에 진련거도웅(津連巨都雄) 등 형제자매 7인에게 거주지에 따라 중과숙녜를 사성하였다. 중과는 하내국(河內國) 남하내군(南河內郡) 중과(中科)의 지명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
중과숙녜(中科宿禰) 일족으로는 『속일본후기』 승화(承和) 원년(834) 12월 기미조에 중과숙녜직문(中科宿禰直門), 중과숙녜계문(中科宿禰繼門) 등에게 관야조신(菅野朝臣)의 씨성을 주었고, 진련(津連)의 별성(別姓)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관야조신 일족으로는 관야조신의 성을 받은 관야숙녜계문(菅野宿禰繼門)과 관야조신제문(菅野朝臣弟門)이 있다.
2. 우지(宇志)
『일본서기』 민달기 3년(574) 10월조에 선사(船史) 왕진이(王辰爾)의 동생 우(牛)가 진사(津史)의 씨성을 받았다고 하는 우(牛)와 동인 인물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중과숙녜(中科宿禰; 나카시나노스쿠네)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40_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