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산전숙녜(山田宿禰; 야마타노스쿠네)

산전숙녜(山田宿禰; 야마타노스쿠네)
 주령왕(周靈王)의 태자 진(晉)으로부터 나왔다.
 
【주석】
1. 산전숙녜(山田宿禰)
산전(山田)의 씨명은 하내국(河內國) 교야군(交野郡) 산전향(山田鄕)의 지명에서 유래한다. 현재의 대판부(大阪府) 매방시(枚方市) 산전(山田)의 모야(牧野) 일대이다.
산전숙녜의 옛 성은 사(史)이다. 『속일본기』 천평보자(天平寶字) 3년(759) 12월 임인조에 산전사백금(山田史白金) 등이 숙녜의 성을 받았고, 동 보귀(寶龜) 원년(770) 11월 임술조에는 산전련공족(山田連公足) 등이 숙녜의 성을 받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산전숙녜의 일족 중에 산전삼정숙녜비매도(山田三井宿禰比賣島)라는 인물에 대해 이미 그 전달 7월에 고인이 되었음에도 다음과 같은 기록을 남기고 있다. 그가 귤나량마려(橘奈良麻呂)의 모반 사건을 들었으면서 은폐하고 이를 주상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문제삼아 ‘어모(御母)’의 이름을 제외시키고 숙녜의 성도 박탈하였고, 옛 성인 산전사(山田史)로 강등시켰다. 다만 이때의 폄성(貶姓)은 비매도(比賣島) 자신에 한정되었다. 비매도와 함께 사성된 산전사광인(山田史廣人)은 『속일본기』 천평보자 8년(764) 10월에 정6위상에서 종5위하로 승진되고, 산전어정숙녜공족(山田御井宿禰公足)은 『속일본기』 천평신호 원년(765) 정월에 정7위하에서 외종5위하로 승진하고 있다. 이런 면에서 보면 비매부가 산전사(山田史)로 강등된 이후에도 산전삼정숙녜(山田三井宿禰, 山田御井宿禰)의 씨명은 존속한 것으로 보인다.
산전사어형(山田史御形)은 『일본서기』 지통기(持統紀) 6년(692) 10월조에 신라에 학문승으로 파견되었고, 동 화동(和銅) 3년(710) 4월에는 주방수(周防守)가 되고, 동 양로(養老) 5년(721) 정월에는 동궁(東宮)에서 근시하도록 명받았다. 또 양로 5년(721) 정월 갑술조에는 산술가(算術家)로서 이름을 날리고 국가로부터 포상받았다. 또 동 양로 6년(722) 4월 경인조에는 주방국수(周防國守) 재임 중에 관물을 훔친 죄로 처벌받을 위기에 처했으나 학문적 재능을 인정받아 유보되었다고 한다. 『가전(家傳)』(하)에는 신귀(神龜)5년(728)경의 일로서 문학적 재능을 높이 평가받고, 『회풍조』 에 “대학두(大學頭) 종5위하 산전사삼방(山田史三方), 3수(三首)”로서 “오언(五言), 추일어장왕택연신라객(秋日於長王宅宴新羅客), 1수(一首)[竝序]” 등의 시문이 수록되어 있어 문장가로서도 이름을 남기고 있다.
산전련은(山田連銀, 山田連白金)은 『영의해부록(令義解附錄)』 천장(天長) 3년(826) 10월5일부 「응(應), 찬정영률문답사기사(撰定令律問答私記事)」 에 평성조정(平城朝廷) 양로(養老) 연간에 율령 각 10권을 간행했는데, 이때 산전련백금(山田連白金) 등이 양로율령을 읽고 가르친 사람으로 나온다. 『일본문덕천황실록』 천안(天安) 2년(858) 6월 기유조의 산전련춘성(山田連春成) 졸전에는 증조인 백금(白金)이 명법박사로서 율령의 뜻이 통하지 않은 바가 없었다고 하고, 법률을 논할 때에는 그의 율령 지식에 기준하여 판단할 정도로 뛰어났음을 기록하고 있다. 『영집해』 고과령(考課令), 내외관조(內外官條) 「고기속관(考其屬官)」 에 기록된 ‘대화산전설(大和山田說)’, ‘대화산전등(大和山田等)’의 문구는 산전련(山田連白金) 학설을 주기한 것으로 보인다.
2. 주령왕(周靈王)
동주(東周)의 제10대 왕으로, 재위 기간은 기원전 571~기원전 545년까지이다.
3. 진(晉)
영왕(靈王)의 태자이다. 『사기』 주본기(周本紀)에 영왕(靈王)이 붕(崩)하자 아들 경왕(景王) 귀(貴)가 즉위했다고 한다. 진이 영왕의 태자인 경왕 귀를 가리키는지는 알 수 없다. 가상의 인물일 가능성도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산전숙녜(山田宿禰; 야마타노스쿠네)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30_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