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화약사주(和藥使主; 야마토노쿠스리노오미)

화약사주(和藥使主; 야마토노쿠스리노오미)
 오국주(吳國主) 조연(照淵)의 손자 지총(智聰)으로부터 나왔다. 천국배개광정천황(天國排開廣庭天皇; 아메쿠니노오시하루키히로니하노스메아미코토)[시호는 흠명(欽明; 긴메이)이다.]의 치세에 대반좌호비고(大伴佐▼{弖-丿+丨}比古; 오토모노사데히코)를 따라 내외의 전(典), 약서(藥書), 명당(明堂)의 도(圖) 등 164권, 불상 1구, 기악(伎樂)의 조도(調度) 1구 등을 갖고 입조하였다. 아들은 선나사주(善那使主; 젠나노오미)이고, 천방풍일천황(天萬豐日天皇; 아메요로즈토요히노스메라미코토)[시호는 효덕(孝德; 고토쿠)이다.]의 치세에 우유를 바쳤던 까닭에 화약사주(和藥使主)의 성을 받았다. 봉납한 본방(本方)의 서(書) 130권, 명당의 도(圖) 1개, 약구(藥臼) 1개 및기악(伎樂) 1구는 지금 대사(大寺)에 있다.
 
【주석】
1. 화약사주(和藥使主)
화약(和藥)의 화(和)는 대화국(大和國, 현 奈良縣)의 지명에서 나왔고, 약(藥)은 약사(藥師)였던 직무에서 유래한다. 사주(使主)는 도래계 씨족의 인명 어미로 자주 보이며, 후에 가바네[姓]의 하나가 되었다.
화약사주의 일족으로는 화약사주복당(和藥使主福常, 『類聚三代格』 弘仁 11년 2월 27일자 「太政官府」)이 있고, 뒤에 나오는 선나사주(善那使主)와 동일 인물이다.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觀) 6년(864) 8월 신미조에는 화약사주제웅(和藥使主弟雄), 화약사주안주(和藥使主安主), 화약사주흑마려(和藥使主黑麻呂) 등의 인명이 보이고, 사주(使主)를 숙녜(宿禰) 성으로 개성하였다. 그 선조는 오국인 지총(智聰)이라고 하였다.
화약숙녜(和藥宿禰) 씨성의 일족으로는 화약사주제세(和藥使主弟歲, 『日本三代實錄』貞觀 11년 정월 을축조)가 있다. 무성(無姓)의 일족으로는 화약사주(和藥使主, 『정사요략』22, 昌泰 4년 정월 27일자 「左降除目」)가 있고, 왜약전만려(倭藥田萬呂, 『대일본고문서』3-249)는 시기적으로 보아 사주(使主)의 성으로 생각된다. 또 전약두(典藥頭)였던 화(和, 闕名, 『대일본고문서』 2-405, 天平 17년 4월 17일자 「典藥寮解」)는 화약사주씨의 일족으로 보인다.
2. 오국주조연(吳國主照淵)
이 인명은 기타의 사료에는 보이지 않는다.
3. 지총(智聰)
『일본서기』 웅략기(雄略紀) 8년(464) 2월조와 동 웅략기 12년(468)조에는 신협촌주청(身狹村主靑), 회외민사박덕(檜隈民使博德)을 오국에 보냈다고 하고, 동 웅략기 11년 7월조에는 “백제국에서 도망하여 귀화한 사람이 있었다. 스스로 귀신(貴信)이라고 불렀다. 또 말하기를, 귀신은 오국인이라고 했다”라는 기록이 있다. 동 웅략기 14년(470) 정월조의 “신협촌주청 등이 오국의 사자와 함께 오에서 바친 손재주가 있는 한직공(漢織工), 오직공(吳織工), 의봉(衣縫)인 형원(兄媛)과 제원(弟媛)을 데리고 주길진(住吉津)에 묵었다”, “오국의 손이 다닐 길을 만들어 기치진(磯齒津)의 길과 통했다. 오판(吳坂)이라 불렀다”, 동 웅략기 14년 3월의 “신련(臣連)에게 명하여 오의 사자를 마중하였다. 그 오인을 회외야(檜隈野)에 안치시켰다. 그래서 오원(吳原)이라 불렀다” 등에서 보듯이 5세기 후반에 오국으로부터의 도래 기사가 다수 등장한다. 지총(智聰)이라는 인물도 웅략기의 도래 기사를 기초로 만든 시조 설화일 가능성이 높다. 한편 이 시기의 오는 이미 멸망한 삼국 시대의 국으로서 백제로 보는 것이 합리적으로 보인다.
4. 천국배개광정천황어세(天國排開廣庭天皇御世), 대반좌호비고(大伴佐▼{弖-丿+丨}比古)
이 기사는 흠명(欽明)의 치세를 말하며, 대반좌호비고(大伴佐▼{弖-丿+丨}比古)는 대반협수언련(大伴狹手彦連)을 가리킨다. 『일본서기』 흠명기 23년(562) 8월조에 “천황이 대장군 대반련협수언을 파견하여 군사 수만 명을 이끌고 고구려를 치도록 하였다. 협수언은 이에 백제의 계책을 써서 고려를 격파하였다. 그 왕이 담을 넘어 도망하자 협수언은 드디어 승세를 타고 왕궁으로 들어가 갖가지 진귀한 보물, 칠직장(七織帳), 철옥(鐵屋)을 모두 빼앗아 돌아왔다.[옛 책에는 철옥이 고구려 서쪽의 높은 누각 위에 있었으며, 직장은 고구려 왕의 내전 침실에 걸려 있었다고 한다.] 칠직장은 천황에게 바치고 갑옷 2벌, 금으로 장식한 칼 2개, 구리 종 3개, 오색 번(幡) 2간(竿), 미녀 원(媛)[원은 이름이다.]과 그의 시녀 오전자(吾田子)를 소아도목숙녜대신(蘇我稻目宿禰大臣)에게 보냈다. 이에 대신은 두 여자를 처로 삼고 경(輕)의 곡전(曲殿)에 살도록 하였다.[철옥은 장안사(長安寺)에 있다. 이 절이 어느 국에 있는지는 알지 못한다. 어떤 책에는 11년에 대반협수언련이 백제국과 함께 고구려와 양향(陽香)을 비진유도(比津留都)에서 쫓아냈다고 한다.]”라는 기사가 보인다. 이 내용 중에 대반협수언련이라는 동일 인물, 선진 문물이라는 유사성, 물품을 보관했다는 대사(大寺)와 장안사(長安寺)라는 사찰의 공통점 등으로 보아 이 기사에 근거하여 『신찬성씨록』 편찬 시에 제출한 「본계장」 에서 술작된 것으로 보인다.
5. 내외전(內外典)
내전(內典)은 불교의 경전을 말하고, 외전(外典)은 유교의 전적류이다.
6. 명당도(明堂圖)
침술을 위한 인체 지도를 말한다. 『양로령(養老令)』 의 의질령(醫疾令), 「의침생수업(醫針生受業)」 조에도 명당 관련 기록이 보이고, 『수서』 경적지의 의방부에도 ‘명당공혈도삼권(明堂孔穴圖三卷)’ 등의 기록이 나온다. 이 명당도는 한방 의학에서 사용하는 구점도(灸点圖)이다.
7. 기악조도(伎樂調度)
기악은 고대 이집트, 인도의 가면극에 원류가 있고, 중국과 백제를 통해 일본에 들어왔다. 『일본서기』 추고기(推古紀) 20년(612) 시세조에 “백제인 미마지(味摩之)가 귀화하여 ‘오나라에서 배워서 기악의 춤을 출 줄 안다.’라고 말하였다. 즉시 앵정(櫻井)에 살게 하고 소년을 모아서 기악의 춤을 배우게 하였다. 이때 진야수제자(眞野首弟子)와 신한제문(新漢濟文) 2인이 배워서 그 춤을 전수하였다. 이것이 지금의 대시수(大市首)와 벽전수(辟田首) 등의 선조이다”라고 하는 기사가 보인다. 또 주조(朱鳥) 원년(672) 4월조에 “신라 사신에게 향연을 베풀기 위해 천원사(川原寺)의 기악(伎樂)을 축자로 옮겼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양로령』 직원령 「아악료」 조에도 기악사(伎樂師) 1인을 두고 기악생을 가르치며 생활은 약호(樂戶)로 한다는 내용이 보인다.
8. 선나사주(善那使主)
『유취삼대격(類聚三代格)』(弘仁 11년 2월 27일자 「太政官府」)에 “천지천황의 시대에 대산상(大山上) 화약사주복상(和藥使主福常)이 이 기술을 습득하여 이 직을 받아서 이후 자손들이 계승했다고 한다.(典藥寮解偁, 撿案內, 難波長柄豐前宮御宇天皇御世, 大山上和藥使主福常, 習取乳術始授此職, 自斯以降子孫相承.)”라는 기술이 있다. 이 중에 화약사주복상은 선나사주(善那使主)와 동일인으로 보인다. 선나(善那)의 선(善)이 복(福)과 의미가 통하고, 선나(善那)가 상(常)과 음이 유사한 점으로부터 추측할 수 있다.
9. 우유(牛乳)
당시 우유는 약용으로 쓰였다. 『양로령』 직원령 「전약료(典藥寮)」 조에도 유호(乳戶)가 나오는 것을 통해 유제품이 약용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10. 본방서(本方書)
의약의 처방서, 본초약방(本草藥方)의 서(書)로 해석된다.
11. 약구(藥臼)
약을 분말로 가는 기구이다.
12. 대사(大寺)
대사(大寺)는 대안사(大安寺)를 가리키고, 나량시에 있는 고야산(高野山) 진언종(眞言宗)의 불교 사원으로 성덕태자가 개창했다고 전한다. 나량(奈良)에서 헤이안(平安) 시대 전반까지 동대사, 흥복사와 함께 3대 대사로 불렸다. 『일본서기』서명기(舒明紀) 11년(639) 7월조에 “금년에 대궁 및 대사를 만들겠다고 명하였다. 백제천(百濟川) 옆을 궁터로 하였다. 서쪽의 백성은 궁을 짓고, 동쪽의 백성은 절을 지었다. 서직현(書直縣)을 대장(大匠)으로 삼았다”라고 기록하고 있고, 동 천무기(天武紀) 2년(673) 12월조에 “소자(小紫) 미농왕(美濃王)과 소금하(小錦下) 기신가다마려(紀臣訶多麻呂)를 고시대사(高市大寺)를 짓는 사(司)에 임명하였다”라고 하고 분주에 “지금의 대관대사(大官大寺)가 바로 이것이다”라고 하여 대안사(大安寺) 설치 기사 등이 보인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화약사주(和藥使主; 야마토노쿠스리노오미)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2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