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무부숙녜(巫部宿禰; 가무나기베노스쿠네)

무부숙녜(巫部宿禰; 가무나기베노스쿠네)
 같은 신의 6세손 이향아색웅명(伊香我色雄命; 아카가시코오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무부숙녜(巫部宿禰)
무부(巫部; 가무나기베)라는 씨명은 신의 뜻을 알아보는 일에 관여한 무부(巫部)의 반조씨족이었던 것과 관련이 있다. 무부숙녜씨의 옛 씨성은 무부련씨(巫部連氏)로, 천무천황 13년(684) 12월에 무부련이 숙녜를 사성받았다. 그러나 무부련씨가 육국사에 등장하는 것은 『속일본후기』 승화 12년(845) 7월 기미조가 최초다. 여기에서 화천국(和泉國) 대도군(大島郡) 사람 정6위상 무부련계마려(巫部連繼麻呂)와 종7위하 무부련계족(巫部連繼足), 백정(白丁) 무부련길계(巫部連吉繼) 등이 당세숙녜(當世宿禰)를 사성받았다.
육국사에 보이는 무부숙녜씨는 『속일본기』 에 무부숙녜박사(巫部宿禰博士)와 무부숙녜겸취(巫部宿禰鎌取)가 보이고 『속일본후기』 에 무부숙녜공성(巫部宿禰公成)과 무부숙녜제성(巫部宿禰諸成)이 보인다. 무부숙녜박사(巫部宿禰博士)는 702년 3월 대안전의 대불(大祓)을 앞두고 제사의식을 관할하는 관인들에게 특별히 관위 한 등급을 올려줄 때에 종7위하에서 한 등급 승서되었다. 무부숙녜겸취(巫部宿禰鎌取)는 원래 관노(官奴)였는데, 752년 5월에 관노 신분을 면하고 무부숙녜를 사성받았다.
『속일본후기』 승화(承和) 12년(845) 7월 기미조에서는 우경에 살던 중무성의 소록(少錄) 정7위하 무부숙녜공성(巫部宿禰公成)이 보인다. 그는 “신요속일명(神饒速日命)의 후손인데, 대장곡치무천황(大長谷稚武天皇), 즉 웅략천황 때에 공성의 시조 진량대련(眞椋大連)이 축자(筑紫)에서 신기한 능력을 가진 무당[奇巫]을 초빙하여 천황의 병을 고쳤으므로, 천황이 총애하고 그에게 무부(巫部)라는 성을 사여하였는데, 후세에 이것이 무격(巫覡) 집안으로 오해받았으므로 개성을 청하였다.(神饒速日命苗裔也. 昔屬大長谷稚武天皇時. 公成始祖眞椋大連奏迎筑紫之奇巫. 奉救御病之膏肓. 天皇寵之. 賜姓巫部. 後世疑謂巫覡之種. 故今申改之.)”라고 적고 있다. 이때 무부숙녜공성은 대화국 산변군(山邊郡)에 살던 산위(散位) 종6위하 무부숙녜제성(巫部宿禰諸成) 등과 함께 당세숙녜(當世宿禰)를 사성받았다. 이때 함께 당세숙녜를 사성받은 사람으로 화천국 대도군 사람 정6위상 무부련계마려(巫部連繼麻呂)와 종7위하 무부련계족(巫部連繼足), 백정(白丁) 무부련길계(巫部連吉繼) 등이 보인다. 우경, 대화국, 화천국에 걸쳐 무부숙녜씨의 동족이 살고 있었고, 이들이 무부라는 씨명을 꺼리게 되어 845년 7월에 함께 당세숙녜라는 씨성을 새로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후 당세숙녜씨로는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觀) 5년 8월 17일 정축조에 당세숙녜고문(當世宿禰高門)이 보인다. 여기에서는 화천국 대도군 사람으로 대장성(大藏省)의 대록(大錄)이며 정7위상인 당세숙녜고문(當世宿禰高門)의 호적을 우경직(右京職)에 올리도록 하였다. 『정사요략』 권61 관평(寬平) 6년 8월 11일 「검비위사식문(檢非違使式文)」 에 우위문부생(右衛門府生) 정7위상 당세숙녜기종(當世宿禰基宗)이 보인다.
2. 동신(同神)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신요속일명(神饒速日命)’이라고 적혀 있었을 것이다. 『신찬성씨록』 에서 신요속일명의 후손이라고 주장한 후, 『속일본후기』 승화 12년(845) 7월 기미조에서도 무부숙녜공성이 신요속일명의 후손이라고 적고 있다.
3. 이향아색웅명(伊香我色雄命)
여기에서 이향아색웅명이 신요속일명의 6세손이라는 계보를 말하고 있다. 화천국 신별 「무부련(巫部連)」 조에서도 이향아색웅명이 신요속일명의 6세손이라고 적고 있다. 그런데 화천국 「무부련」 조에서는 이어서 무부련씨의 유래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웅략천황이 병이 들어 축자(筑紫)의 풍국(豐國)에서 신통력 있는 무당[奇巫]을 찾았는데, 진량(眞椋)이 무당을 거느리고 가서 웅략천황을 모셨으므로 무부련(巫部連)을 사성하였다고 적고 있다. 이는 앞에서 언급한 『속일본후기』 승화 12년(845) 7월 기미조의 무부(巫部)의 유래와 비슷한 내용으로, 『신찬성씨록』 화천국 신별 「무부련」 조에 실렸던 내용이 그 후 『속일본후기』 에도 실린 것이다. 화천국 신별 「무부련」 조(696)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무부숙녜(巫部宿禰; 가무나기베노스쿠네)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2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