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안민남산고유지(소고려묘묘장지)

安民南山古遺址(小高麗墓墓葬地)
  • 저필자
    이현주(성균관대학교)
  • 시대
    발해
  • 원소장처
    길림성(吉林省) 동요현(東遼縣) 족민향(足民鄕) 안민촌(安民村) 소고력목둔(小高力木屯) 남산(南山)
  • 시대
    발해
  • 유형
    무덤
입지
동서방향으로 뻗어있는 산등성이로 고분은 등성이 동쪽 끝에 있고, 동쪽 아래쪽은 길림성(吉林省) 이통현(伊通縣)으로 통하는 도로(청나라시기에 이 도로가 있었다)이며, 도로를 지나 약 250m를 가면 남북방향으로 흘러가는 양수하(楊樹河)이며, 강 양쪽은 평지로 고분군에 서서 동북쪽으로 500m 떨어진 안화촌(安和村), 북쪽으로 300m 떨어진 소고력목둔(小高力木屯)과 이통(伊通) 경내의 환희령(歡喜嶺)저수지를 볼 수 있다.
유적개관
1986년 문물보사대가 이곳에 와서 조사할 때, 고분이 동쪽에서 끊임없이 이루어진 취토(取土)로 인해서 대부분이 파괴된 것을 발견하였으며, 유물이 흩어져 있는 범위로 고분의 면적이 약 2,000평방미터에 달한다고 추측하였다.
유물개관
* 니질회도 통형관 구연, 그릇바닥, 말이빨 등
해설
안민남산고유지(安民南山古遺址) 또는 소고려묘묘장지(小高麗墓墓葬地)는 발해시기의 고분군이다. 안민남산고유지(소고려묘묘장지)는 중국의 길림성(吉林省) 동요현(東遼縣) 족민향(足民鄕) 안민촌(安民村) 소고력목둔(小高力木屯)에 있는 남산(南山)의 위쪽에 위치한다. 이 산의 이름이 소고려묘(小高麗墓)로 동서로 뻗은 산등성이다. 이 산등성이 동쪽 끝에 무덤이 있다. 묘장지의 동쪽 아래쪽은 길림성 이통현(伊通縣)으로 통하는 도로가 있고, 이 도로를 지나 약 250m 떨어진 곳에 양수하(楊樹河)가 남북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안민남산고유지(소고려묘묘장지)에서 동북쪽으로는 500m 떨어진 곳에 안화촌(安和村)이 보이고, 북쪽으로는 300m 떨어진 곳에 소고력둔(小高力木屯)과 이통(伊通) 경내의 환희령(歡喜嶺) 저수지가 보인다. 1986년에 문물보사대가 이곳에 와서 조사하였을 때 고분이 동쪽에서 끊임없이 이루어진 取土로 인해서 대부분이 파괴된 것을 발견하였다. 다만 유물이 흩어져 있는 범위로 보아 고분의 면적이 약 2,000평방미터에 달한다고 추측하였다. 지면에 흩어져 있는 유물을 수습하였는데, 모두 니질회도(泥質灰陶)로, 소성도가 비교적 높다. 일부 도기편은 느린 물레로 다듬은 흔적이 있다. 알 수 있는 기형은 대부분 통형심복관(筒形深腹罐)이다. 수집된 이러한 도기항아리[陶罐] 구연(口沿)에는 외권연(外卷沿)과 구연부 아래에 톱니무늬가 새겨진 덧띠무늬[堆紋]가 있는 것 두 종류가 있다. 안민남산고유지에서 수습된 도기항아리의 특징이 길림(吉林) 영길(永吉) 양둔(楊屯) 대해맹3기문화(大海猛三期文化)과 돈화 육정산발해무덤에서 출토된 도기 항아리와 같다. 발해시기의 유적임을 알 수 있다. 이밖에도 말 아래턱뼈가 수집되었다. 북국발해탐험, 김진광, 2012. 6. 17., 박문사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안민남산고유지(소고려묘묘장지) 자료번호 : isea.d_0003_0010_0070_001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