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중신주인숙녜(中臣酒人宿禰; 나카토미노사카히토노스쿠네)

중신주인숙녜(中臣酒人宿禰; 나카토미노사카히토노스쿠네)
 대중신조신(大中臣朝臣; 오나카토미노아손)과 같은 조상이다. 천아옥근명(天兒屋根命; 아메노코야네노미코토)의 10세손 신협산명(臣狹山命; 오미사야마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중신주인숙녜(中臣酒人宿禰)
중신주인(中臣酒人; 나카토미노사카히토)은 중신씨(中臣氏)의 지족(枝族)이다. 주인(酒人)이라는 씨명은 술을 제조하는 일을 담당한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중신주인숙녜의 옛 씨성은 중신주인련(中臣酒人連)이다. 『일본서기』 천무 13년(684) 12월 기묘조에서는 중신주인련에게 숙녜(宿禰)를 사성(賜姓)하였다고 적고 있다.
중신주인숙녜씨의 일족으로 사서에 처음 보이는 사람은 『속일본기』 천평승보(天平勝寶) 6년(754) 춘정월 임자조에 보이는 중신주인숙녜충마려(中臣酒人宿禰虫麻呂)이다. 그는 종6위상에서 외종5위하를 사여받았다. 『속일본기』 천평보자(天平寶字) 6년 (762)하4월 경술삭조에서는 외종5위하로서 풍전국(豐前國)의 원외개(員外介)로 임명받았다. 천평(天平) 2년(730) 12월 「대왜국정세장(大倭國正稅帳)」(『대일본고문서』1-396에) 중신주인숙녜고마려(中臣酒人宿禰古麻呂), 천평 7년 윤11월 5일자 「안배상마려해(安排常麻呂解)」(『대일본고문서』 1-634)에 중신주인구치량(中臣酒人久治良)이 보인다.
2. 대중신조신(大中臣朝臣)
좌경 신별(상) 「등원조신」 조(336) 참조.
3. 천아옥근명(天兒屋根命)
천아옥명(天兒屋命)과 같다. 좌경 신별(상) 「등원조신」 조(336) 참조.
4. 신협산명(臣狹山命)
신협산명은 『속일본기』 천응(天應) 원년(781) 7월 계유조에서 율원승자공(栗原勝子公)이 “중신씨의 먼 조상 천어중주명(天御中主命)의 20세손이 의미좌야마(意美佐夜麻)이다.”라고 말하고 있듯이 의미좌야마로도 표기되었다.
『존비분맥』에 실린 「등원씨계도(藤原氏系圖)」 에는 ‘천아옥근존(天兒屋根尊)-천압운명(天押雲命)-천다녜지명(天多禰伎命)-우좌진신명(宇佐津臣命)-어식진신명(御食津臣命)-이하진신명(伊賀津臣命)-이적신명(梨迹臣命)-신문승명(神聞勝命)-구지우하주명(久志宇賀主命)-국마대록도명(國摩大鹿島命)-신협산명(臣狹山命)’으로 이어지는 계보가 보여, 천아옥근존의 10세손이 신협산명임을 알 수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중신주인숙녜(中臣酒人宿禰; 나카토미노사카히토노스쿠네) 자료번호 : ss.k_0001_0040_001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