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선대반부(膳大伴部; 가시하데오토모베)

선대반부(膳大伴部; 가시하데오토모베)
 아배조신(阿倍朝臣; 아헤노아소미)과 조상이 같다. 대언명(大彦命; 오히코노미코토)의 손자 반록륙안명(磐鹿六雁命; 이하카무츠카리노미코토)의 후손이다. 경행천황(景行天皇; 게이카우텐노)이 동국(東國; 아즈마노쿠니)을 순수하여, 상총국(上總國; 가미츠후사노쿠니)에 이르러 해로로 담수문(淡水門; 아하노미나토)을 건넜다. 그리고 바다 가운데로 나아가 백합조개를 얻었다. 이것을 반록륙안이 요리로 만들어 바쳤다. 그러므로 육안(六雁; 무츠카리)을 훌륭하게 여겨 선대반부라는 씨명을 하사하였다.
 
【주석】
1. 선대반부(膳大伴部)
선대반부라는 씨명은 선신(膳臣)의 통솔하에 있던 부민(部民)의 후예가 사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선신은 천황의 식선(食膳)을 담당하는 씨족으로, 율령제하에서 내선직(內膳職)과 관인의 음식을 담당하는 대선직(大膳職)에서 근무하였다. 이들은 어식국(御食國)이라고 불리는 지역에서 바치는 천황의 식선에 사용할 소금과 어패류 등을 중앙에서 관리하였다. 이때 현지에서 공납물의 징수와 관리를 맡은 집단과 기내(畿內) 주변에 거주하면서 내선직과 대선직에서 선부(膳部)로서 실무를 담당한 집단이 선대반부를 칭하였을 것이다. 『고교씨문(高橋氏文)』에는 여러 지역 사람을 나누어 대반부(大伴部)로 삼고 반록륙갈명(磐鹿六猲命)에게 주었다는 내용이 보인다. 대반부는 선신이 이끄는 반부의 중요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선신이 이끄는 반부는 지방 호족들이 대왕에 대한 복속 의례로서 진상하는 음식물을 관장하였다. 그리하여 대반이라는 칭호를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2. 아배조신(阿倍朝臣)
좌경 황별(상) 「아배조신」 조(054) 참조.
3. 대언명(大彦命)
좌경 황별(상) 「아배조신」 조(054) 대언명 참조.
4. 반록륙안명(磐鹿六雁命)
『일본서기』 경행천황(景行天皇) 53년 10월조에 선신(膳臣)의 원조(遠祖)로 이름이 보인다. 우경 황별(상) 「약앵부조신(若櫻部朝臣)」 조에서는 이파아모도가리명(伊波我牟都加利命; 이하카무츠카리노미코토)으로, 『고교씨문(高橋氏文)』에서는 반록륙갈명(磐鹿六猲命)으로 나타난다. 『고교씨문』에 의하면, 경행천황이 이세(伊勢)·상총국(上總國) 부도궁(浮島宮)을 거쳐 갈식야(葛飾野)에 이르러 사냥을 하도록 하였는데, 이때 태후가 이상한 새의 울음소리를 듣고 그 새의 모습을 보고 싶다고 하였다. 이에 반록륙갈이 배를 타고 새를 좇았는데, 새를 잡지 못하고 돌아오는 길에 썰물을 만나 갯벌에 갇히고 말았다. 그래서 배를 끌어내기 위하여 갯벌을 파다가 큰 백합을 얻었고, 이를 천황에게 요리하여 바쳤다고 하였다.
5. 경행천황(景行天皇)
수인천황(垂仁天皇)의 셋째 아들로 12대 천황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고교조신(高橋朝臣)」 조(057) 경행천황 참조.
6. 상총국(上總國)
현재 천엽현(千葉縣) 중앙부에 있었던 율령제 시대의 지역 명칭이다. 원래 상구국(上捄國; 가미츠후사노쿠니)라고 하였으나 대보(大寶) 4년(704)에 상총국(上總國; 가즈사노쿠니)로고쳤다. 구(捄)와 총(總)은 모두 ‘후사’라고 읽으며 꽃이 필 때 씨방이 생기는 모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총은 ‘가미츠후사’에서 ‘가즈사’로 음이 변한 것이다. 상총국에는 시원군(市原郡), 해상군(海上郡) 등 15군(郡)이 속해 있었으며, 국부(國府)는 국분사(國分寺)가 위치한 천엽현(千葉縣) 시원시(市原市)로 추정된다.
7. 담수문(淡水門)
담(淡)은 안방(安房; 아하)으로도 표기하며 현재의 천엽현(千葉縣) 방총반도(房總半島)의 남단부를 가리킨다.
8. 회(膾)
『화명유취초(和名類聚抄)』에서는 일본음으로 ‘나마스(奈萬須)’라고 하며 고기를 잘게 썬 것이라고 하였다.
9. 사선대반부(賜膳大伴部)
『고사기』 경행천황단에서는 선대반부를 정했다고 하였으나, 『일본서기』 경행천황 53년 10월조에서는 육안신(六雁臣)의 공을 아름답게 여겨 선대반부를 하사하였다고 하였다. 실제로 동국(東國) 12국(國)에 광범위하게 선대반부 및 대반부(大伴部)가 존재하며, 이는 반드시 경행천황 당시의 일은 아니더라도 대화정권(大和政權)이 동국 지역을 통합하고 이를 지배하는 과정에서 천황의 식선에 사용할 어패류 등을 공납하도록 한 사실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선대반부(膳大伴部; 가시하데오토모베)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60_0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