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대야성 창고터

  • 저필자
    이현주(성균관대학교)
  • 시대
    발해
  • 원소장처
    후쿠오카 대야성시 대야성(사왕사산)
  • 시대
    발해
  • 유형
    건축지
입지
후쿠오카 대야성시 대야성(사왕사산)에 위치한다.
유적개관
사왕사산이라고도 불리는 대야산에 대야성이 위치한다. 특이할만한 것은 창고건물지가 10개 동이 나타나는데, 고상식 귀틀집 모양의 건축지로 초석이 24개의 돌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발해의 24개 돌 유적과의 관련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지리적 위치도 한반도와 밀접하기 때문에 삼국시대는 물론 발해시기에도 일본과의 교류의 지역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주변에 홍려관과 대재부의 관청들이 즐비하게 있어 더욱 그러하다.
해설
대야성(大野城) 창고터는 일본의 후쿠오카현[福岡県]의 오노조시[大野城市]에 있는 오노조야마[大野山]에 위치한다.
오노조야마는 사왕사산(四王寺山)으로도 불리는데 이 산에 산성인 대야성이 있다. 특이할만한 것은 창고 건물지가 10개 동이 나타나는데, 고상식(高床式) 귀틀집 모양의 건축지로 초석(礎石)이 24개의 돌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발해의 24개돌 유적과의 관련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대야성은 지리적 위치가 한반도와 밀접하기 때문에 삼국시대는 물론 발해시기에도 일본과의 교류의 지역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주변에 고로칸[鴻臚館]과 다자이후[大宰府]의 관청들이 즐비하게 있어 더욱 그러하다.
발해의 24개돌 유적은 그 구조가 한 줄에 8개씩 3줄로 배치된 특수한 형식의 유적으로 대한민국의 동해안 지역에 3곳, 발해의 영역이었던 중국 동북지역에 9곳으로, 총 12개로 알려졌다. 모두 큰 도로 옆에 위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춧돌의 배열 모양으로 유추되는 건물의 형태, 그리고 주변에서 출토되는 유물이 발해시기의 기와와 도기 등 건축 재료와 생활 용기인 것으로 보아 역참(驛站)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역참은 국가의 명령과 공문서의 전달, 변방의 긴급한 군사 정보 및 외국 사신 왕래에 따른 영송(迎送)과 접대, 그리고 공공 물자의 운송 등의 공공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설치된 교통 통신기관이다. 역참은 관원이 공공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교통수단인 말을 갈아타거나 휴식을 취하도록 할 목적으로 교통로에 설치한 건물이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대야성 창고터 자료번호 : isea.d_0003_0020_0020_002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