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김해 대성동 고분군

  • 저필자
    최재도(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
  • 날짜
    1990~1992·2001
  • 시대
    원삼국~삼국
  • 위치
  • 원소장처
    경상남도 김해시 대성동 434, 447, 454번지 일대
  • 시대
    상고사
  • 유형
    무덤
입지
1990~1992, 2001년까지 4차례에 걸쳐 발굴조사가 시행됨.
유적개관
가야의 역사와 문화를 체계적으로 복원하고자 하는 학술조사의 일환으로 조사되어 기원후 1~5세기에 걸친 김해지역 지배집단의 묘역임이 밝하는데, 구릉의 낮은 저지대부터 목관묘가 확인되며, 구릉정사부로 올라갈수록 목곽묘와 주부곽식목곽묘가 축조된 것을 보임. 묘제의 형식은 대체로 주변의 구지로고분군이나 가야의 숲 목관묘와 규모 및 구조적 특징이 동일함. 대부분 한 유구의 출토유물은 1, 2점으로 매우 빈약한 편이나, 60호와 v-11호의 경우 출토유물의 80%에 가까운 양이 부장되어 있어 다른 분묘와 차별성을 보임.
출토유물
* 주머니호, 조합식우각형파수부호, 철모, 철검, 철촉, 철겸, 단조철부, 철사, 낚시바늘, 집개, 청동호형대 등
참고문헌
「김해대성동고분군Ⅰ·Ⅲ」
해설
경상남도 김해시 대성동 434, 447, 454번지 일대에 위치한 원삼국~삼국시대의 고분군으로 사적 제341호이다. 구지봉과 회현리 조개더미의 중간지점, 수로왕릉의 서북쪽에 위치해 있으며, 북에서 남으로 L자형으로 길게 휘어진 해발 22.6m의 낮은 구릉에 형성되어 있다.
이 유적은 경성대학교박물관에 의해 1990년~1992년까지 3차례에 걸쳐 발굴조사 되었다. 조사결과 2세기부터 6세기까지 장기간에 걸쳐 무덤지역으로 사용되었는데, 구릉의 낮은 저지대로부터 널무덤[목관묘(木棺墓)]이 축조되기 시작하고 점차 구릉 위로 가까워지면서 덧널무덤[목곽묘(木槨墓)]으로 발전하여 마침내는 ‘日’자형으로 으뜸덧널[주곽(主槨)]과 딸린덧널[부곽(副槨)]이 나뉘는 주부곽식덧널무덤[주부곽식목곽묘(主副槨式木槨墓)]이 대규모로 축조되었다.
널무덤은 대부분 판재를 이용하였으나 통나무널도 확인된다. 덧널무덤은 널무덤을 파괴하고 축조되어 주로 구릉의 정상부에 분포한다. Ⅰ류 덧널무덤은 평면형태가 방형(方形)에 깊이가 150㎝정도로 얕으며, 주검받침에는 별다른 시설을 하지 않았다. 5세기 전후에 등장하는 Ⅱ류 덧널무덤은 깊이가 3∼4m로 깊어지고 주검받침[시상(屍臺)]에 자갈을 깔기도 하였다. 으뜸덧널[주곽(主槨)]에는 네 모서리에 통나무 기둥을 세우고 여기에 통나무를 대어 널을 만들었으며, 이와 나란히 딸린덧널[부곽(副槨)]을 만들었다. Ⅱ류 덧널무덤은 Ⅰ류 덧널무덤을 파괴하면서 중복하여 축조되었다.
유물은 3∼6세기의 것이 많이 출토되었는데, 이는 4∼5세기에 번영한 금관가야의 중심지였음을 뒷받침한다. 이 밖에 철제품과 외래 유물들도 주목된다. 철소재로서 화폐의 기능을 담당한 납작도끼[판상철부(板狀鐵斧)]나 덩이쇠[철정(鐵鋌)]는 가야의 철 생산을 알려준다. 북방계 유물로는 청동솥[동복(銅鍑)], 호랑이모양 띠고리[호형대구(虎形帶鉤)] 등이 있으며, 방격규구신경(方格規矩神鏡)이라는 중국제 거울이 3점 출토되었다. 대성동 고분군에서 발견된 북방계 유물이나 중국제 유물은 한군현(漢郡縣)과의 교역이 활발하였음을 보여준다. 한편, 일본계 유물로는 방패 등의 앞에 장식하는 소용돌이 모양의 청동기[파형동기(巴形銅器)], 조개팔찌[패천(貝釧)] 등이 있다. 이는 일본이 가야의 철을 수입하면서 교역한 물건으로 여겨지며, 소용돌이 모양의 청동기는 당시 금관가야와 왜지역과의 정치·경제적인 상호작용에 대하여 시사하는 바가 많다.
대성동 고분군을 마지막으로 김해지역에는 큰 무덤이나 유적은 조영되지 않았다. 대신 큰 무덤은 강 건너인 부산 복천동이나 연산동에 만들어졌다. 묘제의 형식은 대체로 주변의 구지로고분군이나 가야의 숲 목관묘와 규모 및 구조적 특징이 동일하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김해 대성동 고분군 자료번호 : isea.d_0001_0030_0030_002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