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근세 한일관계 사료집

부젠의 역심(逆心)

一 (六) 元和二年、拙子江都參上仕候刻、致言上候は、古對馬守へ朝鮮信使罷渡候樣ニ被仰付候條、申調候處、大坂一亂ニ付、信使之儀、先相延申候得之由、被仰付候故、不罷渡候。大坂落居仕、天下一統ニ罷成候間、先年親對馬守江被仰付候異國之信使罷渡候樣、可申遣候哉與、致披露候處、台德院樣被成 御諚候者、可然被思食上候間、罷渡御禮申上候樣ニと被仰付、則拙子事被任侍從之由請 御諚候。其御次而申上候者、當豊前事、從親·祖父諸太夫仕來候間、左樣ニ被仰付候而被下候樣ニと、拙子申上候得は、諸太夫被仰付候由御諚を請罷下候。其節豊前事召連、可罷下之由申候處、追付可被下之由申候而、跡ニ殘罷有候。拙子在所江罷下候而後、吉川藏人·柳川瀨兵衛與申者差登、信使之儀、朝鮮ヘ可申遣候、又嶋中之事共、談合可申候間、早々罷下候得之由、申遣候。其上我等官位之裝束茂、其節豊前持下候得之由申越候處、則拙子裝束、豊前持下申候。其節豊前江申聞候者、今程者何と哉、覽奉公振大形ニ罷成候。從祖父仕來候儀共、無油斷肝入申候而、奉公仕候得之由、申付候得ハ、豊前申候は、一圖不存別心候、此上ハ無別儀通に候とて、起請文を認、君臣之道少茂無相違、万端可致奉公之由申候。主從之所者、數代々之儀ニ而候を、誠事新敷樣なる儀、御座候得共、如此迄仕候上ニ而、企逆儀候事。

색인어
이름
吉川藏人, 柳川瀨兵衛
지명
大坂, 大坂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부젠의 역심(逆心) 자료번호 : kn.d_0001_0030_0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