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범심(范尋)이 공헌(貢獻)함

  • 국가
    제박국(諸薄國)
진(晉) 무제(武帝) 태강 연간(太康, 280∼289)에 범심이 비로소 사자를 보내 공헌(貢獻)하였다. 목제(穆帝) 승평(升平) 원년(357) 부남왕 축전단(竺旃檀) 주 001
각주 001)
竺旃檀: 竺旃檀은 梵語 챤다나[白檀]의 漢譯이라고 한다(石井米雄, 1999: 82).
닫기
이 표(表)를 올려 길들인 코끼리를 바쳤다. [이에] 조(詔)를 내려 말하기를, “이 동물[을 옮기는 데]에 드는 수고와 비용이 적지 않을 것이니, [그곳에] 머무르게 하고 [경사로]보내지 말라.”고 하였다.주 002
각주 002)
같은 내용에 대하여 『晉書』 본기에서는 “옛날 先帝께서는 [풍속이] 다른 지방의 특이한 짐승이 혹 남에게 걱정을 끼친다하여 금하셨다. 지금 그것이 이르기 전에 본토로 돌려보내는 것이 좋겠다.”라고 적었다(『晉書』 卷8 「孝宗穆帝聃」: 202). 또 『南史』에서는 비용 문제때문에 운송을 정지시켰다고 적었다(『南史』 卷78 「夷貊」 上 〈海南諸國〉 〈扶南國〉: 1953).
닫기
그 뒤의 왕인 교진여(憍陳如) 주 003
각주 003)
憍陳如: 梵名은 Kaun!d!inya. 팔리어 名은 Kon!d!an∼n∼a. 카운디냐. 부처가 녹야원에서 설법할 때 제일 먼저 깨달았다는 첫 번째 제자. 이후 부남국의 왕을 비롯하여 동남아 여러 나라 왕의 姓으로 사용됨.
닫기
는 본디 천축(天竺)의 바라문(婆羅門)이었다. 어떤 신이 그에게 말하기를, “마땅히 부남의 왕이 되어야 한다.”라고 하였다. 교진여가 마음으로 기뻐하며 남쪽으로 반반(盤盤) 주 004
각주 004)
盤盤: Pranpuri(淨海, 2002: 261). 盤盤國은 3세기에서 7세기까지 말레이 반도에 존재하였던 고대국가이다. 그 지리적 위치는 말레이반도 동안, 사이암 만 부근으로 지금의 泰國 남쪽 쑤랏타니 도(Surat Thani Province)에 위치한 반돈만(BanDon Bay)연안 一帶이다. 古代에 말레이半島를 횡단하는 크라 地峽(Isthmus of Kra) 노선의 요충지이다. 『新唐書』 「南蠻傳」下에 따르면, 狼牙修國(Langkasuka)와 경계를 접하였으며, 북쪽으로는 占城國·墮和羅國과, 東南쪽으로는 哥羅國과 접하였다. 交州로부터 뱃길로 40일이면 닿는다. 盤盤國의 王名은 楊粟圬이리 칭하고, 또한 昆侖(kurung)이라 칭하기도 하는데 大王의 의미이다. 大臣은 勃郞索濫이라 칭한다. 國中에는 佛寺와 힌두교 사원이 있으며, 사람들은 모두 婆羅門書를 배운다. 梁武帝中 大通 元年(529) 12월, 4년(533) 4월, 5년(534) 가을, 6년(535) 8월 네 차례 사자를 보내 방물을 바쳤다. 5세기 중엽(劉宋 元嘉 연간)부터 7세기 중엽(唐 貞觀 연간)까지 중국의 국가들과 장기간 우호 관계를 유지하였다.
닫기
에 이르렀는데, 부남 사람들이 이를 듣고 온 나라가 기꺼이 추대하여 맞아 왕으로 세웠다. [교진여는] 제도를 크게 고쳐 천축의 법을 채택하였다. 교진여가 죽고, 그 뒤 왕인 지리타발마(持梨陁跋摩) 주 005
각주 005)
跋摩: Varman. 바르만은 당시 남인도 지역 몇몇 통치자의 왕호였으며, 나중에는 동남아의 몇몇 왕조도 이를 채용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교진여 이전의 부남왕의 성인 ‘范’도 이 Varman의 약음일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淨海, 2002: 261).
닫기
송(宋) 문제(文帝) 시기에 표를 받들고 방물을 바쳤다. 제(齊) 영명 연간(永明, 483∼493)에 부남왕 사야발마(闍邪跋摩)가 사자를 보내 공헌하였다.

  • 각주 001)
    竺旃檀: 竺旃檀은 梵語 챤다나[白檀]의 漢譯이라고 한다(石井米雄, 1999: 82).
     바로가기
  • 각주 002)
    같은 내용에 대하여 『晉書』 본기에서는 “옛날 先帝께서는 [풍속이] 다른 지방의 특이한 짐승이 혹 남에게 걱정을 끼친다하여 금하셨다. 지금 그것이 이르기 전에 본토로 돌려보내는 것이 좋겠다.”라고 적었다(『晉書』 卷8 「孝宗穆帝聃」: 202). 또 『南史』에서는 비용 문제때문에 운송을 정지시켰다고 적었다(『南史』 卷78 「夷貊」 上 〈海南諸國〉 〈扶南國〉: 1953).
     바로가기
  • 각주 003)
    憍陳如: 梵名은 Kaun!d!inya. 팔리어 名은 Kon!d!an∼n∼a. 카운디냐. 부처가 녹야원에서 설법할 때 제일 먼저 깨달았다는 첫 번째 제자. 이후 부남국의 왕을 비롯하여 동남아 여러 나라 왕의 姓으로 사용됨.
     바로가기
  • 각주 004)
    盤盤: Pranpuri(淨海, 2002: 261). 盤盤國은 3세기에서 7세기까지 말레이 반도에 존재하였던 고대국가이다. 그 지리적 위치는 말레이반도 동안, 사이암 만 부근으로 지금의 泰國 남쪽 쑤랏타니 도(Surat Thani Province)에 위치한 반돈만(BanDon Bay)연안 一帶이다. 古代에 말레이半島를 횡단하는 크라 地峽(Isthmus of Kra) 노선의 요충지이다. 『新唐書』 「南蠻傳」下에 따르면, 狼牙修國(Langkasuka)와 경계를 접하였으며, 북쪽으로는 占城國·墮和羅國과, 東南쪽으로는 哥羅國과 접하였다. 交州로부터 뱃길로 40일이면 닿는다. 盤盤國의 王名은 楊粟圬이리 칭하고, 또한 昆侖(kurung)이라 칭하기도 하는데 大王의 의미이다. 大臣은 勃郞索濫이라 칭한다. 國中에는 佛寺와 힌두교 사원이 있으며, 사람들은 모두 婆羅門書를 배운다. 梁武帝中 大通 元年(529) 12월, 4년(533) 4월, 5년(534) 가을, 6년(535) 8월 네 차례 사자를 보내 방물을 바쳤다. 5세기 중엽(劉宋 元嘉 연간)부터 7세기 중엽(唐 貞觀 연간)까지 중국의 국가들과 장기간 우호 관계를 유지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5)
    跋摩: Varman. 바르만은 당시 남인도 지역 몇몇 통치자의 왕호였으며, 나중에는 동남아의 몇몇 왕조도 이를 채용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교진여 이전의 부남왕의 성인 ‘范’도 이 Varman의 약음일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淨海, 2002: 261).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무제(武帝), 범심, 목제(穆帝), 축전단(竺旃檀), 교진여(憍陳如), 교진여, 교진여, 교진여, 지리타발마(持梨陁跋摩), 문제(文帝), 사야발마(闍邪跋摩)
지명
진(晉), 경사, 천축(天竺), 부남, 반반(盤盤), 부남, 천축, 송(宋), 제(齊)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범심(范尋)이 공헌(貢獻)함 자료번호 : jo.k_0008_0054_0060_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