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속자치통감장편

고려조위사(高麗弔慰使) 임명

  • 날짜
    1083년 9월 (음)(元豐 6年(1083) 9月 丙寅)
  • 출전
    卷339 元豐 6年(1083) 9月 丙寅
조청대부(朝請大夫) 주객낭중(主客郎中) 방원영(龐元英)주 001
각주 001)
龐元英 : 생몰년 미상. 북송의 관인. 북송 單州 成武(현재 山東省에 속하는 지역) 사람으로 字는 懋賢이다. 음서로 관직에 진출하였고, 至和 2年(1055)에 試學士院이 되었으며 이후 著作佐郎, 太常博士 등의 직을 역임했다. 元豐 연간에는 群牧判官, 主客郎中을 역임했다. 元祐 3年(1088)에 知晋州로 폄출되었다. 저서로는 『五禮新編』, 『文昌雜錄』 등이 있다.
닫기
을 전협을 대신하여 고려조위사(高麗弔慰使)로 삼도록 명하였다. 방원영이 모후가 연로한 것을 이유로 사양하자 이에 전협에게 (고려조위사를 하도록) 다시 명하였다. 조서를 내려 전협에게 담제(禫制)주 002
각주 002)
禫制 : 禫祭, 禫服이라고도 한다. 喪服을 벗는 제사와 吉祭 사이의 喪期를 일컫는 말이다.
닫기
가 끝나지 않았음에도 궐로 나아가게 하고, 왕순봉 역시 복결(服闋)주 003
각주 003)
服闋 : 居喪 기간이 끝나 상복을 벗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닫기
이 끝나지 않아도 조회에 나오도록 하였다.

  • 각주 001)
    龐元英 : 생몰년 미상. 북송의 관인. 북송 單州 成武(현재 山東省에 속하는 지역) 사람으로 字는 懋賢이다. 음서로 관직에 진출하였고, 至和 2年(1055)에 試學士院이 되었으며 이후 著作佐郎, 太常博士 등의 직을 역임했다. 元豐 연간에는 群牧判官, 主客郎中을 역임했다. 元祐 3年(1088)에 知晋州로 폄출되었다. 저서로는 『五禮新編』, 『文昌雜錄』 등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禫制 : 禫祭, 禫服이라고도 한다. 喪服을 벗는 제사와 吉祭 사이의 喪期를 일컫는 말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3)
    服闋 : 居喪 기간이 끝나 상복을 벗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고려조위사(高麗弔慰使) 임명 자료번호 : jt.k_0005_07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