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마선구1호묘

麻線1號墓/JMM0001
  • 저필자
    김지영(숙명여자대학교)
  • 시대
    고구려
  • 원소장처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마선하(吉林省 通化市, 集安市)
  • 시대
    고구려
  • 유형
    무덤
입지
마선하고분군의 마선하 서안에서 100m 거리의 대지 북부에 위치한다.
유적개관
1961년 발견되었으며, 1962년과 63년에 조사되었다. 석실봉토분으로, 봉토 둘레의 길이는 50m, 높이는 5m이다. 연도와 남측실, 북측실, 현실로 구성되어 있다. 벽면에는 석회를 바르고 벽화를 그렸다. 벽화 주제는 생활풍속이며, 기마무사도, 무용도 등도 확인된다.
유물개관
금기(이배), 도금기(마구장식), 골식 2, 철기(갈고리), 시유도기(사이호 2, 부뚜막 1, 동이 1)
참고문헌
「集安高句麗墓葬」, 2007
해설
마선구 1호묘는 중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마선하 서안에 위치하는 돌방봉토무덤[석실봉토묘(石室封土墓)]이며 벽화가 그려져 있다. 1961년에 최초 발견되어 집안현문물보관소(集安縣文物保管所)에서 조사하였다. 이후 1962년, 1963년, 1972년에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선구 1호묘는 마선묘구 북부 산골짜기에 위치한다. 마선구는 압록강 중류 북안 일대의 충적지이다. 마선구 고분군에는 1000여기의 돌무지무덤과 돌방무덤이 분포한다. 무덤은 길이 13m, 높이 5m이다.
봉토가 계속해서 유실되면서 돌방의 북벽과 동벽을 쌓았던 돌들이 노출되어 있는 상태였다. 널방의 천청 북변이 무너져 내리면서 구멍이 생겼다. 널방 내부는 크기가 다른 돌로 방을 쌓았고 외부는 황색점토로 봉토를 이루었으며 내벽에는 백회를 발라 광택이 난다. 널길, 이음길, 남북 딸린 방, 널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널방은 네모형으로 높이는 4.05m이다. 방의 중앙에는 돌을 쌓아 만든 원형 기둥이 세워져 있는데, 천정을 떠받치고 있다. 아치형 천정의 네 면 정중앙의 아래쪽에 치우친 곳에 각각 작고 네모난 구멍 1개가 있다. 구멍 안은 계단모양으로 쌓았다.
마선구 1호묘는 마선구 고분군에서는 유일하게 벽화가 발견되었다. 마선구 1호묘는 딸린 방과 널방이 하나 있는 두 방의 구조이지만, 딸린 방의 규모가 제법 크고 네 벽면과 천장에 골고루 벽화를 그려 마치 세 칸 무덤처럼 보이기도 한다. 널길, 딸린 방, 널방 벽면 윗부분 모두, 그리고 벽면 하부 30cm, 중심의 둥근 기둥과 관대 등에 백화가 그려져 있다. 현채 백회 껍질이 떨어져 벽화는 명확하지 않다. 또한 진흙과 습기가 침투하면서 약간 남은 벽화 중에서도 일부는 얇은 선만 남아 있고 일부는 하얀 흔적만을 찾을 수 있을 뿐이다. 널방에는 묘의 주인 부부와 매를 다루는 사람, 무용도와 개마 무사 등 주로 생활 장면을 그렸다. 딸린 방에는 창문이 있는 고상창고(부경), 방앗간, 외양간, 연꽃 등이 있다.
무덤에서는 금기 3점, 금동마구 장식물 22점, 골제장식 2점, 철기 37점, 사이시유도기호 2점, 시유도기 1점, 시유도기 대접 1점 등 약 70여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일찍이 도굴되었기 때문에 남은 유물은 모두 원래자리를 이탈한 상태로 발견되었다. 출토 유물 중 금제장식과 금동공예 기술은 그 수준이 매우 높은 편이다. 또한 출토된 철기는 당시 고구려에서 철의 사용이 보편적이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마선구 1호묘의 형식인 모줄임 천정, 널방과 널길의 배치, 돌로 쌓은 후 회(灰)를 바른 점 등은 모두 고구려 전, 중기 벽화의 공통적인 특색이다. 넓은 널방, 수려한 벽화, 아름답고 정교한 많은 유물, 벽화 중에 표현된 가옥과 시녀들, 연회 및 가무 등은 묘의 주인이 사치스러운 생활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무덤의 연대는 대체로 4세기 말에서 5세기로 추정하고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마선구1호묘 자료번호 : isea.d_0002_0010_0060_0040_1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