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화룡경내고장성

和龍境內古長城
  • 저필자
    권은주(경북대학교)
  • 시대
    발해
  • 원소장처
    중국 지린성 허룽시 투산향, 시청향, 룽먼향(吉林省 和龍市 土山鄕 / 西城鄕 / 龍門鄕)
  • 시대
    발해
  • 유형
규모
둘레: 200,000m
입지
“고장성(古長城)”은 해란강(海蘭江) 북안 토산향(土山鄕) 동산촌(東山村) 이도구(二道沟) 산기슭에서 시작한다. 여기는 깎아지른 듯한 절벽으로 지세가 험준하며 화룡(和龍), 복동(福洞)으로의 통행을 통제하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고장성(古長城)”은 토산(土山), 서성(西城), 용문(龍門) 3향을 지나고, 가로로 아동(亞東)저수지를 지난 연후에 북쪽으로 길림성(吉林省) 용정시(龍井市) 세린하향(細鱗河鄕) 장성촌(長城村) 방향으로 뻗어간다.
유적개관
장성벽은 대부분이 토축이나, 역시 돌로 축조하거나 토석혼축인 부분도 있다. 현재 보존이 비교적 좋은 곳은 서성향명암(西城鄕明岩)에서 구산(邱山) 서쪽까지, 구산(邱山) 서쪽 산꼭대기에서 토산향(土山鄕) 동산촌(東山村) 이도구구(二道沟口)까지, 용문향(龍門鄕) 아동(亞東)저수지 남쪽과 북쪽 등이다. 그 나머지 성벽은 대부분이 사라져서 남아있지 않다.
참고문헌
문물지
해설
화룡경내고장성은 중국 지린성 허룽시 투산향, 시청향, 룽먼향에 걸쳐 길게 쌓여져 있다. 고장성은 하이란강(海蘭江) 북안의 투산향 둥산촌(東山村) 얼다오거우(二道溝) 산기슭에서 시작한다. 고장성이 시작하는 곳은 산세가 가파르고 험해, 지금도 허룽과 푸동(福洞) 사이의 길을 통제하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이곳에서 동북쪽으로 2.5㎞ 떨어진 곳에는 발해시기의 중경 현덕부의 성지인 서고성이 있다.
고장성은 투산향과 시청향, 룽먼향을 지나서 옌지향 타이옌촌 인근의 핑펑산에 위치한 ‘고장성 및 돈대 유적’으로 이어지고, 다시 룽징시 창안진(長安鎭) 지린산(鷄林山) 북산까지 뻗어 있다. 화룡경내고장성은 ‘고장성 및 돈대 유적’과 지린산에 이르는 구간과 함께, 옌지시, 룽징시, 허룽현의 북부 산지를 연결시켜 감싸 그 아래 지역을 넓게 보호하고 있다. 이들 장성은 백리장성(百里長城), 연변장성(延邊長城), 연변고장성(延邊古長城) 등으로 불린다.
장성의 벽은 대부분 흙으로 쌓았다. 일부 구간은 돌로 쌓았고, 돌과 흙을 함께 이용하여 쌓은 구간도 있다. 현재 고장성에서 보존이 비교적 좋은 곳은 시청향(西城鄕) 밍옌(明岩)에서 추산(邱山) 서쪽까지, 추산 서쪽 산꼭대기에서 투산향(土山鄕) 둥산촌(東山村) 얼다오(二道)까지, 룽먼향 야둥(亞東)저수지 남쪽과 북쪽 등이다. 그 나머지 성벽은 대부분이 사라져서 남아있지 않다.
축조시기에 대해서는 발해, 동하국, 고구려시기로 논란이 있다. 이 지역이 발해 중경(中京) 지역이기 때문에, 발해시기에 수도를 방어하기 위해 축조되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일부는 고구려시기에 축조되어 이후 계속 사용되었던 것으로 본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화룡경내고장성 자료번호 : isea.d_0003_0010_0050_0080_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