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석건24개돌유적

石建二十四塊石
  • 저필자
    한영화(성균관대학교)
  • 시대
    발해
  • 위치
  • 원소장처
    중국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 도문시(圖們市) 월청진(月睛鎭) 석건촌(石建村)
  • 시대
    발해
  • 유형
    건축지
규모
남북: 20m, 동서: 8m
입지
북쪽으로 향 소재지와는 6.5km 떨어져 있다. 유지에서 서남쪽으로 50m 떨어진 곳에는 산등성이가 있고, 산등성이의 서쪽은 기복이 있는 산과 이어져 있으며, 그 남쪽과 북쪽은 지세가 넓고 트여있다. 동쪽으로 500m 떨어진 곳에는 도문강(圖們江)이 북쪽으로 흘러내려가며 강의 맞은 편은 조선의 동관리(潼關里)이다.
유적개관
유지는 이미 석건칠대(石建七隊) 주민이 집을 지을 때 파괴되었다. 조사상황으로 보면, 초석은 현재 6개로, 원래의 위치에 하나, 주민 집 앞에 하나, 유지의 북쪽에 있는 돼지우리 담장 가운데 4개가 있다. 초석은 비교적 네모나고 반듯한 5면석이며, 초석의 높이는85cm, 윗부분의 너비는 60cm, 측면 너비는 40cm이다.
유물개관
유지의 주위에서는 회색 베 무늬 암키와 잔편을 수습할 수 있다.
해설
석건24개돌[石建二十四塊石] 유적은 중국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 도문시(圖們市) 월청진(月睛鎭) 석건촌(石建村)에 위치한다.
석건 24개돌 유적이 위치한 도문시는 연변조선족자치주에 속한 도시로,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남쪽으로 함경북도 온성군과 이웃하고, 동쪽으로 훈춘시(琿春市), 서쪽으로 연길시(延吉市), 북쪽으로 왕청현(汪淸縣)에 접해 있다.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는 연길시, 용정시(龍井市), 화룡시(和龍市), 도문시, 훈춘시, 돈화시(敦化市) 6개의 현급 시가 있으며, 왕청현과 안도현(安圖縣) 2개의 현이 있다.
석건 24개돌 유적은 북쪽으로 월청진 소재지와 6.5km 떨어져 있으며, 서남쪽으로 50m 떨어진 곳에는 산등성이가 있다. 산등성이의 서쪽은 기복이 있는 산과 이어져 있으며, 그 남쪽과 북쪽은 지세가 넓고 트여있다. 유적에서 앞으로 500m 떨어진 곳에는 두만강이 흐르며, 그 맞은편은 북한의 동관리(潼關里)이다.
유적에 산재해 있는 돌들은 건물의 주춧돌로 추정된다. 원래 유적은 넓고 평평한 곳이었으나 집들이 들어서면서 유적의 모습이 사라졌다. 이 유적은 중국 내에 있는 9개의 24개돌 유적 가운데 가장 심하게 파괴된 곳이기도 하다. 부근인 월청진 마패촌(馬牌村)에 있는 마패24개돌[馬牌二十四塊石] 유적의 경우 유적이 심하게 훼손되었지만 18개의 주춧돌이 남아 있는 것에 비해 이 유적은 현재 6개의 주춧돌만이 남아 있다. 원래의 위치에 1개, 주민 집 앞에 1개, 유적 북쪽에 있는 돼지우리 담장 가운데 4개가 있어, 각 주춧돌이 여기저기 산재해 있다.
주춧돌은 반듯한 5면석이며, 높이는 85cm, 윗부분의 너비는 60cm, 측면 너비는 40cm이다. 유적의 면적은 대략 남북으로 20m, 동서로 8m 정도로 추정된다. 유적 주변에서는 회색의 암키와 잔편이 수습되었다.
발해에서 나타나는 24개돌 유적은 주요 교통로와 일치하며 각 유적간의 거리가 30㎞ 정도로 일정하며, 유적의 건축적 특징과 규모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발해의 공적인 건물로 보고 있다. 언제 창건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출토 유물로 보아 발해시기에 처음 지어졌고, 요·금대에 계속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석건24개돌유적 자료번호 : isea.d_0003_0010_0050_0010_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