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마패24개돌유적

馬牌二十四塊石
  • 저필자
    정동준(충남대학교)
  • 시대
    발해/요금
  • 위치
  • 원소장처
    吉林省 圖們市 月睛鎭 馬牌村 三隊
  • 시대
    발해
  • 유형
    건축지
규모
남북: 7.5m, 동서: 10m
입지
북쪽으로 1km 떨어진 곳은 겹겹이 싸인 산이고, 도문강(圖們江)은 동쪽으로 500m 떨어진 곳에서 북쪽으로 흘러간다. 유지의 서쪽은 마패(馬牌)3대(隊) 주민 가옥과 붙어 있고, 동쪽과 남쪽에는 작은 마을길이 있으며, 마을길의 동쪽에는 너비 약 2m의 도랑이 있다.
유적개관
초석은 불규칙한 5각형의 긴 기둥형태로, 윗부분의 평면은 “□+▽(상하조합)”이며, 초석의 높이는 90cm, 최대 직경은 65cm이다. 나머지 8개 초석의 형태는 모두 이것과 대동소이하다. 남쪽의 첫 번째 열에는 3개의 초석이 동서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초석간거리는 1,05m로 원래의 간격에 접근하고 있으며, 다른 한 개는 석열(石列) 남쪽으로 약간 떨어져 있다. 중간은 2열로 4개의 초석이 있는데, 2개가 병렬되어 있으며, 간격은 1,10m이다. 2개는 원래 위치에 농가에서 돼지우리를 지을 때 사용되었다. 가장 북쪽에 있는 것이 3열로 현재는 2개의 초석이 있는데 간격은 1.30m이다. 첫 번째 열과 두 번째 열의 거리는 2,80m이고, 두 번째 열과 세 번째 열의 간격은 2,50m이다.
유물개관
암막새기와(적수첨와(滴水檐瓦)), 자루달린 기와, 수면와당이 발견되었다.
해설
도문시(圖們市) 월정진(月睛鎭) 마패(馬牌) 3대(隊) 동쪽에 있는 도랑 서쪽에 있다. 북쪽으로 1km 떨어진 곳은 겹겹이 싸인 산이고, 도문강(圖們江)은 동쪽으로 500m 떨어진 곳에서 북쪽으로 흘러간다. 유적의 서쪽은 마패 3대 주민 가옥과 붙어 있고, 동쪽과 남쪽에는 작은 마을길이 있으며, 마을길의 동쪽에는 너비 약 2m의 도랑이 있다.
이 유적은 유지는 동서 길이 10m, 남북 너비 약 7.5m이다. 초석(礎石)은 대부분이 주택으로 옮겨져 사용되어, 현재는 9개만 남아 있다. 현지인에 의하면, 원래 초석은 동서로 3열, 매 열마다 세로로 8개가 있었다고 한다. 현재 남아있는 9개 가운데 1개는 동쪽에 있고, 나머지는 원래 위치에 남아 있다. 초석은 불규칙한 5각형의 긴 기둥형태로, 윗부분의 평면은 “□+▽(상하조합)”이며, 초석의 높이는 90cm, 최대 직경은 65cm이다. 나머지 8개 초석의 형태는 모두 이것과 대동소이하다. 남쪽의 첫번째 열에는 3개의 초석이 동서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초석 간 거리는 1.05m로 원래의 간격에 접근하고 있으며, 다른 한 개는 석렬(石列) 남쪽으로 약간 떨어져 있다. 중간은 2열로 4개의 초석이 있는데, 2개가 병렬되어 있으며, 간격은 1.10m이다. 2개는 원래 위치에 농가에서 돼지우리를 지을 때 사용되었다. 가장 북쪽에 있는 것이 3열로 현재는 2개의 초석이 있는데 간격은 1.30m이다. 첫번째 열과 두번째 열의 거리는 2.80m이고, 두번째 열과 세번째 열의 간격은 2.50m이다.
마패24개돌 유적은 돈화시(敦化市) 교외의 해청방(海靑房: 현재는 林勝鄕)·관지둔(官地屯: 현재는 官地鎭)·요전자(腰甸子) 등에 위치한 발해 24개돌 유적과 대체로 동일하며, 심지어 초석 형태까지도 동일하다. 분명한 것은 이 유적은 위에 서술한 것과 동일시기에 속하는 발해건축지라는 점이다. 유지에서는 암막새기와. 자루달린 기와, 짐승얼굴 와당 등과 같은 전형적인 요(遼)·금(金) 시기(907∼1234)의 유물도 발견되었다. 상술한 유적과 유물에 근거하여 분석하면, 이 유적은 발해 때에 만들어졌으나 이후 요·금에서도 계속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암막새기와, 자루달린 기와, 짐승얼굴 와당이 발견되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마패24개돌유적 자료번호 : isea.d_0003_0010_0050_0010_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