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17) 협타심발(심발형) 토기류

발해 유적에서 출토되는 동체가 좁고(狹) 길쭉한(楕) 협타동체(狹楕胴體)를 가진 토기 혹은 심발형 토기는 일반적으로 말갈계통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협타동체 토기들 중에서 구연이 2중인 것은 말갈계통이 거의 분명하다고 생각되나 구연이 2중이 아닌 것들은 그 계통에 대해 속단할 수 없다고 생각된다. 협타형 혹은 심발형 토기 중에는 외반구연이면서 동체가 장동형인 것도 있는데 말갈계통과는 거리가 멀다. 장동형의 동체를 가진 심발형 토기보다도 더 길쭉한 동체를 가진 토기들을 한국에서는 말갈 심발형 토기, 중국에서는 말갈관, 통형관 등의 이름으로 불리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형은 이와 유사하나 말갈계통이 아닌 것들도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형태 토기에 대한 새로운 명칭이 필요하다. 이 부류 토기들을 지칭하는 용어로서 협타동체 심발형 토기 혹은 협타형 토기라는 명칭을 제안하고 싶다. 물론 협타심발로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
협타형 토기는 사실 동체의 세부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 크라스키노성에서는 전체 기형이 확인되는 것은 소수에 불과하고 대부분의 경우 구연-동체 윗부분의 편 상태로만 보고가 되어 원래의 기형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힘들다. 때문에 기형이 어느 정도 파악되는 것을 중심으로 기형 분류를 하였고, 나머지는 기타 형태로 소개하였다. 구연부는 끝부분이 아래 돌대로 인해 2중 구순으로 불리는 것이 절대다수이다. 다만 여기에서 말하는 2중 구순 혹은 2중 구연의 구성은 한국 신석기시대의 이중구연 토기의 겹 입술과는 완전히 다른 개념임을 지적할 필요가 있다. 그 외에도 협타형 토기 중에는 구순이 한 겹, 즉 홑 구순인 것들도 있다.
협타심발은 수제인 것도 있지만 윤제인 것도 있다. 하지만 보고서의 도면과 사진만으로는 수제인지 아니면 윤제인지 구분하는 것이 한계가 있다. 다만 보고서에 수제 혹은 윤제로 분명하게 기록한 것은 모두 각 토기 부분에서 언급하였다. 또한 협타심발로 소개된 토기들 중에는 다른 기종이 포함되었을 가능성도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구연-동체 윗부분의 편 상태에서는 사실상 구분이 힘들기 때문에 협타심발일 가능성이 높은 것들은 모두 포함을 시켰다.
(1) 2중 구순 협타 심발형 토기
구연부의 형식은 많은 변이가 보인다. 구연부 끝부분 2중 구순의 세부 형태를 통해 다음 형식을 구분해 보았다.
Ⅰ형식. 윗입술이 그대로 사선방향으로 호선을 그리면서 외반하고, 아래 입술의 하변도 약간 낮은 각도이긴 하나 윗입술과 거의 비슷한 방향인 것이다.
Ⅱ형식. 윗입술은 그대로 사선방향으로 호선을 그리면서 외반하고, 아래 입술의 하변은 거의 수평을 이루는 것이다.
Ⅲ형식. 윗입술은 그대로 사선방향으로 호선을 그리면서 외반하나, 아래 입술의 하변은 포물선을 그리면서 아래로 향하는 것이다.
Ⅳ형식. 윗입술은 그대로 사선방향으로 호선을 그리면서 외반하고, 아래 입술은 기저부가 좁은 돌대 모양을 이루는 것이다.
Ⅴ형식. 윗입술의 안쪽이 약간 내만하고, 윗입술이 위를 향한다. 구연부의 방향이 거의 수평에 가까운 것(Ⅴ -1형식), 사선에 가까운 것(Ⅴ-2형식), 거의 수직에 가까운 것(Ⅴ-3형식)으로 구분된다.
Ⅵ형식. 윗입술이 매우 짧고, 아래 입술은 거의 수평인 것이다. 윗입술이 거의 수직인 것(Ⅵ-1형식)과 약간 사선방향인 것(Ⅵ-2형식)으로 구분된다.
Ⅶ형식. 윗입술이 상대적으로 길고 수직 혹은 거의 수직인 것이다. 윗입술이 수직인 것(Ⅶ-1형식)과 거의 수직인 것(Ⅶ-2형식)으로 구분된다.
Ⅷ형식. 두터운 윗입술이 사선방향으로 호선을 그리면서 외반하고, 아래 입술은 매우 미약하게 표현된 것이다.
Ⅸ형식. 윗입술과 아래의 입술 사이 간격이 좁고 또 두 입술 사이의 골이 매우 낮은 것이다. 2종류로 구분된다. Ⅸ-1형식은 윗입술과 아래 입술 하변의 방향이Ⅰ형식과 비슷한 것이다. Ⅸ-2형식은 아래 입술 하변의 방향이 윗입술과 동일한 것이다.
Ⅹ형식. 윗입술과 아래 입술 하변의 방향은 Ⅲ형식과 비슷하나, 위와 아래의 입술 사이 간격이 좁고 또 두 입술 사이의 골이 매우 낮은 것이다.
ⅩⅠ형식. 아래 입술은 두텁게, 윗입술은 매우 미약하게 표현된 것이다.
① 동체의 모양이 장타원형에 가까운 것 1
동체의 모양이 바른 장타원형에 가까운 것이다. 전체 기형이 확인되는 것이 1점 있고, 전체 기형이 대략 복원된 것도 1점 있다. 나머지는 동체 기저부 혹은 그 이상이 결실된 것이다. Ⅰ~Ⅳ형식, Ⅷ~ⅩⅠ형식의 구연부 형태가 확인된다. 구연부-목-어깨부분의 단면이 C자 모양이다.
Ⅰ형식. 6점이 확인된다. 윗입술이 사선방향으로 호선을 그리면서 외반하고, 아래 입술의 하변도 약간 낮은 각도로 윗입술과 거의 비슷한 방향을 향한다. 1점은 동체의 중간 부분이 결실되었으나 전체 기형이 복원되었다. 경경과 저경 사이에서 완만하게 부풀어 오른 기벽의 호선이 위와 아래가 거의 대칭을 이루게 복원되었다. 구경은 9.8㎝, 경경은 8.3㎝, 추정 동최대경은 13㎝, 저경은 6.8㎝이다(도면 968, 1). 다른 1점은 구경이 15.9㎝, 동최대경이 15.8㎝이다(도면 968, 2; 970, 1).
도면 968 | 크라스키노성 출토 2중 구순 협타심발 바른 장타원형 Ⅰ형식(1~6), Ⅱ형식(7): 1-제41구역 제2인공층(2008-도438, 4), 2-제48구역 동쪽섹터 제8인공층 까-28방안(2016-도172, 4), 3-제44구역 제8인공층 붸`-24방안(2014-도122, 2), 4-제44구역 제12인공층 제-25방안(2014-도352, 2), 5-제34구역 서쪽섹터 남쪽 주거지(2007-도251, 3), 6-제34구역 제6인공층 제-6방안(2006-도208, 3), 7-제34구역 제10인공층 5호 주거지 붸-4방안(2007-도233, 2)
다른 1점은 속심과 표면이 암갈색이고, 내면과 외면에 유기물 흔적이 있다. 구경은 13㎝이다(도면 968, 3). 1점은 구경이 12㎝이고, 속심은 주황-갈색, 표면은 유기물 흔적이 있는 갈색이다. 말갈 특징의 발해 토기로 평가된다(도면 968, 4; 970, 2). 1점은 어깨 부분에 수평의 침선과 나선문이 시문되어 있다(도면 968, 5; 970, 3). 나머지 1점은 구경이 14.2㎝이다(도면 968, 6).
Ⅱ형식. 4점이 있다. 아래 입술의 하변의 거의 수평 방향이다. 1점은 어깨 부분에 1줄의 돌대가 돌려져 있다. 외면을 수평 띠 마연하였다. 내면에는 그을음, 외면에는 다수의 유기물 흔적이 부착되어 있다. 구경은 13.5㎝이다. 말갈 토기로 보고되었다(도면 968, 7; 970, 4). 다른 1점은 윤제로 보고되었는데 구경은 16.9㎝이다. 속심은 주황-갈색, 표면은 갈색이다(도면 969, 1). 다른 1점은 어깨 부분에 1줄의 수평 침선이 돌려져 있다. 구경은 13.4㎝이다(도면 969, 2). 나머지 1점은 어깨에 턱이 형성되어 있다. 구경은 16.8㎝이다. 말갈 특징의 발해 토기로 평가된다(도면 969, 3; 970, 5).
도면 969 | 크라스키노성 출토 2중 구순 협타심발 바른 장타원형 Ⅱ형식: 1-제44구역 제8인공층 줴-26방안(2014-도124, 3), 2-제34구역 제6인공층 까-4방안(2006-도208, 2), 3-제48구역 동쪽섹터 제6인공층 제-31방안(2016-도63, 5)
도면 970 | 크라스키노성 출토 2중 구순 협타심발 바른 장타원형 Ⅰ형식(1~3), Ⅱ형식(4,5): 1-제48구역 동쪽섹터 제8인공층 까-28방안(2016-도153), 2-제44구역 제12인공층 제-25방안(2014-도366, 2), 3-제34구역 서쪽섹터 남쪽 주거지(2007-도156, 1), 4-제34구역 제10인공층 5호 주거지 붸-4방안(2007-도184), 5-제48구역 동쪽섹터 제6인공층 제-31방안(2016-도54, 4)
Ⅲ형식. 3점이 확인된다. 아래 입술의 하변이 아래를 향한다. 3점 모두 윤제이며, 말갈 요소를 지닌 발해 토기로 평가된다. 1점은 구경이 9.9㎝이며, 회색이다. 외면이 수평 띠 마연되었다(도면 971, 1; 972, 1). 다른 1점은 구경이 11㎝이고, 속심은 갈색, 표면은 회갈색이다(도면 971, 2; 972, 2). 나머지 1점은 구경이 13.8㎝이다(도면 971, 3; 972, 3).
도면 971 | 크라스키노성 출토 2중 구순 협타심발 바른 장타원형 Ⅲ형식(1~3), Ⅳ형식(4), Ⅴ-1형식(5~7), Ⅴ-2형식(8~12): 1-제44구역 제7인공층 게-22방안(2014-도90, 1), 2-제44구역 제12인공층 베-24방안(2014-도352, 3), 3-제45구역 남쪽섹터 제6인공층 줴-6방안(2011-도49), 4-제40구역 15호 주거지 제-22방안(2009-도487, 2), 5-제44구역 제8인공층 까-19방안(2014-도122, 1), 6-제44구역 제10인공층 까-23방안(2014-도184, 2), 7-제44구역 제11인공층 이-26방안(2014-도253, 3), 8-제34구역 데-1방안(2007-도253, 2), 9-제44구역 제9인공층 엘-25방안(2014-도178, 4), 10-제34구역 제8인공층 붸-7방안(2007-도222, 2), 11-제40구역 제12인공층 11호 주거지와 주변 붸-18방안(2009-도386, 4), 12-제21구역 제4인공층(1999-도141, 18)
도면 972 | 크라스키노성 출토 2중 구순 협타심발 바른 장타원형 Ⅲ형식(1~3), Ⅴ-1형식(4), Ⅴ-2형식(5): 1-제44구역 제7인공층 게-22방안(2014-도84, 1), 2-제44구역 제12인공층 베-24방안(2014-도366, 3), 3-제45구역 남쪽섹터 제6인공층 줴-6방안(2011-도48, 1), 4-제44구역 제8인공층 까-19방안(2014-도112), 5-제44구역 제9인공층 엘-25방안(2014-도143, 2)
Ⅳ형식. 돌대, 즉 아래 입술의 기저부가 매우 좁은 것이다. 1점이 있다. 목의 가장 잘록한 부분에 1줄의 침선이 돌려져 있다. 그 아래로 어깨 부분에는 일정 간격으로 작은 점이 찍혀있다. 구경은 11.9㎝이다(도면 971, 4).
Ⅴ형식. 윗입술이 위로 향하는 것이다.
Ⅴ-1형식. 4점이 확인된다. 윗입술이 구연부에서 꺾이면서 위로 향한다. 윗입술 안쪽에 미약하게 턱이 형성되었다. 4점은 동체 기벽의 호선이 어느 정도 확인된다. 그중의 1점은 어깨 부분에 침선이 1줄 돌려져 있다. 이 토기는 구경이 10.9㎝, 동최대경이 11.6㎝이다. 속심과 표면은 갈색이다(도면 971, 5; 972, 4). 다른 1점은 구경이 11.3㎝이다. 외면을 조밀하게 수직 마연하였다. 속심은 회색, 표면은 흑색이다(도면 971, 6). 다른 1점은 구경이 15㎝이고, 속심은 회색, 표면은 암갈색이다. 외면에 유기물 흔적이 있다(도면 971, 7).
Ⅴ-2형식. 5점이 확인된다. 거의 위로 향한 윗입술의 안쪽이 약간 오목하다. 1점은 동체의 기벽이 어느 정도 파악이 된다. 구경은 17.4㎝이다. 물레 보완의 말갈 토기로 보고되었다(도면 971, 8). 다른 1점은 구경이 16㎝이다. 어깨에 1줄의 돌대가 돌리어져 있다. 속심과 표면은 주황-갈색이고, 내면에는 유기물 흔적, 외면에는 그을음 자국이 있다(도면 971, 9; 972, 5). 1점은 목-어깨 부분이 지그재그 모양의 띠 광택무늬로 장식되었다. 회색이다. 구경은 15.8㎝이다(도면 971, 10). 1점은 구경이 11㎝이다(도면 971, 11). 나머지 1점은 구경이 12.4㎝인데 윗입술이 길어 반구상 구연을 연상시킨다(도면 971, 12).
Ⅷ형식. 2점이 있다. 윗입술 아래에 아래 입술이 미약하게 표현되어 있다. 1점은 구경이 10.3㎝이다. 속심과 표면이 모두 회색이고, 유기물 흔적이 있다(도면 973, 1). 다른 1점은 구경이 11.2㎝이다(도면 973, 2).
도면 973 | 크라스키노성 출토 2중 구순 협타심발 바른 장타원형 Ⅷ형식(1,2), Ⅸ-1형식(3~5), Ⅹ형식(6,7), Ⅺ형식(8): 1-제44구역 제7인공층 이-23방안(2014-도90, 2), 2-제34구역 제3인공층 까-11방안(2006-도201, 3), 3-제47구역 2섹터 제5인공층 아-15방안(2015-도300, 1), 4-제51구역 제13인공층 제-8방안(2018-도360, 1), 5-제44구역 제4인공층 까-18방안(2012-도77, 4), 6-제34구역 제10인공층 5호 주거지 게-5방안(2007-도233, 1), 7-제44구역 서쪽섹터 제5인공층 붸`-24방안(2012-도164, 1), 8-제48구역 동쪽섹터 제7인공층 엔-31방안(2016-도83)
Ⅸ-1형식. 윗입술과 아래 입술 하변의 방향이 Ⅰ형식과 비슷하나, 위와 아래의 입술 사이 간격이 좁고 또 두 입술 사이의 골이 매우 낮은 것이다. 3점이 확인된다. 1점은 구경이 13.2㎝인데 속심은 오렌지-갈색, 표면은 암갈색이다(도면 973, 3). 다른 1점은 구경이 12.2㎝이고, 속심은 회색, 표면은 갈회색이다(도면 973, 4; 974, 1). 나머지 1점은 구경이 11.8㎝이다(도면 973, 5).
도면 974 | 크라스키노성 출토 2중 구순 협타심발 바른 장타원형 Ⅸ-1형식(1), Ⅹ형식(2), Ⅺ형식(3): 1-제51구역 제13인공층 제-8방안(2018-도351, 4), 2-제34구역 제10인공층 5호 주거지 게-5방안(2007-도183), 3- 제48구역 동쪽섹터 제7인공층 엔-31방안(2016-도82)
Ⅹ형식. 2점이 있다. 윗입술과 아래 입술 하변의 방향은 Ⅲ형식과 비슷하나, 위와 아래 입술 사이의 골이 매우 낮은 것이다. 1점은 어깨 부분에 2줄의 침선이 돌려져 있다. 아래 침선의 아래에 새김으로 무언가 기호가 새겨져 있다. 내면에 그을음 얼룩이 있다. 구경은 11.8㎝이다(도면 973, 6; 974, 2). 다른 1점은 어깨 부분에 낮게 2줄의 돌대가 거의 붙은 상태로 돌려져 있고, 그 사이는 오목하다. 구경은 23.2㎝이다(도면 973, 7).
ⅩⅠ형식. 1점이 있는데 전체 기형이 확인된다. 아래 입술은 두텁게, 윗입술은 매우 미약하게 표현된 것이다. 전형적인 2중 구순과는 차이를 보인다. 목이 짧고 잘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경경과 저경 사이에서 완만하게 부풀어 오른 기벽의 호선은 위와 아래가 거의 대칭을 이룬다. 구경은 21.6㎝, 경경은 16.6㎝, 동최대경은 23.4㎝, 저경은 12.6㎝, 높이는 21.6㎝이다. 동최대경과 높이의 비율이 1:1.4이다(도면 973, 8; 974, 3).
② 동체의 모양이 장타원형에 가까운 것 2
동체의 모양이 약간 편평해진 장타원형에 가까운 것이다. 전체 기형이 확인되는 것은 없다. 구연부는 Ⅰ~Ⅳ형식, Ⅸ형식이 확인된다.
Ⅰ형식. 4점이 있다. 3점은 동체의 중위 아랫부분까지 기형이 확인된다. 그중의 1점은 구경이 12㎝인데, 속심은 회색이고, 표면은 그을음과 유기물 흔적이 얼룩져 있는 흑색이다. 말갈 토기의 특징을 가진 발해 토기로 평가된다(도면 975, 1; 977, 1). 다른 1점은 구경이 10.9㎝이다. 이 토기는 속심은 오렌지-갈색이고, 외면은 회색이다. 외면에 수평 띠 모양 마연을 하였다(도면 975, 2; 977, 2). 1점은 구경이 16.8㎝이다(도면 975, 3). 나머지 1점은 구경이 17.7㎝이다(도면 975, 4).
도면 975 | 크라스키노성 출토 2중 구순 협타심발 편평 장타원형 Ⅰ형식(1~4), Ⅱ형식(5,6), Ⅲ형식(7). Ⅳ형식(8): 1-제44구역 제14인공층 게`-24방안(2014-도449, 4), 2-제44구역 복토 제거 중 베-24방안(2015-도58, 1), 3-제34구역 6호 주거지 붸-4,베-2방안(2007-도252, 2), 4-제34구역 제12인공층 베-2방안(2007-도243, 3), 5-제40구역 제14인공층 10,11호 주거지 붸-14방안(2009-도335, 3), 6-제40구역 15호 주거지 제-22방안(2009-도487, 1), 7-제34구역 제10인공층 5호 주거지 베-6방안(2007-도234, 1), 8-제40구역 제7인공층 9호 주거지 게,예-18방안(2009-도151, 3)
Ⅱ형식. 2점이 있다. 아래 입술의 하변의 거의 수평 방향이다. 구경은 각각 16㎝(도면 975, 5; 977, 3)와 12.3㎝(도면 975, 6)이다.
Ⅲ형식. 1점이 확인된다. 아래 입술의 하변이 아래를 향한다. 구경은 14.3㎝이다. 아래 입술에 사선방향으로 짧게 각목이 되어 있다(도면 975, 7; 977, 4).
Ⅳ형식. 아래 입술의 기저부가 매우 좁은 것이다. 2점이 있다. 1점은 어깨 부분에 2줄의 침선이 수평으로 돌려져 있고, 그 사이에 파상문이 시문되었다. 구경은 13.2㎝이다(도면 975, 8; 977, 5). 1점은 구경이 17.4㎝이다. 말갈 토기로 보고되었다(도면 976, 1; 977, 6).
도면 976 | 크라스키노성 출토 2중 구순 협타심발 편평 장타원형 Ⅳ형식(1), Ⅸ-1형식(2~4), Ⅸ-2형식(5): 1-제34구역 제10인공층 5호 주거지(2007-도235), 2-제44구역 제8인공층 엔-29방안(2014-도123, 1), 3-제44구역 제12인공층 게`-24방안(2014-도352, 1), 4-제44구역 서쪽섹터 제19인공층 붸-25방안(2015-도200, 2), 5-제27구역 제5인공층 붸-6방안 (2001-도118)
도면 977 | 크라스키노성 출토 2중 구순 협타심발 편평 장타원형 Ⅰ형식(1,2), Ⅱ형식(3), Ⅲ형식(4), Ⅳ형식(5,6), Ⅸ-1형식(7,8): 1-제44구역 제14인공층 게`-24방안(2014-도434), 2-제44구역 복토 제거 중 베-24방안(2015-도51), 3-제40구역 제14인공층 10,11호 주거지 붸-14방안(2009-도328, 2), 4-제34구역 제10인공층 5호 주거지 베-6방안(2007-도189), 5-제40구역 제7인공층 9호 주거지 게,예-18방안(2009-도150), 6-제34구역 제10인공층 5호 주거지(2007-도185), 7-제44구역 제8인공층 엔-29방안(2014-도113, 2), 8-제44구역 제12인공층 게`-24방안(2014-도366, 1)
Ⅸ형식. 윗입술과 아래의 입술 사이 간격이 좁고 또 두 입술 사이의 골이 매우 낮은 것이다.
Ⅸ-1형식. 윗입술과 아래 입술 하변의 방향이Ⅰ형식과 비슷한 것이다. 3점이 확인된다. 1점은 동체 기저부를 제외하고 기형이 복원된다. 어깨 부분에 2줄의 침선이 수평으로 돌려져 있다. 회갈색이고, 내면과 외면에 유기물 흔적이 있다. 구경은 10㎝이다. 말갈 특징을 가진 발해 토기로 평가된다(도면 976, 2; 977, 7). 다른 1점은 속심과 내면은 흑색, 외면은 유기물 흔적이 있는 갈흑색이다. 구경은 12.2㎝이다(도면 976, 3; 977, 8). 나머지 1점은 구경은 16.9㎝이고, 외면이 수직 띠 마연되었다. 속심은 오렌지-갈색, 표면은 암갈색이다. 말갈 토기 특징이 있는 발해 토기로 평가된다(도면 976, 4).
Ⅸ-2형식. 아래 입술 하변의 방향이 윗입술과 동일한 것이다. 1점이 있다. 아래 입술에 각목이 되어 있다. 목 부분에 한자 木 명문이 새겨져 있다. 구경은 14.1㎝이다. 속심과 표면은 흑색이다. 표면에 유기물 흔적이 있는데 조리용기일 것으로 평가되었다. 수제의 말갈 토기로 보고되었다(도면 976, 5).
③ 동체의 윗부분이 수직 방향으로 거의 곧은 것
어깨에서부터 시작하여 동체 기벽이 수직 방향으로 거의 곧은 상태이다. 구연부는 외반하는 것과 직립하는 것이 있다. 구연부-목-어깨부분의 단면 형태가 여러 가지이다.
Ⅰ형식. 1점이 확인된다. 목과 어깨가 서로 잘 구분되지 않는다. 구연부는 거의 사선방향이다. 구경은 13㎝이다. 속심과 내면은 흑색, 외만은 갈색이다. 내면에 유기물 흔적이 남아 있다(도면 978, 1; 980, 1).
도면 978 | 크라스키노성 출토 2중 구순 협타심발 상부 수직 Ⅰ형식(1), Ⅱ형식(2~4), Ⅲ형식(5~8), Ⅴ-2형식(9), Ⅵ-1형식(10): 1-제44구역 제15인공층 붸`-20방안(2014-도460, 4), 2-제44구역 제10인공층 줴-26방안(2014-도181, 2), 3-제45구역 남쪽섹터 제10인공층 엘-10방안(2011-도170), 4-제44구역 서쪽섹터 제18인공층 베-21방안(2015-도180, 1), 5-제34구역 게-2방안(2007-도255, 3), 6-제34구역 6호 주거지 붸-1방안(2007-도256, 4), 7-제34구역 6호 주거지리 붸-4, 베-2방안(2007, 도252, 3), 8-제40구역 제13인공층 11호 주거지 붸-20방안(2009-도387, 3), 9-제48구역 동쪽섹터 제8인공층 까,엘-31,32방안(2016-도174, 3), 10-제24구역 제1인공층(1999-도163, 2)
Ⅱ형식. 3점이 확인된다. 3점 모두 구연부가 사선방향으로 부드럽게 외반한다. 1점은 아래 입술에 둥근 점 모양을 각목하였다. 외면에는 수직 띠 마연을 하였다. 속심은 흑색, 표면은 암갈색이다. 구경은 12㎝이다. 이 토기는 말갈 특징의 발해 토기로 평가된다(도면 978, 2; 980, 2). 다른 1점은 구경이 14㎝이다(도면 978, 3; 980, 3). 나머지 1점은 윗입술이 상대적으로 짧다. 이 토기는 구경이 11㎝, 속심과 내면은 흑색, 외면은 갈색이다(도면 978, 4; 980, 4).
Ⅲ형식. 4점이 확인된다. 아래 입술의 하변이 모두 아래로 향한다. 모두 말갈 토기로 보고되었다. 물레 보완인 것으로 보고된 2점은 구경이 각각 8.7㎝(도면 978, 5)와 12.3㎝(도면 978, 6)이다. 구경이 12.1㎝인 1점은 윤제로 보고되었다(도면 978, 7). 나머지 1점은 구경이 16㎝이다(도면 978, 8; 980, 5).
Ⅴ-2형식. 1점이 있다. 윗입술이 위로 향한다. 윗입술과 아래 입술 사이의 구분이 상당히 미약한 편이다. 구경은 11.1㎝이다(도면 978, 9).
Ⅵ형식. 윗입술이 매우 짧고, 아래 입술은 거의 수평인 것이다.
Ⅵ-1형식. 윗입술이 거의 수직인 것이다. 2 점이 있다. 모두 작은 편 상태이며, 말갈 토기로 보고되었다. 그중의 1점은 어깨 부분에 돌대의 흔적이 남아 있다. 구경은 16.9㎝이다(도면 978, 10). 다른 1점은 구경이 14.2㎝이고, 흑색이며, 표면에 음식 더껑이 흔적이 남아 있다(도면 979, 1).
도면 979 | 크라스키노성 출토 2중 구순 협타심발 상부 수직 Ⅵ-1형식(1), Ⅵ-2형식(2), Ⅶ-1형식(3), Ⅶ-2형식(4), Ⅸ-1형식(5): 1-제13구역 제2인공층(1997-도105, 1), 2-제11, 12구역(1995-도47, 3), 3-제40구역 제10인공층 붸-18방안(2009-도155, 5), 4-제45구역 남쪽섹터 제16인공층 데-11방안 (2011-도214), 5-제44구역 서쪽섹터 제18인공층 아-23방안(2015-도180, 2)
Ⅵ-2형식. 1점이 있다. 속심과 내면은 흑색이고, 외면은 적갈색인데 내면에 더껑이가 있다. 구경은 13.4㎝이다(도면 979, 2).
Ⅶ형식. 윗입술이 상대적으로 길고 수직 혹은 거의 수직인 것이다.
Ⅶ-1형식. 윗입술이 수직인 것이다. 1점이 있다. 구경은 12.1㎝이다(도면 979, 3).
Ⅶ-2형식. 1점이 확인된다. 윗입술이 수직에 가까운 사선방향이다. 구연부 아래의 기벽이 밖으로 조금 벌어지는 직선이다. 구경은 14.5㎝이다. 말갈 토기로 보고되었다(도면 979, 4; 980, 6).
도면 980 | 크라스키노성 출토 2중 구순 협타심발 상부 수직 Ⅰ형식(1), Ⅱ형식(2~4), Ⅲ형식(5), Ⅶ-2형식(6), Ⅸ-1형식(7): 1-제44구역 제15인공층 붸`-20방안(2014-도455, 1), 2-제44구역 제10인공층 줴-26방안(2014-도159, 3), 3-제45구역 남쪽섹터 제10인공층 엘-10방안(2011-도170, 1), 4-제44구역 서쪽섹터 제18인공층 베-21방안(2015-도168, 4), 5-제40구역 제13인공층 11호 주거지 붸-20방안(2009-도366), 6-제45구역 남쪽섹터 제16인공층 데-11방안 (2011-도214, 1), 7-제44구역 서쪽섹터 제18인공층 아-23방안(2015-도168, 3)
Ⅸ-1형식. 1점이 확인된다. 구경은 23.4㎝이고, 오렌지-갈색이다(도면 979, 5; 980, 7).
④ 동체의 윗부분이 사선방향으로 거의 곧은 것
목에서 그 아래로 동체 기벽이 사선방향으로 거의 곧게 내려가는 것이다. 전체 기형이 확인되는 것이 없다. 구연부는 모두 외반하며, Ⅰ~Ⅳ형식이 보인다.
Ⅰ형식. 4점이 있다. 그중의 1점은 구경이 16.1㎝이고, 말갈 토기로 보고되었다(도면 981, 1; 983, 1). 다른 1점은 구경이 9.9㎝이며, 속심은 흑색, 표면은 암갈색이다. 조리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었고, 말갈 토기로 보고되었다(도면 981, 2). 나머지 2점은 구경이 각각 13.8㎝와 12.1㎝이다(도면 981, 3, 4).
도면 981 | 크라스키노성 출토 2중 구순 협타심발 상부 사선 직 Ⅰ형식(1~4), Ⅱ형식(5), Ⅲ형식(6), Ⅳ형식(7): 1-제45구역 남쪽섹터 17호 주거지 2호 노지(2011-도105), 2-제37구역 제1인공층(2007-도236, 8), 3-제40구역 제11인공층 11호 주거지 붸-20방안(2009-도384, 1), 4-제40구역 수혈 아-19방안(2009-도553, 3), 5-제40구역 제11인공층 11호 주거지 붸-20방안(2009-도334, 1), 6-제44구역 제11인공층 제-25방안(2014-도253, 4), 7-제11구역 출토(1996-도63b, 2)
Ⅱ형식. 1점이 있다. 구경은 14㎝이다(도면 981, 5).
Ⅲ형식. 1점이 있다. 구경은 17㎝, 속심은 주황-갈색, 외면은 갈색이고, 내면에 유기물 흔적이 있다(도면 981, 6).
Ⅳ형식. 1점이 있다. 구경은 17.6㎝이다. 말갈 토기로 보고되었다(도면 981, 7).
⑤ 동체의 윗부분이 사선 방향으로 호선인 것
목에서 시작하여 그 아래의 동체 윗부분 기벽이 줄곧 사선방향으로 밖으로 호선을 이루는 것이다. 전체 기형이 확인된 것은 없다. Ⅲ형식, Ⅴ형식, Ⅶ형식 구연이 확인된다.
Ⅲ형식. 2점이 있다. 1점은 구경이 18㎝이다. 말갈 특징의 발해 토기로 평가된다(도면 982, 1). 다른 1점은 구경이 9.5㎝이다(도면 982, 2).
도면 982 | 크라스키노성 출토 2중 구순 협타심발 상부 사선 직 Ⅲ형식(1,2), Ⅴ-2형식(3), Ⅴ-3형식(4,5), Ⅶ-2형식(6): 1-제44구역 제4인공층 엘-19방안(2012-도77, 6), 2-제40구역 제7인공층 게-22방안(2009-도151, 4), 3- 제44구역 제10인공층 게-24방안(2014-도181, 3), 4- 제11구역(1996-도58, 4), 5-제48구역 동쪽섹터 제9인공층 제-37방안(2016-도244, 4), 6-제44구역 제9인공층 1번 수혈 엠-21방안(2014-도176, 1)
Ⅴ형식. 윗입술의 안쪽이 약간 내만한 것이다.
Ⅴ-2형식. 윗입술이 거의 수평에 가깝다. 어깨 부분에 1줄의 돌대가 돌려져 있다(도면 982, 3; 983, 2).
도면 983 | 크라스키노성 출토 2중 구순 협타심발 상부 사선 직 Ⅰ형식(1), Ⅴ-2형식(2), Ⅶ-2형식(3): 1-제45구역 남쪽섹터 17호 주거지 2호 노지(2011-도105, 1), 2-제44구역 제10인공층 게-24방안(2014-도181, 3), 4- 제11구역(1996-도159, 2), 3-제44구역 제9인공층 1번 수혈 엠-21방안(2014-도144, 2)
Ⅴ-3형식. 윗입술의 방향이 거의 수직에 가까운 것이다. 2점이 있다. 1점은 어깨 부분에 1줄의 돌대가 돌려져 있다. 구경이 15.8㎝이고, 흑색이다. 말갈 토기로 보고되었다(도면 982, 4). 다른 1점은 구경이 10.1㎝이다, 기벽에 굴곡이 있다(도면 982, 5).
Ⅶ-2형식. 1점이 있다. 구경은 11.9㎝이다. 속심은 절반은 흑색, 다른 절반은 암갈색, 표면은 흑색이다. 유기물 흔적이 있다. 말갈 특징의 발해 토기로 평가된다(도면 982, 6; 983, 3).
⑥ 기벽의 윗부분이 안쪽으로 축약되는 것
구연부와 목이 서로 구분되지 않으면서 일정 높이까지 아래로 기벽이 축약되는 것이다. 그런데 구연-동체 윗부분 편의 이 특징이 동체의 특정 형태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구연-동체 윗부분만 보면 이 그룹에 속하면서도 동체의 모양은 완전히 서로 다른 것이 관찰되기 때문이다. 축약되는 이 부분의 아래로 동체가 부풀어 오른 것도 있고(도면 984, 1), 또 그 아래로 극히 조금만 넓어진 것도 있다(도면 984, 6). 이 예는 구연-동체 윗부분의 편 상태만 가지고서는 협타심발형 토기의 기형을 추정하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는 잘 보여준다. 구연부는 Ⅰ형식, Ⅲ형식, Ⅵ-1형식이 보인다.
도면 984 | 크라스키노성 출토 2중 구순 협타심발 상부 축약 Ⅰ형식(1,2), Ⅱ형식(3~5), Ⅲ형식(6,7), Ⅵ-1형식(8), U자 모양(9,10): 1-제48구역 동쪽섹터 제12인공층 이,까-27,28방안 (2018-도54, 2), 2-제40구역 9호 주거지 퇴적층 데-14방안(2009-도156, 1), 3-제44구역 제13인공층 엠,엔-21방안(2014-도354, 2), 4-제44구역 제14인공층 제-25방안 (2014-도449, 5), 5-제34구역 제12인공층 붸-1방안(2007-도244, 8), 6-제48구역 동쪽섹터 제12인공층 줴-29,30방안(2018-도54, 3), 7-제34구역 제12인공층 데-2방안(2007-도244, 3), 8-제31구역 와실유구(2004-도181, 1), 9-제6구역(1983-도14a), 10-제6구역(1983-도14)
Ⅰ형식. 2점이 확인되는데 기형이 어느 정도 추정된다. 2점 모두 축약되는 목 아래로 부풀어 오른 동체가 있다. 때문에 축약된 부분이 목을 형성하고 있다. 1점은 아래 입술에 원형 각목이 되어 있고, 어깨 부분에는 X자 모양 기호가 하나 새겨져 있다. 구경은 12.4㎝, 경경은 11.2㎝, 동최대경은 15㎝이다. 속심과 표면이 흑색이고, 내면과 외면에 더껑이와 그을음 흔적이 있다. 목이 상대적으로 길다(도면 984, 1; 985, 1). 다른 1점도 목이 구분되나 위의 것보다는 짧다. 구경은 10.5㎝이다(도면 984, 2).
도면 985 | 크라스키노성 출토 2중 구순 협타심발 상부 축약 Ⅰ형식(1), Ⅱ형식(2), Ⅲ형식(3), U자 모양(4,5): 1-제48구역 동쪽섹터 제12인공층 이,까-27,28방안 (2018-도40), 2-제44구역 제14인공층 제-25방안 (2014-도435), 3-제48구역 동쪽섹터 제12인공층 줴-29,30방안(2018-도41, 1), 4-제6구역(1983-도13), 5-제6구역(1983-도16)
Ⅱ형식. 3점이 있다. 목이 있다고 생각되나 전체 기형은 분명하지 못하다. 1점은 구경이 17㎝인데 속심과 표면은 회색이고, 외면에 그을음 흔적이 있다. 말갈 특징을 가진 발해 토기로 평가된다(도면 984, 3). 다른 1점은 구경이 15㎝이다. 속심과 외면은 회색이고, 내면에 유기물 흔적이 있다. 외면을 수직 마연하였다. 말갈 특징의 발해 토기로 평가된다(도면 984, 4; 985, 2). 나머지 1점은 구경이 12.6㎝이다. 물레 보완의 말갈 토기로 보고되었다(도면 984, 5).
Ⅲ형식. 2점이 있다. 1점은 기형이 복원되었는데 위가 조금 넓은 원통모양이다. 아래 입술에 각목이 되었다. 구경은 10.6㎝, 저경은 5.8㎝이고, 높이는 18㎝로 추정되었다. 속심은 오렌지-갈색, 표면은 암갈색이다. 외면이 일부 수직 마연되었다(도면 984, 6; 985, 3). 다른 1점은 남아 있는 기벽의 호선으로 보아 위의 것과는 기형이 달랐을 것으로 생각된다. 구경은 8.1㎝이다. 물레 보완을 한 말갈 토기로 보고되었다(도면 984, 7).
Ⅵ-1형식. 1점이 있다. 속심과 내면은 흑색, 외면은 갈색이며, 외면에 수직방향 마연을 하였다. 구경은 13㎝이다(도면 984, 8).
⑦ 동체의 형태가 단면 U자를 연상시키는 것
Ⅵ-2형식. 윗입술이 매우 짧으면서 가볍게 외반한다. 아래 입술은 비교적 크게 돌출하였다 . 2점이 있다. 그중의 1점은 전체 기형이 확인된다. 구연 혹은 윗입술이 매우 얇고 약간 외반한다. 어깨 부분에 1줄의 돌대가 돌려져 있다. 동체의 기벽이 포물선 형태이며, 토기 단면이 U자를 연상시킨다. 이 토기는 태토에 모래, 석영 입자가 다수 포함되어 있고, 암갈색이며, 기벽에 더껑이가 묻어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구경은 17.2㎝, 저경은 4.5㎝, 높이는 24.2㎝이다(도면 984, 9; 985, 4). 다른 1점은 구연-동체 윗부분과 저부를 통해 전체 기형이 위의 것과 비슷하게 추정 복원되었다. 구경은 18㎝, 저경은 6.2㎝이다(도면 984, 10; 985, 5).
⑧ 기타 형태
동체 윗부분의 특징이 위에서 소개한 것들과 조금씩 차이가 나면서 따로 별도 그룹을 구분하기가 힘든 것들이다. 구연부의 형식을 기준으로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Ⅰ형식. 3점이 있다. 1점은 윤제이면서 말갈 토기로 보고되었다. 구경은 11.9㎝이고, 다량의 유기물 흔적이 있다(도면 986, 1). 다른 1점은 속심은 절반은 갈색, 다른 절반은 흑색, 내면은 흑색, 외면은 주황-갈색이다. 유기물 흔적이 있다. 구경은 12㎝이다(도면 986, 2). 1점은 구경이 8.4㎝이다(도면 986, 3).
도면 986 | 크라스키노성 출토 2중 구순 협타심발 기타 동체 Ⅰ형식(1~3), Ⅱ형식(4~6), Ⅲ형식(7~9), Ⅳ형식(10~12): 1-제34구역 제11인공층 예-3방안(2007-도240, 3), 2-제44구역 제8인공층 붸`-24방안(2014-도122, 3), 3-제22구역 제3~4인공층(1999-도154, 22), 4-제44구역 제10인공층 14호 주거지(2014-도184, 3), 5-제45구역 제4인공층 까-6방안(2010-도435), 6-제40구역 제4인공층 베-18방안(2008-도455, 1), 7-제44구역 제11인공층 제-25방안(2014-도253, 5), 8-제45구역 남쪽섹터 제6인공층 데-7방안(2011-도50), 9-제41구역 8호 주거지 엔-5,6방안(2008-도443, 3), 10-제40구역 제5인공층 게-15방안(2008-도458, 1), 11-제34구역 게-3방안(2007-도253, 1), 12-제40구역 제12인공층 11호 주거지 아-21, 아`-18방안(2009-도417, 3)
Ⅱ형식. 3점이 있다. 1점은 구경이 11㎝이고, 속심과 내면은 흑색, 외면은 주황색이다(도면 986, 4). 다른 1점은 구경이 7.8㎝이다(도면 986, 5). 2점 모두 말갈 특징을 가진 발해 토기로 평가된다. 나머지 1점은 어깨에 턱이 형성되어 있다. 구경은 13.4㎝이다(도면 986, 6).
Ⅲ형식. 3점이 있다. 1점은 목 부분이 수직의 띠 광택무늬로 장식되었다. 구경은 16㎝이다. 속심과 내면은 흑색, 외면은 유기물 흔적이 있는 갈색이다(도면 986, 7; 987, 1). 나머지 2점은 구경이 각각 9.3㎝와 13㎝이다(도면 986, 8, 9; 987, 2).
도면 987 | 크라스키노성 출토 2중 구순 협타심발 기타 동체 Ⅲ형식(1,2)), Ⅳ형식(3,4): 1-제44구역 제11인공층 제-25방안(2014-도246, 1), 2-제45구역 남쪽섹터 제6인공층 데-7방안(2011-도48, 2), 3-제40구역 제5인공층 게-15방안(2008-도428), 4-제40구역 제12인공층 11호 주거지 아-21, 아`-18방안(2009-도365)
Ⅳ형식. 3점이 있다. 1점은 어깨 부분에 2줄의 침선이 수평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 사이에 파상문이 시문되어 있다. 구경은 16.4㎝이다(도면 986, 10; 987, 3). 다른 1점은 외면은 수직, 내면은 수평 방향으로 정면 흔적이 남아 있다. 물레 보완한 말갈 토기로 보고되었다(도면 986, 11). 나머지 1점은 구경이 15.7㎝이다(도면 986, 12; 987, 4).
Ⅴ-2형식. 2점이 있다. 1점은 구경이 12.8㎝이다. 속심은 주황-갈색, 표면은 갈색이다. 유기물 흔적이 있다(도면 988, 1; 989, 1). 다른 1점은 구경이 12.7㎝이다(도면 988, 2).
도면 988 | 크라스키노성 출토 2중 구순 협타심발 기타 동체 Ⅴ-2형식(1,2), Ⅵ-2형식(3), Ⅶ-2형식(4), Ⅸ-1형식(5), Ⅸ-2형식(6), Ⅻ형식(7), 기타 구연(8~14): 1-제7인공층 붸-23방안 (2014-도89, 3), 2-제41구역 제2인공층 엔-2방안(2008-도438, 2), 3-제11구역(1996-도58, 5), 4-제44구역 제7인공층 제-10방안(2014-도89, 4), 5-제47구역 3섹터 제12인공층 아-37방안(2014-도679, 3), 6-제34구역 베-5방안(2007-도254, 5), 7-제31구역 와실유구(2004-도181, 2), 8-제44구역 제10인공층 엔-25방안(2014-도181, 1), 9-제34구역 제11인공층 붸-14방안(2007-도239, 4), 10-제34구역 제11인공층 베-5방안(2007-도239, 5), 11-제34구역 제12인공층 베-1방안(2007-도245, 3), 12-제34구역 붸-14방안(2007-도254, 4), 13-제34구역 제9인공층 예-줴-1-2방안(2007-도226, 1), 14-제37구역 제2인공층 예-줴-3,4방안(2007-도237, 2)
도면 989 | 크라스키노성 출토 2중 구순 협타심발 기타 동체 Ⅴ-2형식(1), Ⅸ-1형식(2), 기타 구연(3): 1-제7인공층 붸-23방안 (2014-도84, 2), 2-제47구역 3섹터 제12인공층 아-37방안(2014-도671, 1), 3-제44구역 제10인공층 엔-25방안(2014-도159, 1)
Ⅵ-2형식. 1점이 있다(도면 988, 3).
Ⅶ-2형식. 1점이 있다. 구경은 11㎝이다. 속심은 주황-갈색, 표면은 갈색이며, 유기물 흔적이 있다. 말갈 특징을 가진 발해 토기로 평가된다(도면 988, 4).
Ⅸ형식. 2종류의 세부 형식이 확인된다.
Ⅸ-1형식. 1점이 있다. 구경은 10㎝, 어깨에 1줄의 침선이 돌려져 있다. 속심과 표면이 흑색이다(도면 988, 5; 989, 2).
Ⅸ-2형식. 1점이 있다. 물레 보완의 말갈 토기로 보고되었다. 구경은 15.6㎝이다(도면 988, 6).
ⅩⅡ형식. 1점이 있다. 구순이 위로 향하는 것이 잘 관찰된다. 구경은 11㎝이다(도면 988, 7).
기타 형식 구연부. 상기 구연부 형식들에 포함시키기가 애매한 편들도 8점 있다(도면 988, 8~14; 989, 3).
(2) 홑 구순 협타 심발형 토기
동체는 좁고 길쭉한 협타형 혹은 심발형인데 구순이 2중이 아니라 홑인 것이다. 7개의 구연부 형식이 확인된다. 몇몇 형식의 홑 구연은 2중 구연과 형태적 발전관계에 있다고 생각된다.
Ⅰ형식. 구순이 단면 삼각형이면서 아래 모서리가 아래로 처져 갈고리를 연상시키는 것이다. 5점이 확인된다. 모두 외반한 구연부를 가졌다. 1점은 어깨 부분 아래가 조금 남아 있어 기형이 어느 정도 추정이 되는데 전형적인 협타심발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 토기는 구경이 17.8㎝이다(도면 990, 1). 나머지는 편이 작아 동체의 형태가 분명하지 않다. 그중의 1점은 목 부분에 2줄의 침선이 수평으로 평행하게 돌려져 있다. 구경은 12.9㎝이다(도면 990, 2; 991, 1). 2점은 말갈 특징을 가진 발해 토기로 평가되는데 구경은 각각 17.8㎝와 17㎝이다(도면 990, 3, 4). 나머지 1점은 구경이 12.3㎝이다(도면 990, 5).
도면 990 | 크라스키노성 출토 홑 구순 협타심발 Ⅰ형식(1~5), Ⅱ형식(6~9): 1-제40구역 13호 주거지 상부 퇴적층 아-20방안(2009-도488, 1), 2-제40구역 제14인공층 10,11호 주거지 베-16방안(2009-도335, 1), 3-제48구역 동쪽섹터 제6인공층 제-28방안(2016-도63, 4), 4-제48구역 동쪽섹터 제8인공층 줴-36방안(2016-도173, 3), 5-제34구역 제2인공층 베-8방안(2006-도200, 2), 6-제45구역 남쪽섹터 제15인공층 예-10방안(2011-도209), 7-제48구역 동쪽섹터 제9인공층 이-32방안(2016-도246, 2), 8-제34구역 제12인공층 예-3방안(2007-도243, 4), 9-제34구역 6호 주거지 베-5방안(2007-도229, 3)
도면 991 | 크라스키노성 출토 홑 구순 협타심발 Ⅰ형식(1), Ⅱ형식(2~4): 1-제40구역 제14인공층 10,11호 주거지 베-16방안(2009-도327, 2), 2-제45구역 남쪽섹터 제15인공층 예-10방안(2011-도209, 1), 3-제48구역 동쪽섹터 제9인공층 이-32방안(2016-도238, 1), 4-제34구역 6호 주거지 베-5방안(2007-도190)
Ⅱ형식. 구순이 단면 삼각형인데 아래 모서리의 하변이 아래로 처지지 않은 것이다. 4점이 확인된다. 3점은 목-어깨의 기벽이 사선방향으로 거의 곧게 아래로 내려간다. 그중의 1점은 어깨 부분에 3줄의 수평 침선이 평행하게 돌려져 있다. 구경은 13,1㎝이다(도면 990, 6; 991, 2). 구경이 10.2㎝인 1점은 말갈 특징의 발해 토기로 평가된다(도면 990, 7; 991, 3). 1점은 구경이 13.7㎝이다(도면 990, 8). 나머지 1점은 기벽의 거의 수직 방향으로 곧게 내려간다. 외면을 타날 후 정면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구경은 16.9㎝이다(도면 990, 9; 991, 4).
Ⅲ형식. 구순의 상변과 하변이 평행을 이루는 것이다. 3점이 확인된다. 그중의 2점은 전체 기형이 확인된다. 외반하는 구연부 아래로 목이 형성되어 있고, 어깨는 살짝 넓어지는데 동최대경이 중상위에 위치한다. 그 아래로 동체 기벽은 완만하게 축약된다. 외면을 수직 손 마연하였다. 속심은 짙은 오렌지색, 내면은 흑색, 외만은 갈색이다. 구경은 14.5㎝, 저경은 8.6㎝, 높이는 20.5㎝이다(도면 992, 1). 다른 1점은 목이 조금 더 깊게 형성되어 있다. 목 아래의 동체는 위와 아래가 거의 대칭을 이루눈 장타원형이다. 구경은 13㎝, 저경은 9.7㎝, 높이는 20.8㎝이다(도면 992, 2). 나머지 1점에도 목이 약간 형성되어 있다. 구경은 19.2㎝이다. 윤제이며, 말갈 토기로 보고되었다(도면 992, 3; 994, 1).
도면 992 | 크라스키노성 출토 홑 구순 협타심발 Ⅲ형식(1~3), Ⅳ형식(4,5), Ⅴ형식(6): 1-제34구역 제10인공층 제-3방안(2007-도230, 2), 2-제40구역 11호 주거지 베-19, 붸-18방안(2009-도156, 2), 3 -제34구역 6호 주거지 붸-4, 베-2방안(2007-도252, 1), 4-제44구역 제3인공층 줴-24방안(2010-도210), 5-제40구역 제2,3인공층 제-17방안(2008-도451, 6), 6-제45구역 남쪽섹터 제7인공층 데-8방안(2011-도73)
Ⅳ형식. 구연부가 짧게 외반하고 구순이 둥그스름한 것이다. 2점이 있다. 2점 모두 목 아래의 동체가 약간 편평한 장타원형에 가까우며, 서로 비슷하게 생겼다. 구경은 각각 9.8㎝와 8.8㎝이다(도면 992, 4, 5; 994, 2, 3).
Ⅴ형식. 외반하는 구연부가 거의 수평을 이루는 것이다. 1점이 확인된다. 구연부-목-어깨의 단면이 넓은 C자 모양이다. 구경은 11.3㎝이다. 말갈 토기로 보고되었다(도면 992, 6; 994, 4).
Ⅵ형식. 구순이 위를 향하는 일종의 상첨구순이다. 구연부가 사선방향인 것(Ⅵ-1형식), 거의 수직인 것(Ⅵ-2형식), 구순이 둥그스름한 것(Ⅵ-3형식)으로 구분된다.
도면 993 | 크라스키노성 출토 홑 구순 협타심발 Ⅵ-1형식(1,3), Ⅶ-1형식(2), Ⅵ-2형식(4), Ⅵ-3형식(5,6): 1-제34구역 제10인공층 5호 주거지 붸-4방안(2007-도234, 2), 2-제47구역 3섹터 제11인공층 베-27방안(2014-도659, 5), 3-제34구역 제12인공층 베-5방안(2007-도244, 2), 4-제41구역 제2인공층 엠-3방안(2008-도438, 1), 5-제53구역 남서쪽섹터 제5인공층 에쓰-1방안(2018-도762, 2), 6-제40구역 제7인공층 게-15방안(2009-도99, 2)
Ⅵ-1형식. 1점은 비록 기저부는 없지만 기형이 어느 정도 확인된다. 잘록하게 목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아래의 동체는 약간 편평한 장타원형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속심은 흑색, 표면은 암갈색이다. 어깨 부분에 유기물 흔적이 있다. 말갈 토기로 보고되었다. 구경은 16.6㎝이다(도면 993, 1; 994, 5). 나머지도 비슷한 형태였을 것으로 생각된다(도면 993, 2, 3).
도면 994 | 크라스키노성 출토 홑 구순 협타심발 Ⅲ형식(1), Ⅳ형식(2,3), Ⅴ형식(4), Ⅵ-1형식(5), Ⅵ-3형식(6,7): 1-제34구역 6호 주거지 붸-4, 베-2방안(2007-도157, 2), 2-제44구역 제3인공층 줴-24방안(2010-도209, 1), 3-제40구역 제2,3인공층 제-17방안(2008-도379, 2), 4-제45구역 남쪽섹터 제7인공층 데-8방안(2011-도75, 1), 5-제34구역 제10인공층 5호 주거지 붸-4방안(2007-도186), 6-제53구역 남서쪽섹터 제5인공층 에쓰-1방안(2018-도755, 2), 7-제40구역 제7인공층 게-15방안(2009-도211)
Ⅵ-2형식. 1점이 있다. 구경은 10.3㎝이다(도면 993, 4).
Ⅵ-3형식. 2점이 있는데 모두 동체 기형이 장타원형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1점은 구경이 12.4㎝이고, 속심과 표면이 모두 암회색이다. 말갈 특징을 가진 발해 토기로 평가된다(도면 993, 5). 다른 1점은 구경이 17.1㎝이다(도면 993, 6).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17) 협타심발(심발형) 토기류 자료번호 : kr.d_0016_0030_0120_0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