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4) 동이류 토기

동이와 깊이가 얕은 외반 구연 발, 즉 외반구연 발(淺鉢) 그리고 외반 구연 완은 모두 외반된 구연부를 가지고 있고, 구경에 비해 높이가 낮다는 공통의 특징을 가진다. 또한 동체의 모양도 다른 형태가 없는 것은 아니나 대부분의 경우 사선방향으로 약하게 외만 호선을 이루면서 아래쪽으로 축약되는 전체적으로 역사다리꼴을 연상시킨다. 때문에 동이, 외반구연 발, 그리고 외반구연 완은 그 구분이 매우 모호하다.
여기에서는 절대다수의 유물이 구연-동체 윗부분의 편 상태이기 때문에 구경을 중심으로 하여 동이, 발, 완의 구분을 하였다. 이 종류 토기들의 구경 분포를 참고하여 구경이 27㎝ 이상인 것은 동이, 구경이 17㎝부터 26.4㎝까지는 동이-발, 구경이 12.3㎝부터 16.5㎝까지는 (외반 구연) 발, 구경이 6.2㎝부터 12㎝까지는 (외반 구연) 완으로 각각 구분하였다(도면 819). 동이-발은 동이로 보아야하는지 아니면 발로 보아야하는 구분이 애매한 것이다.
도면 819 | 동이류-외반구연 발과 완류 토기 구경 분포도
그런데 동이와 동이-발은 발 및 완과 비교하여 크기에서 뿐만이 아니라 구연의 형식에서 있어서도 서로 차이를 보인다. 동이 및 동이-발은 모두 6개의 구연 형식이 확인되었지만, 외반 구연의 발과 완에서는 구연 형식이 동이 및 동이-발과 공통된 것이 매우 제한되어 있다.
높이를 제외하고 구경의 분포도만 작성한 것은 기형이 전체가 남아 있는 것이 소수에 불과하고 대부분의 경우 구연-동체 윗부분만 출토되었기 때문이다. 구경의 분포를 보면 동이는 대형, 중형, 소형으로 구분이 된다. 구경이 27~36.1㎝는 소형, 37㎝부터 44㎝까지는 중형 동이, 45.7㎝부터는 대형의 동이에 각각 해당된다.
다만 대형 동이로 구분된 것들 중에는 구경에 비해 깊이가 매우 낮은 대야류도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구연-동체 윗부분만 남은 경우 서로 구분이 되지 않아 따로 구분하지를 않았다.
그 외에도 어깨-목-구연부만 남아 있는 편들의 경우 구경이 옹과 비슷한 것들이 많아 구분이 필요하다. 옹은 깊이가 깊고, 동이는 옹에 비하면 깊이가 낮다. 하지만 구연부-동체 윗부분의 편만 남은 것들은 깊이를 알 수가 없다. 전체 기형이 온전하게 남아 있는 옹과 동이는 구연부와 동체의 비율이 뚜렷한 차이를 보여준다. 옹은 구연부보다 동체가 훨씬 많이 밖으로 돌출해 있고, 동이는 구연부보다 동체가 오히려 안쪽에 위치하거나, 비슷하거나, 혹은 밖으로 조금 돌출해 있다.
다른 말로 표면하면 옹은 구경보다 동최대경이 많이 크고, 동이는 구경에 비해 동최대경이 작거나, 비슷하거나, 혹은 조금 크다. 예를 들어, 전체 기형이 남아 있는 옹은 구경과 동최대경의 비율이 광견 대옹은 1:1.6(도면 753, 1), 장동 대옹은 1:2(도면 759, 1)이다. 이에 반해 전체 기형이 남아 있는 동이는 구경과 동최대경의 비율이 1:0.95(도면 822, 1) 정도로서 동최대경이 구경보다 작은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구경과 동최대경이 거의 비슷한 것들도 있다(도면 843, 8, 3). 그 외에 구경보다 동최대경이 조금 더 큰 동이도 있는데 그 비율이 1:1.1정도 된다(도면 831, 6).
또한 동이는 어깨 아래의 기벽 호선이 크게 내만하며, 구연부도 동체와 비슷한 두께를 가지는 경향이 강하다. 이에 반해 옹은 많은 경우 구연부가 ‘대롱’구연을 가진다. 따라서 구연-동체 윗부분만 남아 있는 동이와 옹은 구경과 동최대경과의 상호관계, 어깨 아래 기벽의 호선 상태, 구연부 상태 등을 고려하여 서로 구분하였다.
동이는 일반적으로 기벽이 완만하게 안쪽으로 호선을 이루어 동체의 모양이 사다리꼴에 가깝다. 하지만 동이 중에서 동최대경이 구경보다 큰 동이는 기벽의 호선이 안쪽으로 크게 내만하여 동체의 모양이 북을 연상시킨다. 이 형태 동이는 북 모양 동이, 즉 고동(鼓胴)동이로서 각 형식 동이를 기술할 때에 따로 지적하였다. 그런데 이곳에 고동동이로 소개된 토기들은 사실 동이였을 수도 있고, 시루였을 수도 있고, 혹은 소위 파수부 호였을 수도 있다. 추후 이 종류 온전한 형태의 토기들이 증가하면 상호 간의 구분이 가능할 것이다.
동이와 발은 구연부의 형태가 몇 가지로 대분된다.
Ⅰ형식은 길게 외반하는 구연에서 구순이 위로 뾰족하게 돌출하는 것이다. 상첨(上尖)구순을 가진 구연부이다. 상첨구순 구연은 다시 구연이 수평 혹은 거의 수평인 것(Ⅰ-1형식)과 사선 혹은 거의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것(Ⅰ-2형식)으로 구분된다. 구연이 이중 혹은 삼중으로 된 것도 있는데 Ⅰ-3형식으로 설정하였다. Ⅰ형식은 동이와 발 중에서 가장 많은 수량으로 확인되는 구연 형식이다. 그런데 이 상첨구순을 가진 토기는 구경이 10~24㎝까지는 깊이가 깊은 심발형에 속하는 것들도 있다. 달리 말해, 구경 17.9㎝이하는 모두 심발형이고, 그 이상 구경 24㎝까지는 심발형에 속할 수도 있고, 동이-(얕은) 발에 속할 수도 있다.
Ⅱ형식은 길게 외반하는 구연의 안쪽과 바깥쪽이 동일한 두께를 가지거나 혹은 거의 비슷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다. ‘동일 두께’ 구연도 다시 구연이 수평 혹은 거의 수평인 것(Ⅱ-1형식)과 사선 혹은 거의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것(Ⅱ-2형식)으로 구분된다. 그 외에도 Ⅱ형식에 속하는 구연 중에는 구순이 이중으로 된 것이 있는데 Ⅱ-3형식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Ⅲ형식은 비교적 길게 외반하는 구연이 가장자리로 가면서 약간 볼록해지는 것이다. 위와 아래가 함께 볼록한 것도 있고 위만 볼록한 것도 있다. ‘조금 볼록’ 구연으로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구연이 수평 혹은 거의 수평인 것(Ⅲ -1형식)과 사선 혹은 거의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것(Ⅲ-2형식)으로 구분된다.
Ⅳ형식은 비교적 길게 외반하는 구연의 가장자리 아래쪽이 동글-삼각형 모양으로 볼록해진 것이다. 구연이 수평 혹은 거의 수평인 것(Ⅳ-1형식)과 사선 혹은 거의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것(Ⅳ-2형식)으로 구분된다. Ⅳ형식에 속하는 구연 중에도 구순이 이중으로 된 것이 있는데 Ⅳ-3형식으로 설정하였다.
Ⅴ형식은 외반하는 구연의 가장자리가 아래로 약간 꺾여 뾰족해진 것이다. 하첨(下尖)구순을 가진 구연으로 볼 수 있다.
Ⅵ형식은 비교적 짧게 외반하는 구연이 가장자리로 가면서 약간 얇아지는 혹은 안쪽과 거의 비슷한 두께를 가진 것이다. 이 형식 구연은 다시 구연이 수평방향인 것(Ⅵ-1형식), 낮은 사선방향인 것(Ⅵ-2형식) 그리고 사선방향인 것(Ⅵ-3형식)으로 구분된다. Ⅵ형식에 속하는 구연 중에도 구순이 이중으로 된 것이 있는데 Ⅵ-4형식으로 구분하였다.
Ⅶ형식은 비교적 짧게 외반하는 구연부가 밖으로 말려 도톰해진 소위 대롱구순을 가진 것이다.
Ⅷ형식은 매우 짧게 외반하는 구연부가 구순 자체인 것으로서 단면이 긴 삼각형 모양이다.
Ⅸ형식은 사선방향으로 외반하는 구연부에 내첨구순이 있는 것이다.
그런데 구연의 형태가 모두 각각의 형식으로 명료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분명하게 구분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그렇지 못한 것들도 있는데 근접한 형태를 통해 각 형식에 포함시켰다.
그 외에도 예외적인 형태의 구연도 확인되고 있다. 발견된 수량이 적기 때문에 예외적인 것으로 파악하였다.
(1) 대형 동이
구경이 45㎝ 이상이다. Ⅰ형식, Ⅱ형식, Ⅲ형식, Ⅳ형식, Ⅵ형식, Ⅶ형식의 구연만 확인된다.
Ⅰ형식 대형 동이. 상첨구순을 가진 대형 동이는 1점이 보고되었다. 구연이 사선 방향인 Ⅰ-2형식에 속한다. 구경은 50㎝이다. 속심은 회색, 표면은 암회색이며, 외면을 수평 띠 모양으로 마연하였다(도면 820, 1).
도면 820 | 크라스키노성 출토 대형 동이류 Ⅰ형식(1), Ⅱ-1형식(2, 3), Ⅱ-2형식(4), Ⅲ-1형식(5, 6), Ⅲ-2형식(7, 8), Ⅳ형식(9), Ⅵ-1형식(10), Ⅵ-2형식(11), Ⅶ형식(12) 구연-동체 윗부분: 1-제49구역 2,4섹터 제2인공층 오-36방안(2014-도883, 4), 2-제50구역 1섹터 제4인공층 1호 수혈(2015-도796, 1), 3-제50구역 1섹터 제4인공층 치-2방안(2015-도796, 3), 4-제49구역 2섹터 제2인공층 제-34방안(2014-도883, 5), 5-제53구역 남동쪽섹터 제3인공층 2호 수혈 붸,게-10,11방안(2018-도627, 1), 6-제50구역 1섹터 제4인공층 1호 수혈(2015-도796, 2), 7-제40구역 제3~4인공층 데-17방안(2008-도452, 1), 8-제53구역 남동쪽섹터 제3인공층 게-9방안(2018-도625, 2), 9-제34구역 제12~13인공층 아-4방안(2007-도249, 2), 10-제53구역 남동쪽 섹터 제2인공층 게-11방안(2018-도580, 1), 11-제31구역 제6인공층 제-8방안(2003-도145), 12-제15구역(1998-도259, 1)
Ⅱ형식 대형 동이. 길게 외반하는 구연부의 안쪽과 바깥쪽이 거의 비슷한 두께를 가진다. 3점이 확인된다. 모두 고동동이이다.
Ⅱ-1형식. 2점이 있다. 구연부가 거의 수평이다. 그중의 1점은 구경이 52㎝이고, 외면이 수평 띠 마연되었으며, 속심과 표면이 오렌지-갈색이다(도면 820, 2; 821, 1). 다른 1점은 구경이 46㎝이다. 외면이 수평 띠 마연되었고, 속심은 오렌지-갈색, 표면은 흑색이다(도면 820, 3; 821, 2).
도면 821 | 크라스키노성 출토 대형 동이류 Ⅱ-1형식(1, 2), Ⅱ-2형식(3), Ⅲ-1형식(4) 구연-동체 윗부분: 1, 2-제50구역 1섹터 제4인공층 1호 수혈(2015-도775; 777), 3-제49구역 2섹터 제2인공층 제-34방안(2014-도845, 2), 4-제50구역 1섹터 제4인공층 1호 수혈(2015-도774)
Ⅱ-2형식. 1점이 있다. 구연부가 거의 사선 방형이다. 구경은 48㎝이고, 외면이 수평 띠 마연되었으며, 속심은 주황-갈색, 표면은 흑색이다(도면 820, 4; 821, 3).
Ⅲ형식 대형 동이. 조금 볼록한 구연부를 가진 대형 동이는 4점이 보고되었다.
Ⅲ-1형식. 2점이 있다. 구연이 거의 수평 방향이다. 2점 모두 구연이 아래쪽으로 약간 볼록하다. 그중의 1점은 구경이 46㎝이다. 동최대경 아랫부분에 1줄의 침선이 돌려져 있다. 아마도 이 높이게 대상파수가 부착되었을 것이다. 외면을 수평 띠 모양 광택무늬로 장식하였다. 속심은 회색, 표면은 흑색이다(도면 820, 5). 다른 1점은 구경이 48㎝이고, 속심은 회색 음영이 도는 갈색이고, 표면은 회갈색이다. 동체가 볼록한 고동동이로 생각된다(도면 820, 6; 821, 4).
Ⅲ-2형식. 2점이 있다. 구연부가 사선 방향이며 구순이 볼록하다. 1점은 구경이 54㎝, 경경이 51.4㎝, 동최대경이 55㎝이다(도면 820, 7). 다른 1점은 고동동이로 생각된다. 구경은 48㎝이고, 속심과 표면이 회색이다(도면 820, 8).
Ⅳ형식 대형 동이. 1점이 확인된다. 구연의 아래쪽이 동글-삼각형 모양으로 볼록하다. 구연이 약간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Ⅳ-2형식이다. 구연부가 길게 외반한 것인데 구경이 45.7㎝이다(도면 820, 9).
Ⅵ형식 대형 동이. 비교적 짧게 외반하는 구연의 바깥쪽이 약간 얇아지는 대형 동이는 2점이 확인된다. 1점은 구연이 거의 수평 방향인 Ⅵ-1형식이다. 구경이 56㎝이다. 외면에 수평 띠 모양 광택무늬가 있다. 속심은 회색, 표면은 흑색이다(도면 820, 10).
다른 1점은 구연이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Ⅵ-2형식이다. 구경은 54㎝이다. 동최대경 아랫부분에 수직 띠 모양 광택무늬가 시문되어 있다. 도면에는 확인되지 않지만 이 광택무늬 위와 아래로 침선을 그어 문양대를 구분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도면 820, 11).
Ⅶ형식 대형 동이. 1점이 확인된다. 구연부가 짧게 외반하며 대롱구순이다. 어깨선으로 보아 고복동이일 가능성이 있다. 내면에 사선 방향으로 띠 광택무늬가 시문되어 있다. 외면은 띠 마연이 되었다. 구경은 59㎝, 경경은 55.2㎝이다(도면 820, 12).
(2) 중형 동이
Ⅰ형식부터 Ⅶ형식까지의 구연이 확인된다. 구경이 37㎝부터 44㎝까지이다.
Ⅰ형식 중형 동이. 구연부의 끝구분이 상첨구순이다. 구연의 바깥쪽 절반이 거의 수평을 이루는 것과 사선 방향인 두 가지 형식이 다 확인된다.
Ⅰ-1형식. 길게 외반한 구연의 바깥쪽 절반이 거의 수평을 이루는 것이다. 11점이 확인된다. 그중에서 2018년에 제48구역 동쪽 섹터 제12인공층에서 편 상태로 출토된 1개체는 기형이 온전하게 복원된다(도면 822, 1; 823). 이 동이는 크기가 구경 38.4㎝, 경경 34㎝, 높이 27㎝이다. 어깨 아랫부분에 2줄의 침선이 평행하게 돌려져 있고, 그 사이에 지그재그 모양으로 광택무늬가 시문되어 있다. 외면의 다른 부분에도 수평 띠 모양의 광택무늬가 시문되었고, 내면에도 수평 띠 모양의 광택무늬가 확인된다. 바닥에는 바깥쪽에 十자 모양의 기호가 양각으로 표현되어 있는데 물레판에서 생긴 것이다. 속심은 가장자리가 오렌지색인 회색이고, 표면은 오렌지-갈색이다.
도면 822 | 크라스키노성 출토 중형 동이류 Ⅰ-1형식(1~11), Ⅰ-2형식(12~16): 1-제48구역 동쪽섹터 제12인공층 이,까-27,28방안(2018-도53, 2), 2-제45구역 남쪽섹터 제12인공층 이-5,6방안(2011-도182), 3-제2구역(1980-도44, 3), 4-제37구역(2008-도435, 1), 5-제40구역 제10인공층 9호 주거지 예-15방안(2009-도155, 1), 6-제47구역 3섹터 제13인공층 붸-24방안(2014-도702, 2), 7-제47구역 3섹터 제13인공층 베-22방안(2014-도702, 3), 8-제47구역 2섹터 제7인공층 게-16방안(2015-도355, 2), 9-제47구역 2섹터 제8인공층 붸-14방안(2015-도391, 1), 10-제53구역 남서쪽섹터 제4인공층 오-3방안(2018-도707, 3), 11-제44구역 제9인공층 줴-25방안(2014-도177, 4), 12-제30구역 18호 수혈(2002-도69), 13-제33구역 제6인공층 엠-11방안(2007-도216, 2), 14-제47구역 3섹터 제5인공층 베-30방안(2014-도519, 1), 15-제44구역 서쪽섹터 제18인공층 베-23방안(2015-도180, 5), 16-제44구역 제10인공층 제-26방안(2014-도183, 2)
도면 823 | 크라스키노성 제48구역 동쪽섹터 제12인공층 이,까-27,28방안 출토 중형 동이류 Ⅰ-1형식(2018-도49; 50)
2011년에 출토된 1점은 동체의 기형의 거의 복원된다(도면 822, 2). 이 동이는 기저부가 약간 급하게 안쪽으로 향하고 있다. 구경은 39㎝, 경경은 32.6㎝, 추정 저경은 15.4㎝, 추정 높이는 17.5㎝이다.
나머지 8점은 모두 구연-동체 윗부분만 남아 있다(도면 822, 3~10; 824, 2~5). 그중의 1점은 구경이 40㎝이고, 속심은 주황-갈색, 표면은 흑색이다(도면 822, 6; 824, 1). 나머지 것들은 대체로 속심은 회색, 표면은 회색 혹은 흑회색이며, 표면이 대체로 수평 방향으로 마연되었다.
도면 824 | 크라스키노성 출토 중형 동이류 Ⅰ-1형식(1~6), Ⅰ-2형식(7~9): 1-제47구역 3섹터 제13인공층 붸-24방안(2014-도693, 2), 2-제47구역 3섹터 제13인공층 베-22방안(2014-도693, 3), 3-제47구역 2섹터 제7인공층 게-16방안(2015-도345, 2), 4-제47구역 2섹터 제8인공층 붸-14방안(2015-도382), 5-제53구역 남서쪽섹터 제4인공층 오-3방안(2018-도701, 2), 6-제44구역 제9인공층 줴-25방안(2014-도142), 7-제47구역 3섹터 제5인공층 베-30방안(2014-도508, 1), 8-제44구역 서쪽섹터 제18인공층 베-23방안(2015-도165), 9-제44구역 제10인공층 제-26방안(2014-도148, 1)
나머지 1점은 구연과 어깨 사이에 목이 거의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전체적으로 이 형식 동이에 속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1점은 구경이 39㎝이고, 속심은 주황-갈색, 표면은 회색이다(도면 822, 11; 824, 6).
Ⅰ-2형식. 길게 외반한 구연의 바깥쪽 절반이 거의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5점이 확인된다. 2002년에 출토된 1점은 외면이 어깨 부분은 수평의, 그 아래는 수식의 띠 모양 광택무늬로 각각 장식되었다. 내면은 어깨 부분 아래로 연속 X자 모양의 광택무늬로 장식되었다. 이 동이는 크기가 구경 37.8㎝이다(도면 822, 12).
1점은 동최대경 아래에 2줄의 수평 침선이 돌려져 있다. 아마 높이에는 원래 대상파수가 부착되어 있었을 것이다. 이 토기는 구경이 38.2㎝이다(도면 822, 13). 다른 1점은 도면이 절반만 그려진 채로 보고되었는데 추정 구경이 41㎝이다(도면 1996-63b, 1). 2014년에 출토된 1점은 구경이 37㎝이고, 속심과 표면이 모두 회색이며, 수평 띠 모양의 마연 장식이 있다(도면 822, 14; 824, 7). 2015년에 출토된 1점은 구경이 41.8㎝이고, 속심은 오렌지-갈색, 표면은 회색이며, 표면이 수평 띠 모양 광택무늬로 장식되었다(도면 822, 15; 824, 8).
Ⅰ-3형식. 2014년에 출토된 1점은 구순이 3중으로 되어있다. 이 동이는 목이 상대적으로 넓다. 구경은 37.4㎝이고, 속심과 표면이 모두 회색이다(도면 822, 16; 824, 9).
Ⅱ형식 중형 동이. 길게 외반하는 구연의 안쪽과 바깥쪽이 동일한 혹은 거의 비슷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다. 구연이 수평 방향인 것과 사선 방향인 것, 그리고 구순이 이중인 것이 모두 확인된다.
Ⅱ-1형식. 3점이 확인되었다. 1점은 구경이 39㎝이고, 외면이 수평 띠 모양 광택무늬로 장식되어 있다. 속심과 표면이 모두 암회색이다(도면 825, 1). 다른 1점은 구경이 40.2㎝이다. 외면이 수평 띠 광택무늬로 장식되었다. 속심은 갈색, 속심 가장자리는 회색, 표면은 회색이다(도면 825, 2). 나머지 1점은 구경이 40.4㎝이고, 속심은 주황-갈색, 표면은 흑색이다(도면 825, 3).
도면 825 | 크라스키노성 출토 중형 동이류 Ⅱ-1형식(1~3), Ⅱ-2형식(4~11), Ⅱ-3형식(12~14) 구연-동체 윗부분: 1-제44구역 동쪽섹터 제7인공층 엔-21방안(2013-도65, 2), 2-제47구역 7섹터 제3인공층 베-46, 게-47방안(2013-도303, 2), 3-제44구역 제10인공층 제-19방안(2014-도183, 1), 4-제40구역 제4~5인공층 제-16, 예-21방안(2008-도457, 1), 5-제47구역 3섹터 제8인공층 아-29방안(2014-도590, 1), 6-제47구역 3섹터 제8인공층 게-30방안(2011-도704), 7-제40구역 제4인공층 예-18방안(2008-도454, 2), 8-제40구역 13호주거지 아`-21방안(2009-도497, 8), 9-제45구역 남쪽섹터 제9인공층 이-5,6방안(2011-도171), 10-제40구역 제4인공층 제-18방안(2008-도454, 1), 11-제34구역 제1인공층 이-3방안(2006-도199, 4), 12-제44구역 제8인공층 게`-26방안(2014-도125, 1), 13-제47구역 7섹터 제3인공층 엔-47방안(2013-도308), 14-제44구역 서쪽섹터 제5인공층 아`-24방안(2012-도164, 3)
Ⅱ-2형식. 8점이 확인되었다. 1점은 어깨 부분에 대상파수가 부착되어 있다. 구경이 37.6㎝이다. 기벽이 거의 사선 방향으로 내려가는 것이 다른 동이들과는 차이가 난다(도면 825, 4; 826, 1).
도면 826 | 크라스키노성 출토 중형 동이류 Ⅱ-2형식(1~6), Ⅱ-3형식(7) 구연-동체 윗부분: 1-제40구역 제4~5인공층 제-16, 예-21방안(2008-도430), 2-제47구역 3섹터 제8인공층 게-30방안(2011-도696), 3-제40구역 제4인공층 예-18방안(2008-도415), 4-제40구역 제4인공층 제-18방안(2008-도419, 2), 5-제44구역 제8인공층 게`-26방안(2014-도107, 1), 6-제47구역 7섹터 제3인공층 엔-47방안(2013-도305, 2; 306, 2), 7-제50구역 1섹터 제4인공층 1호 수혈(2015-도773)
다른 2점에는 동최대경 아랫부분에 1줄씩의 침선이 돌려져 있는 것이다. 그중의 1점은 기형의 거의 추정되는데 기벽이 완만하게 내만 호선을 이루면서 아래쪽으로 축약되고 있다. 구경이 38.4㎝이고, 외면에 수평 띠 광택무늬가 시문되었다. 속심은 회색, 표면은 흑색이다(도면 825, 5). 그중의 다른 1점은 구경이 40.2㎝, 경경이 37㎝, 동최대경이 39.3㎝이다(도면 825, 6; 826, 2).
2008년에 출토된 1점은 동최대경 부근에 1줄의 침선이 돌려져 있고, 그 아래로 나선 모양의 광택무늬가 시문되어 있다. 구경은 43.2㎝, 경경은 39.2㎝, 동최대경은 41.9㎝이다(도면 825, 7; 826, 3).
그 외에 이 형식에 속하는 동이가 4점 더 있다(도면 825, 8~11; 826, 4). 그중의 후자 2점은 어깨선의 호선으로 보아 고동동이로 생각된다.
Ⅱ-3형식. 3점이 확인되었다. 모두 길게 외반한 구연의 가장자리가 이중으로 되어 있다. 그중의 1점에는 동체에 1줄의 수평 침선이 돌려져 있다. 이 동이는 구경이 38.8㎝, 동최대경이 33.4㎝이며, 속심은 회색, 표면은 암회색이다(도면 825, 12; 826, 5).
다른 1점은 목과 어깨 부분에 수평 띠 광택무늬가 시문되어 있다. 이 토기는 구경이 37㎝이고, 속심은 회갈색, 표면은 암회색이다(도면 825, 13; 826, 6). 다른 1점은 구경이 37.6㎝이다(도면 825, 14).
Ⅲ형식 중형 동이. 조금 볼록 구연을 가진 동이이다. 이 형식의 중형 동이는 6점이 확인된다.
Ⅲ-1형식. 구연이 거의 수평 방향이다. 3점이 이 형식에 속한다. 1점은 구경이 41㎝이다. 외면에 수평 및 수직 방향의 띠 광택문양이, 내면에 망상의 광택문양이 각각 시문되어 있다. 속심은 오렌지-갈색, 표면은 암회색이다(도면 827, 1). 다른 1점은 외면에 수평 침선이 1줄 돌려져 있고, 또 수평과 수직 띠 광택무늬들이 시문되어 있으며, 내면에 수직 띠 광택무늬가 시문되어 있다. 이 토기는 구경이 42.8㎝이고, 속심은 오렌지-갈색, 표면은 암회색이다(도면 827, 2). 나머지 1점은 외면을 수평 띠 마연하였고, 속심은 회색, 표면은 흑색이다. 구경은 44㎝이다(도면 827, 3; 828, 1).
도면 827 | 크라스키노성 출토 중형 동이류 Ⅱ-3형식(1), Ⅲ-1형식(2, 3), Ⅲ-2형식(4, 5), Ⅳ-1형식(6~9), Ⅳ-2형식(10~12) 구연-동체 윗부분: 1, 2-제50구역 1섹터 제4인공층 1호 수혈(2015-도796, 4; 796, 6), 3-제50구역 1섹터 제4인공층 3호 수혈(2015-도756, 3), 4-제40구역 1호 수혈 제7인공층 베, 붸-15,16방안(2009-도88, 2), 5-제44구역 제13인공층 게`-17방안(2014-도353, 3), 6-제50구역 1섹터 제4인공층 1호 수혈(2015-도796, 5), 7-제44구역 동쪽섹터 제7인공층 엔-17방안(2013-도128), 8-제34구역 6호 주거지 붸-4방안(2007-도250, 3), 9-제44구역 제9인공층 베-25방안(2014-도179, 2), 10-제40구역 제2인공층 데-19방안(2008-도449, 1), 11-제48구역 동쪽섹터 제12인공층 이,까-27,28방안(2018-도53, 1), 12-제44구역 제9인공층 엘-25방안(2014-도178, 5)
Ⅲ-2형식. 구연부가 거의 사선 방향이다. 1점은 이 형식에 전형적인 구연부를 가지고 있다. 구연부의 끝부분이 양쪽으로 조금 볼록하다. 이 토기는 구경이 40㎝이다(도면 827, 4). 다른 1점은 목이 길에 형성되어 있고, 외반한 구연부가 매우 긴 편이다. 구경은 41㎝이다. 외면이 수평 띠 광택무늬로 장식되었다. 속심과 표면이 모두 회색이다(도면 827, 5; 828, 2).
도면 828 | 크라스키노성 출토 중형 동이류 Ⅲ-1형식(1), Ⅲ-2형식(2), Ⅳ-1형식(3), Ⅳ-2형식(4) 구연-동체 윗부분: 1-제50구역 1섹터 제4인공층 3호 수혈(2015-도746), 2-제44구역 제13인공층 게`-17방안(2014-도489), 3-제44구역 동쪽섹터 제7인공층 엔-17방안(2013-도126, 3), 4-제48구역 동쪽섹터 제12인공층 이,까-27,28방안(2018-도51)
Ⅳ형식 중형 동이. 구연의 가장자리 아래쪽이 동글-삼각형 모양으로 볼록해진 것이다. 7점이 확인된다.
Ⅳ-1형식. 구연이 거의 수평인 것이다. 2점이 확인된다. 모두 고동동이로 생각된다. 1점은 구경이 38㎝이다. 내면에 수직 띠 광택무늬가 있다. 속심은 오렌지-갈색, 표면은 암갈색이다(도면 827, 6). 1점은 어깨 부분의 기벽이 거의 사선 방향이다. 동체의 기형이 분명하지는 않지만 결실된 부분 바로 가까이에서 내만하면서 안쪽으로 크게 축약될 것으로 생각된다. 구경은 42.4㎝이고, 속심은 갈색, 표면은 암회색이다(도면 827, 7; 828, 3).
Ⅳ-2형식. 구연이 사선 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8점이 확인된다. 그중의 1점은 전체 기형이 확인된다. 기벽의 호선이 비교적 완만한 편이면서 미약하게 사선 방향이다. 목은 비교적 분명하게 구분된다. 구경은 38.4㎝, 높이는 21.6㎝, 저경은 24㎝이다. 외면에 수평 띠 광택무늬가 시문되었다(도면 827, 8).
다른 1점은 동체에 1줄의 침선이 수평으로 돌려져 있다. 구경은 40㎝이다. 속심은 회색, 표면은 흑색이다(도면 827, 9). 1점은 어깨가 특히 발달해 있다. 때문에 구경과 동최대경이 각각 43.8㎝와 43.4㎝로 서로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다. 경경은 40.3㎝이다(도면 827, 10).
1점은 구연부가 동최대경보다 크게 밖으로 돌출해 있다. 이 토기는 구경이 38㎝, 경경이 31.6㎝이며, 외며이 수평 띠 광택무늬로 장식되었다. 속심은 회색, 속심 가장자리와 표면은 오렌지-갈색이다(도면 827, 11; 828, 4). 나머지 1점은 속심과 표면이 모두 회색이다(도면 827, 12).
Ⅴ형식 중형 동이. 구연의 가장자리가 아래로 약간 꺾여 뾰족해진 하첨구순을 가진 구연이다. 5점이 확인된다. 1점은 전체 기형이 파악된다. 구연이 밖으로 외반한 다음 다시 아래쪽으로 약간 꺾였고 구순이 약간 뾰족하다. 목이 구분되며, 기벽은 약간 사선 방향으로 완만하게 내만 호선을 이룬다. 외면과 내면에 수직 띠 광택무늬가 시문되어 있다. 구경은 41㎝, 경경은 37.8㎝, 동최대경은 39.8㎝, 저경은 27.8㎝, 높이는 15㎝이다. 구경에 비해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느낌이다. 속심과 표면이 모두 회색이다(도면 829, 1). 1점은 구연부가 약간 둥그스름하게 외반하다가 구순 부분이 아래로 꺾였다. 목이 잘 구분된다. 구경은 40㎝, 속심과 표면은 회색이다(도면 829, 2).
도면 829 | 크라스키노성 출토 중형 동이류 Ⅴ형식(1~5), Ⅵ-1형식(6~8), Ⅵ-2형식(9~12): 1-제40구역 제5인공층 베-16방안(2008-도434, 1), 2-제48구역 동쪽섹터 제12인공층 제-29방안(2018-도54, 1), 3-제44구역 제12인공층 엔-21방안(2014-도351, 2), 4-제44구역 제12인공층 엔-20방안(2014-도351, 1), 5-제44구역 제13인공층 엔-21방안(2014-도353, 2), 6-제47구역 3섹터 제7인공층 게-30방안(2014-도560, 1), 7-제53구역 남서쪽섹터 제8인공층 에쓰-4`방안(2018-도832, 1), 8-제47구역 7섹터 제3인공층 게-48방안(2013-도303, 3), 9-제48구역 서쪽섹터 제4인공층 제`-32방안(2012-도213), 10-제50구역 3섹터 제3인공층 붸-1`방안(2015-도913, 1), 11-제49구역 4섹터 제3인공층 엘-40방안(2014-도986, 1), 12-제47구역 2섹터 제8인공층 게-12방안(2015-도391, 3)
다른 2점은 구연부가 사선 방향으로 크게 외반하였다가 구순 부분이 아래로 꺾인 것이다. 2점 모두 외면이 수평 띠 광택무늬로 장식되었고, 속심은 주황-갈색, 표면은 갈색이다. 그중의 1점은 목이 미약하게 구분되는데 구경이 40.2㎝이고(도면 829, 3; 830, 1), 다른 1점은 목이 잘 구분되며, 구경은 38.6㎝이다(도면 829, 4; 830, 2). 나머지 1점은 구경이 38㎝이고, 외면이 수평 띠 마연되었으며, 속심은 흑색, 표면은 암회색이다(도면 829, 5).
도면 830 | 크라스키노성 출토 중형 동이류 Ⅴ형식(1, 2), Ⅵ-1형식(3, 4), Ⅵ-2형식(5~7): 1-제44구역 제12인공층 엔-21방안(2014-도394), 2-제44구역 제12인공층 엔-20방안(2014-도339), 3-제53구역 남서쪽섹터 제8인공층 에쓰-4`방안(2018-도823), 4-제47구역 7섹터 제3인공층 게-48방안(2013-도305, 1), 5-제50구역 3섹터 제3인공층 붸-1`방안(2015-도901, 1), 6-제49구역 14섹터 제3인공층 엘-40방안(2014-도969, 2), 7-제47구역 2섹터 제8인공층 게-12방안(2015-도380)
Ⅵ형식 중형 동이. 짧게 외반하는 구연이 가장자리로 가면서 약간 얇아지는 혹은 안쪽과 거의 비슷한 두께를 가진 것이다. 6점이 확인된다.
Ⅵ-1형식. 구연이 거의 수평방향이다. 3점이 확인된다. 1점은 동체에 1줄의 수평 침선이 돌려져 있다. 구경은 40㎝이고, 외면이 수평 띠 광택무늬로 장식되었다. 속심은 회색, 표면은 암회색이다(도면 829, 6). 다른 1점은 구경이 42.4㎝이며, 외면이 수평 띠 광택무늬로 장식되었다. 속심은 회색, 표면은 흑색이다(도면 829, 7; 830, 3). 나머지 1점은 구경이 42㎝이고, 외면이 수평 띠 마연되었으며, 속심과 표면은 회색이다(도면 829, 8; 830, 4).
Ⅵ-2형식. 구연이 낮은 사선방향이다. 1점은 내면에 수평과 수직 띠 광택무늬가 시문되어있다. 이 토기는 구경이 40.5㎝, 경경이 38.3㎝, 동최대경이 40.5㎝이다(도면 829, 9). 다른 2점은 구경이 모두 41㎝이며, 외면이 수평 띠 광택무늬로 장식되었고, 속심은 회색, 표면은 회색 혹은 흑색이다(도면 829, 10, 11; 830, 5, 6).
Ⅶ형식 중형 동이. 1점이 확인된다. 짧게 외반하는 구연부가 밖으로 말려 도톰해진 대롱구순이다. 어깨가 발달된 것인데 구경이 44㎝이다. 외면이 조밀하게 수평 띠 마연되었다. 속심과 표면은 회색이다(도면 829, 12; 830, 7).
(3) 소형 동이
구경이 25.1 ㎝부터 36.1㎝까지이다. Ⅴ형식과 Ⅷ형식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형식의 구연이 확인된다.
Ⅰ형식 소형 동이. 상첨구순 구연을 가진 소형 동이이다. 구연의 바깥쪽 절반이 거의 수평을 이루는 것과 사선 방향인 두 가지 형식이 다 확인된다.
Ⅰ-1형식. 구연의 절반이 거의 수평을 이루는 것이다. 다만 세부 형태는 다양한 차이를 보인다. 1999년에 출토된 1점은 대상파수가 부착되어 있다. 대상파수 높이 위의 어깨 부분은 수평 띠 모양 광택무늬로, 대상파수와 동일 높이 동체는 수직 띠 모양 광택무늬로 각각 장식되었다. 이 동이는 구경이 28.8㎝이다(도면 831, 1).
도면 831 | 크라스키노성 출토 소형 동이류 Ⅰ-1형식: 1-제22구역 제3~4인공층(1999-도153-1), 2-제34구역 제5인공층 이-13방안(2006-도204, 2), 3-제34구역 제1인공층 예-3방안(2006-도199, 5), 4-제40구역 제3~4인공층 예-15방안(2008-도452, 3), 5-제45구역 제2인공층 에르-6방안(2010-도349), 6-제53구역 2섹터 제4인공층 줴-1,2방안(2017-도605. 1), 7-제44구역 제11인공층 15호 주거지(2014-도252, 2), 8-제12구역(1996-도64, 2), 9-제34구역 제2인공층 이-3방안(2006-도205), 10-제40구역 1호 수혈 제7인공층 베,붸-15,16방안(2009-도88, 3), 11-제44구역 제3인공층 엘-17방안(2010-도196), 12-제48구역 제2인공층 이-28방안(2011-도386)
2006년에 출토된 1점은 구연-동체 윗부분과 저부가 함께 출토되어 전체 기형이 추정 복원되었다. 구경은 36.1㎝, 저경은 18.9㎝이며, 추정 높이는 32.3㎝이다(도면 831, 2). 그런데 동이류 토기의 일반적인 높이를 통해 볼 때에 구경에 비해 높이가 지나치게 높게 복원된 것으로 생각된다.
2006년에 출토된 다른 1점은 어깨 부분에 1줄의 돌대가 돌려져 있다. 목 부분에는 파상의, 어깨 돌대 아랫부분에는 수평 띠 모양 광택무늬가 각각 시무되어 있다. 구경은 32.2㎝이다(도면 831, 3). 2008년에 출토된 1점은 목과 어깨 사이에 얕게 턱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동이는 구경이 34.6㎝, 경경이 30㎝이다(도면 831, 4). 2010년에 출토된 1점은 구순 안쪽에 비교적 넓게 홈-고랑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동이는 구경은 35㎝, 경경은 30.4㎝이며, 외면은 갈색, 속심과 내면은 회색이다. 외면은 수평 띠 모양의 광택무늬로, 내면은 물결모양의 광택무늬로 각각 장식되었다(도면 831, 5). 2017년에 출토된 1점은 어깨 부분에 1줄의 침선이 돌려져 있다. 기벽의 호선으로 보아 고동동이이다. 구경은 28㎝이고, 속심은 오렌지색, 표면은 회색이다. 외면에 수평 띠 모양 광택무늬가 시문되었다(도면 831, 6; 833, 1). 2014년에 출토된 1점은 구순이 2중으로 되어 있다. 이 동이는 구경이 35㎝이고, 속심은 주황-갈색이며, 표면은 회색이다(도면 831, 7; 833, 2).
1996년에 출토된 1점은 어깨선이 밖으로 사선 방향으로 내려가고 있어 호일 수도 있고, 또 약간 깊은 동이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 토기는 구경이 35㎝, 경경이 30.6㎝이다. 속심은 오렌지색, 표면은 흑색이다(도면 831, 8).
나머지 11점은 크기는 약간씩 차이가 나도 전체적인 특징은 서로 비슷하다(도면 831, 9~12; 832, 1~7; 833, 3~7). 속심과 표면이 회색인 경우가 많고, 대체로 외면에 수평 띠 모양 마연을 하였다.
도면 832 | 크라스키노성 출토 소형 동이류 Ⅰ-1형식: 1-제47구역 2섹터 제5인공층 붸-17방안(2015-도299, 1), 2-제47구역 2섹터 제5인공층 붸-17방안(2015-도299, 3), 3-제47구역 6섹터 제4인공층 데-41방안(2015-도562, 1), 4-제50구역 2섹터 제1인공층 야-4`방안(2015-도824, 1), 5-제53구역 남서쪽섹터 제5인공층 에쓰,떼-1`방안(2018-도761, 3), 6-제53구역 남서쪽섹터 제6인공층 뻬-2`방안(2018-도787, 2), 7-제40구역 제9인공층 데-21방안(2009-도154, 2)
도면 833 | 크라스키노성 출토 소형 동이류 Ⅰ-1형식: 1-제53구역 2섹터 제4인공층 줴-1,2방안(2017-도595), 2-제44구역 제11인공층 15호 주거지(2014-도245, 1), 3-제44구역 제3인공층 엘-17방안(2010-도194, 4), 4-제47구역 2섹터 제5인공층 붸-17방안(2015-도286), 5-제47구역 2섹터 제5인공층 붸-17방안(2015-도287, 1), 6-제50구역 2섹터 제1인공층 야-4`방안(2015-도808, 4), 7-제53구역 남서쪽섹터 제5인공층 에쓰,떼-1`방안(2018-도755, 1)
Ⅰ-2형식. 2008년에 제41구역의 8호 주거지에서 출토된 1점은 구연-동체 윗부분과 저부가 함께 출토되어 전체 기형이 대략적으로 복원되었다(도면 834, 1). 구경은 30㎝, 경경은 24.1㎝, 동최대경은 27.5㎝, 저경은 16.3㎝이며, 높이는 19.7㎝로 추정되었다. 이 동이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보고된 것이 없다.
도면 834 | 크라스키노성 출토 소형 동이류 Ⅰ-2형식: 1-제41구역 8호 주거지 까-3,4방안(2008-도443, 1), 2-제33a구역 제6인공층 엠-4방안(2007-도216, 1), 3-제50구역 2섹터 제4인공층 에-5`방안(2015-도977, 1), 4-제47구역 3섹터 제13인공층 아-30방안(2014-도702, 1), 5-제40구역 9호 주거지 예-15방안(2009-도157, 3), 6-제48구역 동쪽섹터 제11인공층 4호 수혈(2016-도365, 1), 7-제31구역 제2인공층 제-8방안(2003-도131), 8-제49구역 2~4섹터 제2인공층 뻬-39방안(2014-도885, 1), 9-제50구역 1섹터 제4인공층 1호 수혈(2015-도795, 2), 10-제21구역 제3인공층(1999-도148, 1), 11-제34구역 제7인공층 베`-10방안(2007-도220, 3), 12-제40구역 제8인공층 붸-18방안(2009-도254, 3)
2006년에 제33-a구역에서 출토된 1점에는 동최대경 아랫부분에 대상파수가 부착되어 있다. 대상파수 및 이와 동일 높이의 외면에는 수평과 수직 방향의 광택무늬가, 그 위와 아랫부분에는 수평 방향의 광택무늬가 각각 시문되어 있다. 구경은 30.5㎝이다(도면 834, 2; 836, 1). 2015년에 출토된 1점은 동최대경 아랫부분은 수직 방향의, 그 위와 아래는 수평 방향의 띠 모양 광택무늬가 각각 시문되어 있다. 이 동이는 구경이 27㎝이고, 속심은 회색, 내면은 암회색, 외면은 흑색이다(도면 834, 3; 836, 2). 2014년에 출토된 1점은 동최대경 아랫부분이 수직의, 어깨 부분이 수평의 띠 모양 광택무늬로 각각 장식되었다. 이 동이는 구경이 30㎝이고, 속심은 주황-갈색, 표면은 회색이다(도면 834, 4; 836, 3).
2009년에 출토된 동이 1점은 동체 아랫부분에 침선이 1줄 돌려져 있다, 이 동이는 구경이 31.3㎝이다(도면 834, 5; 836, 4). 2016년에 출토된 1점은 구연이 2중으로 되어 있다. 이 동이는 구순이 전체적으로 위로 향하여 다른 것들과는 약간 차이를 보이나 전체적으로는 이 형식에 속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구경은 32.4㎝, 경경은 29.6㎝, 동최대경은 31.6㎝이다(도면 834, 6).
3점은 구연이 기벽에서 매우 급격하게 밖으로 꺾였고, 그리고 기벽의 호선도 호를 연상시킨다. 하지만 2008년에 제41구역 8호 주거지에서 출토된 복원 동이를 참고할 때에 이 3점도 동이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2003년에 출토된 것은 기벽과 구연의 각도가 거의 예각인데 구경은 31.9㎝이다(도면 834, 7). 다른 2점은 구경이 각각 29㎝와 33.6㎝이며, 모두 속심과 표면이 회색이다(도면 834, 8, 9; 836, 5, 6).
나머지 12점은 세부 형태와 크기가 약간씩의 차이를 보이나 이 형식에 속한다(도면 834, 10~12; 835, 1~9; 836, 7~11).
도면 835 | 크라스키노성 출토 소형 동이류 Ⅰ-2형식: 1-제42구역 제4인공층 게-2방안(2009-도752, 6), 2-제44구역 제3인공층 엠-28방안(2010-도195), 3-제44구역 제8인공층 엘-22방안(2014-도125, 2), 4-제47구역 3섹터 제10인공층 붸-22방안(2014-도635, 1), 5-제49구역 2섹터 제2인공층 예-37방안(2014-도883, 6), 6-제47구역 2섹터 제8인공층 아-12방안(2015-도391, 2), 7-제47구역 2섹터 제12인공층 베-16방안(2015-도531, 1), 8-제50구역 1섹터 제3인공층 1호 수혈(2015-도724, 5), 9-제53구역 중앙섹터 제6인공층 붸-1방안(2018-도742, 3)
도면 836 | 크라스키노성 출토 소형 동이류 Ⅰ-2형식: 1-제33a구역 제6인공층 엠-4방안(2007-도208), 2-제50구역 2섹터 제4인공층 에-5`방안(2015-도948), 3-제47구역 3섹터 제13인공층 아-30방안(2014-도692), 4-제40구역 9호 주거지 예-15방안(2009-도143), 5-제49구역 2~4섹터 제2인공층 뻬-39방안(2014-도859, 1), 6-제50구역 1섹터 제4인공층 1호 수혈(2015-도776), 7-제44구역 제3인공층 엠-28방안(2010-도194, 1), 8-제44구역 제8인공층 엘-22방안(2014-도111, 2), 9-제47구역 3섹터 제10인공층 붸-22방안(2014-도626, 1), 10-제47구역 2섹터 제8인공층 아-12방안(2015-도382), 11-제47구역 2섹터 제12인공층 베-16방안(2015-도520, 2)
Ⅱ형식 소형 동이. 길게 외반하는 구연의 안쪽과 바깥쪽이 동일한 혹은 거의 비슷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다. 구연이 수평 방향인 것과 사선 방향인 것이 있다. 13점이 확인된다.
Ⅱ-1형식. 3점이 있다. 1점은 구연부 전체가 거의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토기는 구경이 31㎝이다. 목이 약하게 구분되며, 기벽이 미약하게 호선을 이룬다(도면 837, 1). 다른 1점은 구연부의 안쪽은 사선 방향이고, 바깥쪽이 수평에 가깝다. 외면에 수평 띠 광택무늬가 시문되어 있다. 구경은 35.1㎝이다(도면 837, 2). 나머지 1점은 어깨가 돌출해 있다. 구연이 동최대경보다 상당히 많이 밖으로 나와 있다, 구경은 29.6㎝이다(도면 837, 3).
도면 837 | 크라스키노성 출토 소형 동이류 Ⅱ-1형식(1~3)과 Ⅱ-2형식(4~15): 1-제34구역 제8인공층 붸-13방안(2007-도223, 1), 2-제34구역 제5인공층 데-3방안(2006-도204, 3), 3-제44구역 제10인공층 예-25방안(2014-도183, 5), 4-제41구역 제2~3인공층 엠-4방안(2008-도436, 1), 5-제44구역 제9인공층 붸`-23방안(2014-도177, 1), 6-제53구역 남동쪽섹터 제3인공층 붸,게-10,11방안(2018-도628, 1), 7-제45구역 서쪽섹터 제6인공층 까-5방안(2011-도247), 8-제44구역 제10인공층 아`-24방안(2014-도180, 3), 9-제47구역 3섹터 제8인공층 베-30방안(2014-도590, 3), 10-제44구역 서쪽섹터 제5인공층 붸`-24방안(2012-도164, 4), 11-제41구역 8호 주거지와 주변 이,까-4방안(2008-도441, 2), 12-제41구역 제4인공층 8호 주거지 이, 까-3방안(2008-도439, 3), 13-제53구역 2섹터 제4인공층 줴-2,1방안(2017-도604, 4), 14-제53구역 서북쪽섹터 제3인공층 붸-10`방안(2018-도540, 2), 15-제40구역 13호 주거지 아`,아-20방안(2009-도487, 3)
Ⅱ-2형식. 11점이 확인된다. 2008년에 출토된 1점은 동체에 1줄의 수평 침선이 돌려져 있다. 목과 구연부가 단면 ‘C’자 모양이다. 이 토기는 구경이 36㎝, 경경이 32.2㎝, 동최대경이 35㎝이다(도면 837, 4). 1점은 구경이 30㎝이고, 속심이 주황-갈색, 표면이 갈색이다(도면 837, 5; 838, 1). 다른 1점은 구경이 35.2㎝이고, 속심과 표면이 모두 회색이다. 표면에 수평 띠 광택무늬가 시문되어 있다(도면 837, 6). 1점은 구경이 35.4㎝이다(도면 837, 7).
도면 838 | 크라스키노성 출토 소형 동이류 Ⅱ-2형식: 1-제44구역 제9인공층 붸`-23방안(2014-도143, 1), 2-제44구역 제10인공층 아`-24방안(2014-도150, 2), 3-제47구역 3섹터 제8인공층 베-30방안(2014-도574, 1), 4-제44구역 서쪽섹터 제5인공층 붸`-24방안(2012-도168, 3), 5-제53구역 2섹터 제4인공층 줴-2,1방안(2017-도593), 6-제53구역 서북쪽섹터 제3인공층 붸-10`방안(2018-도534), 7-제40구역 13호 주거지 아`,아-20방안(2009-도472)
3점은 구연부가 호선을 이루며 외반하였고, 동체가 구연보다 조금 더 밖으로 나가 위치한다. 고동동이로 생각된다. 1점은 구경이 27㎝이고, 속심과 표면이 회색이다(도면 837, 8; 838, 2). 다른 1점은 구경이 32㎝이다. 외면은 수평 띠 마연되었다. 속심은 회색, 표면은 암회색이다(도면 837, 9; 838, 3). 1점은 어깨에 턱이 형성되어 있다(도면 837, 10; 838, 4).
4점은 구연부가 곧게 거의 사선 방향으로 외반하였다. 그중의 1점에는 동최대경 부분이 수직 띠 광택무늬로 장식되었다. 이 토기는 구경이 30.6㎝, 경경이 25.2㎝, 동최대경이 29㎝이다(도면 837, 11). 다른 1점은 구경이 32.4㎝이다(도면 837, 12). 1점은 구경이 35㎝이고, 외면이 수평 띠 마연되었다(도면 837, 13; 838, 5). 1점은 구경이 36㎝이고, 외면이 수평 띠 마연되었으며, 속심과 표면이 회색이다(도면 837, 14; 838, 6). 나머지 1점은 어깨 부분에 2줄, 1줄, 1줄의 수평 침선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경은 30.1㎝이다(도면 837, 15).
Ⅲ형식 소형 동이. 구연이 약간 볼록한 것이다. 8점이 확인된다.
Ⅲ-1형식. 구연부의 바깥쪽 절반 정도가 거의 수평 방향이다. 2점이 확인되는데 모두 약간 오목하게 들어간 목이 구분된다. 1점은 외면이 수평 띠 광택무늬로 장식되었다. 이 토기는 구경이 34㎝이고, 속심은 회색, 표면은 암회색이다(도면 839, 1; 840, 1). 다른 1점은 구경이 32.2㎝이다(도면 839, 2).
도면 839 | 크라스키노성 출토 소형 동이류 Ⅲ-1형식(1, 2)과 Ⅲ-2형식(3~11): 1-제44구역 동쪽섹터 제7인공층 엔-21방안(2013-도128), 2-제44구역 동쪽섹터 제5인공층 엔-20방안(2012-도125), 3-제34구역 제10인공층 붸-게-14~15방안(2007-도229, 1), 4-제50구역 1섹터 3호 수혈(2015-도740, 3), 5-제44구역 동쪽섹터 제7인공층 엔-21방안(2013-도65, 3), 6-제48구역 동쪽섹터(2011-도341), 7-제31구역 와실유구(2004-도185, 3), 8-제21구역 제4인공층(1999-도150, 12), 9-제53구역 남서쪽섹터 제5인공층 뻬,에르-2-4방안(2018-도761, 1), 10-제53구역 남서쪽섹터 제4인공층 에쓰-4`방안(2018-도708, 1), 11-제53구역 남서쪽섹터 제8인공층 뻬-1방안(2018-도832, 5)
도면 840 | 크라스키노성 출토 소형 동이류 Ⅲ-1형식(1)과 Ⅲ-2형식(2~4): 1-제44구역 출토 동쪽섹터 제7인공층 엔-21방안(2013-도126, 3), 2-제50구역 1섹터 3호 수혈(2015-도750), 3-제48구역 동쪽섹터(2011-도341, 1), 4-제53구역 남서쪽섹터 제5인공층 뻬,에르-2-4방안(2018-도753)
Ⅲ-2형식. 1점은 저부와 함께 발견되어 기형의 거의 복원된다. 목이 약간 오목하게 들어가 있고, 목과 어깨 사이에 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동최대경 아랫부분에 2중의 침선이 돌려져 있다. 이 토기는 구경이 30.6㎝, 저경이 23.8㎝, 추정 높이는 18.8㎝이다(도면 839, 3).
다른 1점은 구연부가 비교적 길에 형성되어 있다. 구연의 가장자리 부분이 약간 도톰하다. 목과 동최대경 아랫부분에 수직의 띠 광택무늬가 시문되었다. 그 사이에는 수평 방향으로 마연을 한 흔적이 남아 있다. 구경은 28㎝이고, 속심과 표면이 모두 회색이다(도면 839, 4; 840, 2). 다른 1점은 동최대경 아래에 침선이 1줄 돌려져 있고, 그 아래에 수직의 띠 광택무늬가 시문되어 있다. 기면을 대체로 수평 마연하였다. 구경은 30.6㎝이다(도면 839, 5).
다른 1점은 목과 어깨 사이에 가볍게 턱이 형성되어 있어 목이 조금 오목하게 들어간 느낌을 준다. 동최대경 아래에 수평 방향으로 그리고 또 수직 방향으로 띠 광택무늬가 시문되어 있다. 이 토기는 크기가 구경 29.3㎝, 경경 27.1㎝, 동최대경 28.5㎝이다(도면 839, 6; 840, 3).
높이가 낮은 1점은 전체 기형이 확인된다. 구연부는 외반하였고, 목과 어깨 부분에 가볍게 융기대가 형성되어 있다. 기벽의 호선이 비교적 강한 편이다. 구경은 27.3㎝, 저경은 17.3㎝, 높이는 9.8㎝이다(도면 839, 7). 구연부와 어깨의 융기대가 이와 비슷한 것이 1점 더 있는데 구경이 29.6㎝이다(도면 839, 8). 다른 1점도 전체 기형이 거의 확인된다. 동최대경인 어깨와 구순 사이가 약간 오목하게 목을 이루고 있다. 구경은 32㎝, 저경은 21.4㎝, 높이는 12㎝이다. 속심과 표면이 모두 오렌지-갈색이다. 어깨 부분에 2줄의 침선이 돌려져 있다(도면 839, 9; 840, 4).
그 외에 이 형식에 속하는 토기가 2점 더 있다(도면 839, 10, 11). 2점 모두 속심은 회색, 표면은 회색 혹은 암회색이다.
Ⅳ형식 소형 동이. 구연의 가장자리 아래쪽이 동글-삼각형 모양으로 볼록해진 것이다. 몇 점은 동글-삼각형이 매우 약하게 표현되었다. 모두 8점이 확인된다.
Ⅳ-1형식. 1점이 있다. 목부터 시작하여 둥글게 호선을 이루며 외반한 구연부를 가진다. 구순 아래의 동글-삼각형이 매우 전형적이다. 구경은 28㎝이고, 속심은 회색, 표면은 흑색이다(도면 841, 1; 842, 1).
도면 841 | 크라스키노성 출토 소형 동이류 Ⅳ-1형식(1)과 Ⅳ-2형식(2~8): 1-제44구역 제7인공층 베`-17방안(2014-도90, 3), 2-제34구역 제10인공층 데-3방안(2007-도231, 1), 3-제34구역 제12~13인공층 6호 주거지 아-4방안(2007-도249, 4), 4-제34구역 제5인공층 이-7방안(2006-도205, 2), 5-제34구역 제3인공층 예-11방안(2006-도202, 2), 6-제44구역 제12인공층 베`-20방안(2014-도351, 3), 7-제44구역 동쪽섹터 제5인공층 이-21방안(2012-도164, 5), 8-제37구역 제2인공층 예-1~3방안(2007-도238, 1)
도면 842 | 크라스키노성 출토 소형 동이류 Ⅳ-1형식(1)과 Ⅳ-2형식(2~8): 1-제44구역 제7인공층 베`-17방안(2014-도85, 2), 2-제34구역 제10인공층 데-3방안(2007-도150)
Ⅳ-2형식. 3점이 기형이 확인되고, 다른 1점은 기형이 거의 확인된다. 기형이 확인되는 2점은 구연이 사선 방향으로 곧장 밖으로 뻗었으며, 구순의 아래쪽이 동글-삼각형을 이룬다. 그중의 1점은 구경이 27.4㎝, 높이가 9.9㎝, 저경이 17.3㎝로서 상대적으로 낮아 보인다. 속심은 회색, 표면은 암회색이다(도면 841, 2; 842, 2). 그중의 다른 1점은 구경이 35.8㎝, 높이가 17.1㎝, 저경 20㎝이다. 속심과 내면은 갈색, 외면은 흑색이다(도면 841, 3).
기형이 남아 있는 다른 1점은 구연이 아래쪽으로 약간 볼록한 것이 미약하게 표현되어 있다. 기벽이 거의 사선 방향으로 약하게 호선을 이룬다. 구경이 27.8㎝이다(도면 841, 4). 1점은 기형의 거의 확인되는 것인데 구경에 비해 높이가 약간 높은 느낌을 준다. 동체에 2줄의 수평 침선이 돌려져 있다. 구경이 27.8㎝이다(도면 841, 5).
1점은 기벽이 거의 수직인 것이 남아 있는데 구경은 34㎝이다. 속심은 주황-갈색이고, 표면은 흑색이다. 외면에 수평 띠 광택무늬가 시문되었다(도면 841, 6). 1점은 기벽의 호선이 아랫부분이 안쪽으로 크게 들어왔고 또 목이 매우 미약하게 구분된다. 이 토기는 구경이 27㎝이다(도면 841, 7). 나머지 1점은 구경이 36㎝이다(도면 841, 8).
Ⅵ형식 소형 동이. 3가지 하위 단위 형식이 확인된다.
Ⅵ-1형식. 1점이 확인된다. 구연부 대부분이 수평을 이루고 기벽이 어깨 부분부터 거의 수직이다. 이 토기는 구경이 28㎝이고, 외면이 수평 띠 마연되어 있다. 속심은 회색, 표면은 흑색이다(도면 843, 1).
도면 843 | 크라스키노성 출토 소형 동이류 Ⅵ-1형식(1), Ⅵ-2형식(2~7), Ⅵ-3형식(8), Ⅶ형식(9~11), 기타 형식(12): 1-제49구역 2섹터 제2인공층 이-37방안(2014-도885, 2), 2-제49구역 3섹터 제2인공층 엘-30방안(2014-도885, 3), 3-제44구역 동쪽섹터 제7인공층 엔-21방안(2013-도119), 4-제22구역 제3인공층(1999-도151, 12), 5-제47구역 2섹터 제7인공층 베-18방안(2015-도355, 3), 6-제50구역 1섹터 제4인공층 3호 수혈(2015-도756, 1), 7-제49구역 2섹터 제3인공층 줴-34, 제-32방안(2014-도987, 1), 8-제31구역 와실유구(2003-도146), 9-제49구역 2섹터 제2인공층 줴-39방안(2014-도884, 6), 10-제49구역 4섹터 제3인공층 오-37방안(2014-도986, 4), 11-제12구역(1996-도66, 3), 12-제50구역 1섹터 제2인공층 치-3`방안(2015-도691, 2)
Ⅵ-2형식. 6점이 확인된다. 1점은 구연부 안쪽 절반은 사선 방향이고, 바깥쪽 절반이 거의 수평을 이룬다. 이 토기는 구경이 27㎝이다. 외면이 수평 띠 마연되어 있고, 속심과 표면이 모두 회색이다(도면 843, 2; 844, 1). 다른 1점은 내면과 외면에 수평 띠 마연의 흔적이 남아 있다. 이 토기는 구경이 32.2㎝이다. 속심은 회갈색, 표면은 암회색이다(도면 843, 3; 844, 2). 1점에는 외면의 수평 띠 광택무늬가 잘 남아 있다. 이 토기는 구경이 28.3㎝이다(도면 843, 4).
도면 844 | 크라스키노성 출토 소형 동이류 Ⅵ-2형식(1~5)과 Ⅶ형식(6): 1-제49구역 3섹터 제2인공층 엘-30방안(2014-도856, 1), 2-제44구역 동쪽섹터 제7인공층 엔-21방안(2013-도118), 3-제47구역 2섹터 제7인공층 베-18방안(2015-도345, 1), 4-제50구역 1섹터 제4인공층 3호 수혈(2015-도751), 5-제49구역 2섹터 제3인공층 줴-34, 제-32방안(2014-도954, 3), 6-제49구역 2섹터 제2인공층 줴-39방안(2014-도843, 1)
2점은 전체적인 형태와 세부 특징이 서로 거의 비슷하다. 모두 약간 사선 방향의 내만 호선 기벽과 오옥하게 들어간 목 그리고 밖으로 외반한 사선 방향의 구연부를 가진다. 단면이 위가 좁고 아래가 넓은 소위 S자 모양이다. 대부분의 경우 외면에 수평 띠 마연이 되어 있다(도면 843, 5, 6; 844, 3, 4).
나머지 1점은 구연부가 목에서 매우 급격하게 밖으로 꺾였고, 목이 측면에서 볼 때에 옆으로 누운 V자 모양이다. 구경이 27㎝이고, 외면에 수평 띠 마연이 되어 있으며, 속심은 회갈색, 표면은 암회색이다(도면 843, 7; 844, 5).
Ⅵ-3형식. 1점이 확인되었는데 기형이 어느 정도 파악이 된다. 이 토기는 약한 사선 방향으로 기벽이 내만 호선을 이루고 있고 목이 오목하게 들어가 있으면서 구연이 외반한다. 동체의 가운데 부분에 호선 모양의 광택무늬가 문양대를 이루면서 시문되어 있다. 그 위와 아래는 수평 마연되었다. 구경은 27.6㎝이고, 추정 높이는 12.2㎝이다(도면 843, 8).
Ⅶ형식 소형 동이. 2점이 확인된다. 짧게 외반하는 구연부가 밖으로 말려 도톰하다. 2점 모두 동최대경이 구경보다 조금 더 크다. 1점은 구경이 36㎝이고, 외면이 수평 띠 마연되었다. 속심은 회색, 표면은 암회색이다(도면 843, 9; 844, 6). 다른 1점은 구경이 36㎝이며, 외면이 수평 띠 마연되었고, 속심은 암주황-갈색, 표면은 흑색이다(도면 843, 10).
Ⅷ형식 소형 동이. 매우 짧게 외반하는 구연부가 구순 자체인 것으로서 단면이 긴 삼각형 모양이다. 1점이 있다. 목과 어깨의 경계에 턱이 형성되어 있다. 구경은 26.4㎝이다(도면 843, 11).
기타 형식 소형 동이. 1점이 있다. 외반하는 구연부의 끝부분이 상변과 하변이 평행을 이루면서 갈고리처럼 밖으로 굽어진 것이다. 이 토기는 구경이 30㎝이다. 속심과 표면은 회색이고, 외면은 수평 띠 마연되었다(도면 843, 12).
(4) 동이-발
형태가 동이 혹은 발과 유사하다. 동이와 발의 중간 크기에 해당하며, 구경이 17㎝부터 26.4㎝까지이다. Ⅰ형식부터 Ⅵ형식까지 모든 형식의 구연이 확인된다.
Ⅰ형식 동이-발. 상첨구순 구연을 가진 것이다. 구연의 바깥쪽 절반이 거의 수평을 이루는 것과 사선 방향인 두 가지 형식이 다 확인된다.
Ⅰ-1형식. 크게 외반하는 구연의 바깥쪽 절반이 수평 혹은 거의 수평에 가까운 것이다. 2009년에 제40구역 1호 구덩이에서 출토된 1점은 저부를 제외하고 기형이 거의 파악된다. 사선 방향으로 내만 호선을 이루는 기벽과 안쪽으로 크게 만곡하는 목 그리고 바깥쪽으로 크게 꺾이는 구연이 있다. 구경은 17.9㎝이다. 동체 상부는 수평의 띠 모양 광택무늬로, 하부는 수직의 띠 모양 광택무늬로 각각 장식되었다(도면 845, 1; 846, 1).
도면 845 | 크라스키노성 출토 동이-발 Ⅰ-1형식(1~6), Ⅰ-2형식(7~12), Ⅰ-3형식(13): 1- 제40구역 1호 수혈 붸-15방안(2009-도94, 3), 2-제45구역 남쪽섹터 제6인공층 제-7방안(2011-도44), 3-제53구역 남서쪽섹터 제8인공층 떼-5방안(2018-도832, 4), 4-제53구역 2섹터 제4인공층 엘-4방안(2017-도604, 2), 5-제47구역 3섹터 제4인공층 베-29방안(2014-도491, 3), 6-제50구역 3섹터 제3인공층 게-5방안(2015-도913, 2), 7-제34구역 제12인공층 게-1방안(2007-도245, 1), 8-제31구역 와실유구(2004-도182, 2), 9-제53구역 1섹터 제5인공층 예-5방안(2017-도719, 1), 10-제11구역(1996-도63a, 1), 11-제30구역 제1인공층(2002-도90, 1), 12-제44구역 제11인공층 15호 주거지 제-24방안(2014-도252, 5), 13-제45구역 제5인공층 제-7방안(2010-도473)
도면 846 | 크라스키노성 출토 동이-발 Ⅰ-1형식(1~5)과 Ⅰ-2형식(6, 7): 1-제40구역 1호 수혈 붸-15방안(2009-도74), 2-제45구역 남쪽섹터 제6인공층 제-7방안(2011-도45, 1), 3-제53구역 남서쪽섹터 제8인공층 떼-5방안(2018-도828, 1), 4-제53구역 2섹터 제4인공층 엘-4방안(2017-도594), 5-제47구역 3섹터 제4인공층 베-29방안(2014-도485, 2), 6-제53구역 1섹터 제5인공층 예-5방안(2017-도707), 7-제44구역 제11인공층 15호 주거지 제-24방안(2014-도245, 2)
2011년에 제45구역 남쪽섹터에서 출토된 1점도 저부를 제외하고 기형이 거의 파악된다. 목 부분이 수직의 띠 모양 광택무늬로 장식되어 있다. 구경은 19㎝, 경경은 16㎝, 동최대경은 17.2㎝이다(도면 845, 2; 846, 2). 2018년에 출토된 1점은 외면에 수평 띠 광택무늬, 내면에 망상 띠 모양 광택무늬가 각각 시문되어 있다. 이 동이-발은 구경이 25㎝이고, 속심은 회색, 표면은 흑색이다(도면 845, 3; 846, 3). 2017년에 출토된 1점이 고동동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토기는 구경이 24㎝, 속심과 표면은 모두 회색이다. 외면이 수평 띠 모양 광택무늬로 장식되었다(도면 845, 4; 846, 4).
그 외에도 이 형식에 속하는 동이-발이 2점 더 확인된다(도면 845, 5, 6; 846, 5).
Ⅰ-2형식. 6점이 확인된다. 크게 외반하는 구연의 바깥쪽 절반이 사선 혹은 거의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2점은 전체 기형이 남아 있다. 1점은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인데 구경이 21.2㎝, 저경이 14.6㎝, 높이가 6.8㎝이다(도면 845, 7). 다른 1점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인데 구경이 18㎝, 동최대경이 17.8㎝, 저경이 8㎝, 높이가 10.2㎝이다(도면 845, 8).
2017년에 출토된 1점은 어깨 아랫부분에 침선이 1줄 돌려져 있고, 그 위는 수평의 그 아래는 수직의 띠 모양 광택무늬로 각각 장식되었다. 이 토기는 구경이 22.4㎝, 동최대경이 22.2㎝이며, 속심과 표면이 모두 회색이다(도면 845, 9; 846, 6). 1996년에 출토된 1점은 목 부분이 사선 방향의 광택무늬로 장식되어 있다. 이 토기는 구경이 26.2㎝, 경경이 24.2㎝, 동최대경이 26.6㎝이다(도면 845, 10). 1점은 구경이 23.8㎝, 동최대경이 23.4㎝이다(도면 845, 11). 2014년에 출토된 1점은 목이 매우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 토기는 구경이 24㎝이다. 속심은 주황-갈색이고, 표면은 흑색이다(도면 845, 12; 846, 7).
Ⅰ-3형식. 2010년에 출토된 1점은 구순이 2중으로 되어있다. 어깨 부분에 十자 모양의 기호가 새겨져 있다. 구경은 21㎝, 경경은 18.8㎝, 동최대경은 20.6㎝이다. 속심은 회색, 외면은 흑색이다(도면 845, 13).
Ⅱ형식 동이-발. 길게 외반하는 구연의 안쪽과 바깥쪽이 동일한 혹은 거의 비슷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다. 6점이 확인된다.
Ⅱ-1형식. 3점이 있다. 그중의 1점은 구연의 바깥쪽 부분이 거의 수평이다. 목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어깨가 비교적 발달하였다. 구경은 22㎝이고, 외면이 수평 띠 광택무늬로 장식되었다. 속심은 회색, 표면은 흑색이다(도면 847, 1; 849, 1). 다른 1점은 구연부가 모두 거의 수평이다. 구경은 24㎝이고, 속심과 표면이 모두 흑색이다. 외면에 수평 띠 마연이 되어 있다(도면 847, 2). 나머지 1점은 크게 외반하는 구연부를 가지다. 구경은 24㎝이고, 속심은 오렌지-갈색, 표면은 흑색이다(도면 847, 3; 849, 2).
도면 847 | 크라스키노성 출토 동이-발 Ⅱ-1형식(1~3)과 Ⅱ-2형식(4~7) 구연-동체 부분: 1-제47구역 2섹터 제7인공층 게-17방안(2015-도355, 6), 2-제50구역 1섹터 제2인공층 떼-1`방안(2015-도691, 4), 3-제47구역 2섹터 제11인공층 붸-14방안(2015-도506, 2), 4-제47구역 3섹터 제11인공층 게-22방안(2014-도659, 2), 5-제49구역 4섹터 제3인공층 엘-40방안(2014-도987, 2), 6-제40구역 제4인공층 베,붸-15,16방안(2008-도453, 3), 7-제53구역 1섹터 제5인공층 이-3방안(2017-도719, 3)
Ⅱ-2형식. 4점이 있다. 구연이 수평에 가까운 사선 방향으로 나있다. 3점은 형태가 거의 비슷한데 목이 오목하게 잘 구분되고, 기벽의 내만 호선이 일부 확인된다. 둘 다 속심과 표면이 회색이다. 1점은 구경이 18㎝(도면 847, 4), 다른 1점은 구경이 24㎝(도면 847, 5; 849, 3)이다. 1점은 어깨에 턱이 형성되어 있다. 구경은 18.4㎝, 경경은 16.3㎝, 동최대경은 17.8㎝이다(도면 847, 6). 나머지 1점은 동최대경이 구경보다 크다. 고동동이로 생각된다. 구경은 24㎝이다. 속심과 표면은 회색이다(도면 847, 7; 849, 4).
Ⅲ형식 동이-발. 구연이 약간 볼록한 것이다. 9점이 확인된다.
Ⅲ-1형식. 1점이 확인된다. 구연의 바깥쪽 절반이 거의 수평이다. 목이 오목하게 구분된다. 구경은 24㎝이다. 속심과 표면이 명회색이다(도면 848, 1).
도면 848 | 크라스키노성 출토 동이-발 Ⅲ-1형식(1)과 Ⅲ-2형식(2~9) 구연-동체 부분: 1-제50구역 1섹터 제4인공층 1호 수혈(2015-도795, 1), 2-제21구역 제4인공층(1999-도149, 1), 3-제15구역(1998-도254, 1), 4-제15구역(1998-도254, 2), 5-제30구역 6호 수혈(2002-도78), 6-제47구역 6섹터 제7인공층 베-38방안(2015-도629, 3), 7-제53구역 남서쪽섹터 제9인공층 에르-2`1`방안(2018-도856, 4), 8-제31구역 와실유구(2004-도182, 4), 9-제50구역 3섹토 제4인공층 예-1방안(2015-도979, 5)
Ⅲ-2형식. 3점은 기형이 남아 있다. 그중의 1점은 깊이가 상대적으로 얕은데 구경이 24.1㎝, 저경이 16㎝, 높이가 11.9㎝이다(도면 848, 2). 다른 2점은 상대적으로 깊다. 1점은 어깨, 목, 구연이 단면 바른 C자형이다. 이 토기는 외면 전체가 수평 띠 광택무늬로 장식되었다. 속심과 표면이 모두 암회색이다. 크기는 구경 17.7㎝, 경경 16.2㎝, 동최대경 19.2㎝, 저경 12.9㎝, 높이 13.3㎝이다(도면 848, 3). 다른 1점은 구연이 거의 곧추선 사선 방향으로 나있다. 크기가 구경 17㎝, 경경 15.2㎝, 동최대경 17.8㎝, 저경 8.8㎝, 높이 13.2㎝이다(도면 848, 4).
이 형식에 속하는 1점에는 대상파수가 남아 있다. 대상파수는 동최대경 아랫부분에 부착되었다. 구연은 곧추선 사선 방향으로 나있다. 도면에 표시는 되어있지 않지만 파수 높이에 침선이 1줄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속심은 짙은 오렌지색, 표면은 흑색이다. 구경은 25.4㎝이다(도면 848, 5).
다른 1점에는 내면에 크게 X자 모양으로 광택무늬가 시문되어 있다. 외면에는 수평 띠 마연이 되어있다. 동최대경이 구경보다 큰 고동동이다. 속심은 명회색, 표면은 암회색이다. 구경은 17.8㎝이다(도면 848, 6; 849, 5). 동최대경이 구경보다 큰 고동동이가 1점이 더 있는데 구경이 23.2㎝이고, 외면이 수평 띠 광택무늬로 장식되었다. 속심과 표면이 모두 회색이다(도면 848, 7; 852, 1).
도면 849 | 크라스키노성 출토 동이-발 Ⅱ-1형식(1, 2), Ⅱ-2형식(3, 4), Ⅲ-2형식(5) 구연-동체 부분: 제47구역 2섹터 제7인공층 게-17방안(2015-도347, 1), 2-제47구역 2섹터 제11인공층 붸-14방안(2015-도492, 1), 3-제49구역 4섹터 제3인공층 엘-40방안(2014-도969, 2), 4-제53구역 1섹터 제5인공층 이-3방안(2017-도709), 5-제47구역 6섹터 제7인공층 베-38방안(2015-도619)
그 외에도 이 형식에 속하는 동이-발이 2점 더 있다. 모두 비슷한 크기와 형태를 가진다(도면 848, 8, 9).
Ⅳ형식 동이-발. 구연의 가장자리 아래쪽이 동글-삼각형 모양으로 볼록한 것이다. 모두 5점이 확인된다.
Ⅳ-1형식. 1점이 있다. 구연의 바깥쪽 절반의 거의 수평이다. 목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외면에 수평 띠 광택무늬가 시문되었다. 구경은 22㎝이다(도면 850, 1).
도면 850 | 크라스키노성 출토 동이-발 Ⅳ-1형식(1), Ⅳ-2형식(2~4), Ⅳ-3형식(5), Ⅴ형식(6~8) 구연-동체 부분: 1-제34구역 제8인공층 아-4방안(2007-도224, 1), 2-제31구역 제6인공층 제-6방안(2003-도138), 3-제31구역 제6인공층 줴-6방안(2003-도141, 2), 4-제31구역 제6인공층 제-6방안(2003-도144), 5-제34구역 제11인공층 아-3방안(2007-도239, 2), 6-제53구역 서북쪽섹터 제1인공층 예-10`6`방안(2018-도430, 2), 7-제53구역 서북쪽섹터 제1인공층 예-10`방안(2018-도430, 3), 8-제53구역 서북쪽섹터 제2인공층 베-10`방안(2018-도481, 3)
Ⅳ-2형식. 3점이 확인된다. 모두 구연-동체 윗부분의 편이지만 2점은 기형이 어느 정도 파악된다. 오목한 목과 둥글게 외반한 구연 그리고 사선 방향의 내만 호선 기벽은 전체 단면을 기울고 위가 짧은 상단(上短) S자형으로 만들고 있다. 그중의 1점은 구경이 17.1㎝(도면 850, 2), 다른 1점은 구경이 17.0㎝이다(도면 850, 3). 1점은 구경보다 동최대경이 조금 크다. 이 토기는 구경이 22.4㎝, 잔존 높이가 7.4㎝이다(도면 850, 4).
Ⅳ-3형식. 1점이 확인된다. 구연이 길게 외반한 것은 Ⅳ형식에 속하는 것이 맞다. 다만 구순이 이중이어서 세부 형식을 구분을 하였다. 기벽의 단면은 약간 기울은 상단 S자형이다. 외면에 수평 띠 광택무늬가 잘 남아 있다. 구경은 24.6㎝이다(도면 850, 5).
Ⅴ형식 동이-발. 구연의 가장자리가 아래로 약간 꺾여 뾰족해진 하첨구순이다. 3점이 확인된다. 모두 구경이 동최대경과 비슷하거나 혹은 약간 큰 고동동이이다. 기벽의 색깔도 모두 속심은 오렌지-갈색, 표면은 흑색으로 동일하다. 1점은 동체에 1줄의 수평 침선이 돌려져 있고, 외면이 수평 띠 광택무늬로 장식되었다. 이 토기는 구경이 20㎝이다(도면 850, 6; 852, 2). 다른 1점은 구경이 17.8㎝이다. 이 토기도 외면이 수평 띠 광택무늬로 장식되었다(도면 850, 7; 852, 3). 나머지 1점은 구경이 17.6㎝이다(도면 850, 8).
Ⅵ형식 동이-발. 구연이 짧게 외반하며, 가장자리로 가면서 약간 얇아지는 혹은 안쪽과 거의 비슷한 두께를 가진 것이다.
Ⅵ-1형식. 7점이 확인된다. 구연부가 거의 전체가 수평인 것도 있고, 바깥쪽 절반이 거의 수평인 것도 있다. 1점은 동최대경 아랫부분은 수직의 그 위와 아래는 수평의 띠 광택무늬로 장식된 것이다. 목이 오목하게 잘 구분되며 구연, 어깨, 기벽이 전체적으로 단면 약간 기울은 상단 S자 모양이다. 구연의 바깥쪽 절반이 거의 수평이며 심지어 아래로 약간 향한다. 이 토기는 속심은 명회색, 표면은 회색이다. 구경은 24㎝이다(도면 851, 1; 852, 4). 이와 비슷한 기형을 가진 것이 3점이 더 있는데 구경이 각각 21.8㎝(도면 851, 2), 18㎝(도면 851, 3), 24㎝(도면 851, 4)이다.
도면 851 | 크라스키노성 출토 동이-발 Ⅵ-1형식(1~7)과 Ⅵ-2형식(8~12) 구연-동체 부분: 1-제50구역 1섹터 제2인공층 우-4`방안(2015-도691, 3), 2-제35구역 제3인공층 붸-1방안(2006-도60, 3), 3-제44구역 제8인공층 줴-23방안(2014-도124, 5), 4-제50구역 제4인공층 1섹터 수혈(2015-도794, 6), 5-제50구역 1섹터 3호 수혈(2015-도740, 2), 6-제12구역(1996-도65, 5), 7-제47구역 3섹터 제5인공층 아-29방안(2014-도519, 2), 8-제34구역 제9인공층 게-13방안(2007-도224, 3), 9-제40구역 제7인공층 1호 수혈 붸-16방안(2009-도93, 1), 10-제15구역(1998-도253, 1), 11-제40구역 제7인공층 붸-17방안(2009-도93, 2), 12-제40구역 제7인공층 1호 수혈 붸-15방안(2009-도95, 1)
1점은 구경이 동최대경보다 약간 짧다. 어깨 아래의 기벽도 거의 곧게 내려간다. 하지만 기벽의 전체 호선을 보면 동이-발에 속한다고 생각된다. 일종의 고동동이에 해당한다. 이 토기는 구경이 20㎝이다. 속심은 회색, 표면은 흑색이다(도면 851, 5; 852, 5). 그 외에도 2점이 더 있다(도면 851, 6, 7; 852, 6).
도면 852 | 크라스키노성 출토 동이-발 Ⅲ-2형식(1), Ⅴ형식(2, 3), Ⅵ-1형식(4~6) 구연-동체 부분: 1-제53구역 남서쪽섹터 제9인공층 에르-2`1`방안(2018-도846, 1), 2-제53구역 서북쪽섹터 제1인공층 예-10`6`방안(2018-도424, 3), 3-제53구역 서북쪽섹터 제1인공층 예-10`방안(2018-도424, 2), 4-제50구역 1섹터 제2인공층 우-4`방안(2015-도680, 1), 5-제50구역 1섹터 3호 수혈(2015-도748, 2), 6-제47구역 3섹터 제5인공층 아-29방안(2014-도508, 2)
Ⅵ-2형식. 32점이 확인된다. 기형이 온전하게 복원되는 것이 4점이 있다. 2점은 상대적으로 낮고, 다른 2점은 상대적으로 높다. 높이가 낮은 혹은 깊이가 얕은 1점은 구경이 22㎝, 저경이 14㎝, 높이가 7.9㎝이다. 목이 단면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기벽이 내만 호선이 전반적으로 완만하다. 외면에 수평의 내면의 수직의 띠 광택무늬가 각각 시문되었다(도면 851, 8). 다른 낮은 1점은 구경이 23.9㎝, 저경이 14㎝, 높이가 11㎝이다. 어깨 부분에 1줄의 수평 침선이 돌려져 있고, 목과 동체의 외면 전체가 수평 띠 광택무늬로 장식되었다. 기면의 단면이 전형적인 약간 기운 상단 S자 모양이다(도면 851, 9; 854, 1).
높이가 상대적으로 약간 높은 혹은 깊이가 약간 깊은 2점은 기면의 단면이 전형적인 약간 기운 상단 S자 모양으로서 기형이 거의 동일하다. 그중의 1점은 구경이 23.5㎝, 경경이 22.8㎝, 동최대경이 23㎝, 저경이 12㎝, 높이가 12.5㎝이다. 구경과 동최대경이 거의 비슷하고, 높이과 저경이 또한 서로 비슷하다. 속심은 회색, 표면은 암회색이다(도면 851, 10). 다른 1점은 구경이 22.5㎝, 저경이 10.8㎝, 높이가 12㎝이다. 구경과 동최대경이 거의 비슷하다(도면 851, 11; 854, 2).
1점은 바닥까지 기형이 복원된다. 동체 기벽이 약간 강하게 외만 호선을 이룬다. 어깨의 아래에 평면 반원형의 귀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구경은 22㎝, 저경은 18㎝, 높이는 9.6㎝이다(도면 851, 12; 854, 3).
다른 1점은 바닥의 극히 일부가 남아 있어 기형이 거의 확인된다. 이 토기는 구경이 21.9㎝, 높이가 11㎝이며, 구경과 동최대경이 거의 비슷하다.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도면 853, 1). 다른 1점도 기형의 거의 확인되는데 상당히 높은 편이다. 구경은 17.3㎝, 높이는 11㎝이다(도면 853, 2; 854, 4).
도면 853 | 크라스키노성 출토 동이-발 Ⅵ-2형식: 1-제40구역 제7인공층 붸-17방안(2009-도92, 1), 2-제40구역 1호 수혈 게-16방안(2009-도94, 2), 3-제40구역 제4인공층 붸-17, 베-19방안(2008-도453, 4), 4-제40구역 제7인공층 1호 수혈 붸-15방안(2009-도92, 2), 5-제53구역 남동쪽섹터 제3인공층 2호 수혈 붸,게-10방안(2018-도626, 4), 6-제53구역 서북쪽섹터 제2인공층 제-9`방안(2018-도481, 2), 7-제31구역 제6인공층 줴-6방안(2003-도139), 8-제47구역 2섹터 제3인공층 베-14방안(2011-도628), 9-제40구역 제7인공층 1호 수혈 붸-16방안(2009-도93, 3), 10-제40구역 제6인공층 붸-16방안(2009-도180, 4), 11-제31구역 제4인공층 예-7방안(2003-도128), 12-제47구역 2섹터 제2인공층 아-17방안(2011-도625), 13-제47구역 3섹터 제8인공층 아-29방안(2014-도590, 2), 14-제47구역 2섹터 제7인공층 게-20방안(2015-도355, 4)
도면 854 | 크라스키노성 출토 동이-발 Ⅵ-2형식: 1-제40구역 제7인공층 1호 수혈 붸-16방안(2009-도201), 2-제40구역 제7인공층 붸-17방안(2009-도199), 3-제40구역 제7인공층 1호 수혈 붸-15방안(2009-도200), 4-제40구역 1호 수혈 게-16방안(2009-도73, 2), 5-제40구역 제7인공층 1호 수혈 붸-15방안(2009-도73, 1), 6-제47구역 2섹터 제3인공층 베-14방안(2011-도627, 1), 7-제40구역 제7인공층 1호 수혈 붸-16방안(2009-도72), 8-제47구역 2섹터 제2인공층 아-17방안(2011-도623, 1)
1점은 구연-동체 윗부분이 저부와 함께 발견되어 전체 기형이 복원되었다. 이 토기도 기벽은 단면이 약간 기운 상단 S자 모양이로서 동이-발에 전형적인 형태이다. 하지만 이 토기에는 고리 모양 굽이 부착되어 있다. 크기는 구경 18.5㎝, 동최대경 19.8㎝, 저경 7.9㎝, 추정 높이 10.3㎝이며, 굽 높이는 0.6㎝이다. 동최대경이 구경보다 넓다(도면 853, 3).
1점은 기벽이 많이 남아 있는 것인데 어깨 부분에 수직 띠 광택무늬가 시문되어 있다. 이 토기는 구경이 19.9㎝이다(도면 853, 4; 854, 5). 다른 1점도 어깨 부분이 수직 띠 광택무늬로 장식되어 있는데 그 아래는 수평 띠 광택무늬로 장식되었다. 이 토기는 구경이 17.2㎝이다. 속심은 오렌지-갈색이고, 표면은 흑색이다(도면 853, 5). 다른 1점은 외면이 수평 띠 마연이 된 가운데 동최대경 아래쪽이 수직 띠 광택무늬로 장식되었다. 이 토기는 구경은 22.2㎝이고, 속심은 회색, 표면은 흑색이다(도면 853, 6). 다른 1점은 내면이 수직 띠 광택무늬로 장식되었다. 구경은 21.7㎝이다(도면 853, 7).
1점은 목 부분에 수직 띠 광택무늬가 일정 간격으로 시문되어 있다. 이 토기는 구경이 19.5㎝, 동최대경이 19.8㎝로서 구경과 동최대경이 거의 비슷하다(도면 853, 8; 854, 6).
8점은 크기와 구체적인 모양은 약간씩 차이가 나도 모두 이 형식에 속하는 것들이다(도면 853, 9~14; ; 854, 7; 855, 1, 2; 856, 1, 2, 3).
도면 855 | 크라스키노성 출토 동이-발 Ⅵ-2형식(1~13)과 Ⅵ-4형식(14) 구연-동체 부분: 1-제50구역 1섹터 제3인공층 치-1`방안(2015-도724, 3), 2-제51구역 제4인공층 예-8방안(2017-도270, 1), 3-제22구역 제3인공층(1999-도151, 10), 4-제23구역 제1~2인공층(1999-도161, 8), 5-제40구역 제7인공층 1호 수혈 베,붸-15,16방안(2009-도88, 4), 6-제47구역 7섹터 제2인공층 붸-52방안(2013-도280), 7-제47구역 3섹터 제2인공층 게-28방안(2011-도655), 8-제48구역 제3인공층 엠-31방안(2011-도460), 9-제47구역 6섹터 제7인공층 아-41방안(2015-도629, 1), 10-제53구역 서북쪽섹터 제2인공층 베-10`방안(2018-도481, 6), 11-제48구역 동쪽섹터 제8인공층 엠,엔-30,31방안(2016-도172, 2), 12-제53구역 남동쪽섹터 제3인공층 2호 수혈(2018-도628, 2), 13-제31구역 제6인공층 제-6방안(2003-도136), 14-제40구역 1호 수혈 베-16방안(2009-도94, 1)
도면 856 | 크라스키노성 출토 동이-발 Ⅵ-2형식(1~8)과 Ⅵ-4형식(9) 구연-동체 부분: 1-제47구역 3섹터 제8인공층 아-29방안(2014-도575, 1), 2-제47구역 2섹터 제7인공층 게-20방안(2015-도347, 2), 3-제51구역 제4인공층 예-8방안(2017-도52), 4-제47구역 7섹터 제2인공층 붸-52방안(2013-도279, 2), 5-제47구역 3섹터 제2인공층 게-28방안(2011-도654, 1), 6-제47구역 6섹터 제7인공층 아-41방안(2015-도620), 7-제53구역 서북쪽섹터 제2인공층 베-10`방안(2018-도477), 8-제53구역 남동쪽섹터 제3인공층 2호 수혈(2018-도645, 2), 9-제40구역 1호 수혈 베-16방안(2009-도69, 2)
4점은 편이 매우 작지만 구연, 목, 어깨 부분의 호선을 볼 때에 이 형식에 속한다고 생각된다(도면 855, 3~6; 856, 4).
1점은 기벽이 목 아래로 거의 곧게 사선 방향으로 나있다. 이 토기는 구경이 23.4㎝, 동최대경이 22.4㎝이다(도면 855, 7; 856, 5). 다른 1점은 동최대경 부분의 기벽이 상당히 급격하게 꺾인다. 이 토기는 구경이 23.9㎝, 동최대경이 23.2㎝이다(도면 855, 8).
그 외에도 이 형식에 속하는 동이-발이 5점 더 있다(도면 855, 9~13; 856, 6, 7, 8).
Ⅵ-4형식. 1점이 확인된다. 구순이 이중인 것을 제외하면 일반적인 동이-발과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 구연, 목, 기벽의 단면이 약간 기운 상단 S자 모양이다. 구경이 19.3㎝, 동최대경이 19.9㎝이다. 동최대경이 구경보다 약간 더 크다(도면 855, 14; 856, 9).
Ⅶ형식 동이-발. 1점이 있다. 구연부가 밖으로 말려 도톰한 소위 대롱구순을 가진 것이다. 어깨와 그 아래 기벽이 내만 호선을 이룬다. 구경은 22㎝이다. 외면이 수평 띠 마연되었다. 속심과 표면은 회색이다(도면 857, 1; 858, 1).
도면 857 | 크라스키노성 출토 동이-발 Ⅶ형식(1), Ⅷ형식(2), Ⅸ형식(3) 구연-동체 부분: 1-제50구역 1섹터 3호 수혈(2015-도740, 4), 2-제53구역 중앙섹터 제6인공층 엘-2방안(2018-도743, 2), 3-제34구역 제11인공층 제-1방안(2017-도240, 1)
도면 858 | 크라스키노성 출토 동이-발 Ⅶ형식(1)과 Ⅷ형식(2) 구연-동체 부분: 1-제50구역 1섹터 3호 수혈(2015-도747, 2), 2-제53구역 중앙섹터 제6인공층 엘-2방안(2018-도732, 2)
Ⅷ형식 동이-발. 매우 짧게 외반하는 구연부가 구순 자체인 것으로서 단면이 긴 삼각형 모양이다. 1점이 있다. 구경은 20㎝이다. 속심과 표면이 회색이다(도면 857, 2; 858, 2).
Ⅸ형식 동이-발. 1점이 있다. 전체 기형이 남아 있다. 구연부가 사선 방향으로 밖으로 올라가서 목이 잘 구분이 되지 않는다. 구순의 위가 안쪽으로 뾰족하게 돌출하는 내첨구순이다. 이 토기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편이다. 구경은 25.8㎝, 저경은 15.9㎝, 높이는 11.5㎝이다(도면 857, 3).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4) 동이류 토기 자료번호 : kr.d_0016_0030_012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