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9) 초석

2005년 제32구역과 2006년 제33-a구역에 걸쳐 조사되었다. 동일 위치의 석축구조물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도면 47). 평면상 장방형이다. 모두 16개의 초석으로 이루어져 있다(도면 48). 장축은 동북-남서 방향이다. 각 변의 길이는 남서벽이 460㎝, 북동벽이 490㎝, 동남벽이 580㎝, 서북벽이 580㎝이다. 면적은 28.5㎡이다. 초석 간의 간격은 일정하지 못한데, 심심 간격이 가장 짧은 것은4 0㎝, 가장 긴 것은1 40㎝이다. 초석은 평면이 방형, 장방형, 부정형 등 다양하지만 상면이 편평하고, 일정 정도 치석을 하였다(도면 49; 50). 초석의 크기는 남쪽 모서리 초석에서 서쪽의 다음 초석을1 번으로 하여 시계 방향 순으로 모두 보고가 되었다. 남서벽의1번 초석은 크기가 길이 64㎝, 너비 44㎝, 두께 20㎝이고, 2번 초석은 길이 40㎝, 너비 25㎝, 두께 21~26㎝이며, 서북벽의 5번 초석은 길이 48㎝, 너비 41㎝, 두께 20㎝이다. 북동벽의 9번과 10번 초석은 두께가 모두 9㎝로 가장 얇은데, 10번 초석의 경우 길이와 너비는 각각 34㎝와 28㎝이다. 초석들 중 가장 두꺼운 것은 서벽의 7번인데 두께가 28㎝이다. 초석들은 두께가 두꺼운 것은 땅을 파고 일정 부분을 묻었고, 두께가 얇은 것들은 지면에 그대로 놓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초석의 기초 부분을 어떻게 조성하였는지에 대해서는 보고된 것이 없다.
도면 47 | 서북지역 북부 사찰구역 장방형 초석건물지 노출 모습
도면 48 | 서북지역 북부 사찰구역 장방형 초석건물지 평면도(2006)
도면 49 | 서북지역 북부 사찰구역 장방형 초석건물지 조사 모습(2006)
도면 50 | 서북지역 북부 사찰구역 장방형 초석건물지 모습(2006)
장방형 초석 건물터의 내부를 조사할 때에 동남벽 부근에서 탄화 목재들로 된 너비가8~ 10㎝ 정도인 흑색의 좁은 얼룩이 발견되었는데 문의 목조구조물 흔적으로 추정되었다. 동남벽 가운데 정도 바로 안쪽에서는 바닥면에서 적색 소토 얼룩이 발견되었다. 출입구는 동남쪽에 있었을 것이다. 이 초석 건물터는 제3생활면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9) 초석 자료번호 : kr.d_0016_0020_0010_0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