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동이전

고조(高祖)가 소도성(蕭道成) 관련 문제로 고구려왕 련(璉)에게 조서를 내림

고조(北魏 孝文帝, 재위: 471~499)주 001
번역주 001)
高祖 : 北魏 孝文帝 拓跋宏(元宏)이다. 5세 때 즉위했지만, 풍태후가 집정하였다. 490년, 풍태후가 죽은 후 친정하기 시작하였다. 493년, 도읍을 낙양으로 옮기고, 적극적인 한화정책을 폈다.
닫기
때에 이르러, 련의 공헌이 전에 비해 배가되었고, 그 보답으로 하사한 물건 역시 조금 증가하였다. 그때, 광주주 002
번역주 002)
光州 : 北魏 獻文帝 皇興 4年(470)에 신설한 州로, 治所는 掖縣이다. 膠東半島 서북부에 위치해 있는 지금의 山東省 萊州市 지역에 해당하며, 膠萊河 이동 지역(青島市, 煙台市, 威海市)을 관장하였다. 隋文帝 開皇 5年(585)에 萊州로 이름을 바꾸었다.
닫기
에서 련이 소도성(南齊 太祖, 재위: 479~482)주 003
번역주 003)
蕭道成 : 南齊를 건국한 太祖 高皇帝의 이름이다. 字는 紹伯이다. 南朝 劉宋의 군인 출신으로, 477년에 後廢帝 劉昱을 시해하고 順帝 劉準을 옹립하였다가 479년에 禪讓 받았다.
닫기
에게 보낸 사신 여노 등을 바다에서 붙잡았다. 고조가 조서를 내려 련을 꾸짖기를, “[소]도성은 제 손으로 그 군주를 죽이고, 강남에서 천자를 참칭하고 있다. [이에] 짐은 바야흐로 옛 봉토에 망한 나라(宋)를 [다시] 일으켜, 유씨의 끊어져 버린 대를 이으려고 하는데, 경이 변경을 넘어 외교하여,주 004
번역주 004)
外交 : 『禮記』 郊特牲에서 “爲人臣者 無外交 不敢貳君也”라고 했는데, 이에 鄭玄이 주석을 붙여 “私覿是外交也”라고 해석하였다. 즉, 臣下로서 천자의 허락을 받지 않고 사사로이 제후를 만나는 일을 ‘外交’라고 한다.
닫기
찬탈한 역적과 멀리서 통[하려] 하니, 어찌 이것이 번신으로서 절의를 지키는 도리이겠는가. [그러나] 지금 한 번의 허물이 경의 옛 정성을 가리지 않으니, [잡혀온 사람들을] 곧장 그대 나라로 돌려보낸다. 마땅히 용서를 감사히 여기며 잘못을 반성하고, 엄정한 법도를 공경히 받들어, 거느린 땅을 편안하게 하라. 매사를 보고토록 하라.”고 하였다.

  • 번역주 001)
    高祖 : 北魏 孝文帝 拓跋宏(元宏)이다. 5세 때 즉위했지만, 풍태후가 집정하였다. 490년, 풍태후가 죽은 후 친정하기 시작하였다. 493년, 도읍을 낙양으로 옮기고, 적극적인 한화정책을 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2)
    光州 : 北魏 獻文帝 皇興 4年(470)에 신설한 州로, 治所는 掖縣이다. 膠東半島 서북부에 위치해 있는 지금의 山東省 萊州市 지역에 해당하며, 膠萊河 이동 지역(青島市, 煙台市, 威海市)을 관장하였다. 隋文帝 開皇 5年(585)에 萊州로 이름을 바꾸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3)
    蕭道成 : 南齊를 건국한 太祖 高皇帝의 이름이다. 字는 紹伯이다. 南朝 劉宋의 군인 출신으로, 477년에 後廢帝 劉昱을 시해하고 順帝 劉準을 옹립하였다가 479년에 禪讓 받았다. 바로가기
  • 번역주 004)
    外交 : 『禮記』 郊特牲에서 “爲人臣者 無外交 不敢貳君也”라고 했는데, 이에 鄭玄이 주석을 붙여 “私覿是外交也”라고 해석하였다. 즉, 臣下로서 천자의 허락을 받지 않고 사사로이 제후를 만나는 일을 ‘外交’라고 한다.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고조(高祖)가 소도성(蕭道成) 관련 문제로 고구려왕 련(璉)에게 조서를 내림 자료번호 : jd.k_0010_0100_0010_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