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청천기촌(淸川忌寸; 기요카하노이미키)

청천기촌(淸川忌寸; 기요카하노이미키)
 당인(唐人) 정6위상[본 녹(綠)을 주었다.] 노여진(盧如津)이입조하였다. 심유악(沈惟岳)과 같은 시기였다.
 
【주석】
1. 청천기촌(淸川忌寸)
『속일본기』 연력 5년(786) 8월조에 당인(唐人) 노여진이 청천기촌(淸川忌寸)의 씨성을 받았다고 한다. 청천기촌의 옛 성은 노(盧)이다.
2. 본사록(本賜綠)
앞의 사례에서 보듯이 ‘본(本)’ 자 다음에 관직명이 누락된 것으로 추정된다. 노여진(盧如津)의 관직명으로 생각된다.
3. 노여진(盧如津)
『유취국사(類聚國史)』 78(賞賜) 연력(延曆) 17년(798) 6월 무술조에 “당인(唐人) 외종5위하 숭산기촌도광(嵩山忌寸道光), 대취권대속(大炊權大屬) 정6위상 청천기촌시마려(淸川忌寸是麻呂)가 본번(本蕃)을 떠나 국가에 귀투하였다”라고 하여 일본에 귀화한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즉 심유악과 마찬가지로 천평보자(天平寶字) 5년(761) 8월에 일본의 견당사 일행과 함께 왔다가 정주하였다. 여기에 나오는 청하기촌시마려(淸河忌寸是麻呂)는 노여진(盧如津)과 동일 인물로 추정된다. 『일본후기』 연력 4년(785) 11월조에도 동일 인물인 청하기촌사마려(淸河忌寸斯麻呂)가 보인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청천기촌(淸川忌寸; 기요카하노이미키)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10_0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