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다미숙녜(多米宿禰; 다메노스쿠네)

다미숙녜(多米宿禰; 다메노스쿠네)
 같은 신의 5세손 천일취명(天日鷲命; 아메노히와시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성무천황(成務天皇) 때 대취료(大炊寮)에 출사하였는데, 밥 냄새가 구수하였으므로 특별히 좋은 이름을 내렸다.
 
【주석】
1. 다미숙녜(多米宿禰)
다미(多米; 다메)는 먹는 음식을 지칭하는 미물(味物; 다메츠모노)이라는 말에서 온 것으로 생각되며, 전목(田目; 다메)이라고도 표기한다. 다미숙녜의 원래 성은 연(連)이었는데, 천무천황(天武天皇) 13년(684)에 숙녜라는 성을 받았다.
다미련(多米連)이라는 씨성을 가진 사람으로는 『정사요략(政事要略)』 에 다미삼지련(多米三枝連)과 다미왜고련(多米倭古連)이 보이고, 『일본서기』 황극(皇極) 2년(643) 11월병자조에 이름은 확인할 수 없지만 전목련(田目連)이 보인다. 『유취국사(類聚國史)』 에 다미숙녜도자녀(多米宿禰刀自女), 『일본삼대실록(日本三代實錄)』 에 다미숙녜제익(多米宿禰弟益)이 보인다. 평성궁 출토 목간에도 다미숙녜도족(多米宿禰島足)이 보인다(『平城宮發掘調査出土木簡槪報』 31, 1995).
2. 동신(同神)
『정사요략』 에 인용된 『신찬성씨록』 의 일문(逸文)에도 다미숙녜가 신혼명의 5세손인 천일취명에서 나왔다고 하였다.
3. 천일취명(天日鷲命)
좌경 신별(중) 「다미련(多米連)」 조(392)에서는 천일화지명(天日和志命; 아메노히와시노미코토)이라고 표기하였다.
4. 성무천황(成務天皇)
일본식 시호는 치족언천황(稚足彦天皇)이다. 본조의 『신찬성씨록』 일문(逸文)과 『정사요략』 에 인용된 『다미숙녜본계장(多米宿禰本系帳)』 에서는 4세손인 소장전(小長田)이 성무천황 대에 대취료에 출사한 사람이라고 하였다.
5. 대취료(大炊寮)
좌경 신별 「다미련(多米連)」 조에서는 취직(炊職)이라고 하였다. 율령제하에서는 궁내성(宮內省)에 소속된 관사이다. 성무천황 때 성(省)이나 요(寮) 같은 관사는 존재하지 않았으므로, 후대의 윤색에 의한 것이다.
6. 어반(御飯)
반(飯)은 쌀로 지은 밥을 말하고, 어반(御飯)은 천황이 먹는 밥을 말한다. 『일본서기』 나 『만엽집』 등에 보이듯이, 밥을 짓는 방법은 시루를 이용하여 증기로 쌀을 쪄내는 것이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다미숙녜(多米宿禰; 다메노스쿠네)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20_0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