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대완국(大宛國)에 대한 소개

  • 국가
    대완국(大宛國)
대완국(大宛國).주 001
각주 001)
大宛國에 관한 내용은 『史記』 「大宛列傳」과 중복되는 부분들이 많기 때문에, 그 부분의 註釋을 참조하시오.
닫기
도읍은 귀산성(貴山城) 주 002
각주 002)
貴山(kjwei-șăn) : 月氏가 복속시킨 다섯 翕侯 가운데 하나인 貴霜과 어원적으로 동일하며 모두 Kushan/Kushaniya을 옮긴 것으로 보인다. Kushaniya는 사마르칸드에서 서북쪽에 위치.
닫기
이고 장안에서 12,550리 떨어져 있다. 호수는 6만, 인구는 30만, 병사는 6만 명이다. 부왕(副王)·보국왕(輔國王)이 각각 1명씩 있다. 동쪽으로 4,031리 가면 도호의 치소에 이르고, 북쪽으로 1,510리 가면 강거비전성에 이르며, 서남으로 690리 가면 대월지에 이른다. 북으로 강거, 남으로 대월지와 접해 있다. 토지, 풍토, 물산, 민속은 대월지·안식과 동일하다. 대완의 좌우 (즉 동서)는 포도로 술을 만들고, 부자는 술을 보관하는 것이 만 석이 넘을 정도이며, 오래 묵은 것은 수십 년이 지나도 상하지 않는다. 그들의 풍속은 술을 좋아하고, 말은 목숙(目宿)을 좋아한다. 대완에 속하는 별도의 읍으로 70여 개의 성이 있는데, 선마가 많고 말은 한혈마이며, 그 조상이 천마(天馬)의 자식이라고 말한다.주 003
각주 003)
天馬에 관해서는 「大宛列傳」의 관련 주석 참조.
닫기
장건이 처음으로 무제에게 그에 관해서 말하자 황상께서는 사신에게 천금(千金)과 금마(金馬)를 들려서 보내어 대완의 선마를 요청했다. 대완의 왕은 한나라가 극히 멀어서 대군이 도달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그 보마(寶馬)를 아껴 주려고 하지 않았다. 한나라 사신이 왕을 매도[妄言]하자,주 004
각주 004)
顔注 : “大宛王에게 모욕을 주었다는 뜻이다.”
닫기
대완은 마침내 한나라 사신을 공격하여 죽이고 그 재물을 취하였다. 이에 천자께서는 이사장군 이광리를 보내 전후 10여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대완을 정벌토록 했으니 [원정은] 4년이나 계속되었다. 대완 사람들은 그 왕 무과(毋寡)의 머리를 베고 말 3천 필을 헌납하자 한나라 군대가 비로서 귀환하였으니, 그 이야기는 장건전에 나와 있다. 이사가 대완왕을 참수하고 나서 평소 한나라에게 잘해 주던 매채(昧蔡)라는 이름의 귀족을 그 대신 대완왕으로 옹립했다. 1년여 지난 뒤 대완의 귀족들은 매채가 [한나라에] 아부를 해서 “우리 나라가 도륙되게 만들었다”라고 하면서 서로 짜서 매채를 죽이고, 무과의 동생인 선봉(蟬封)을 대완왕으로 세우고는, 그 아들을 한나라에 입시(入侍)시켜 인질로 보냈다. 이로 인해 한나라는 사신을 보내 하사품을 주고 그곳을 진무하였다. 또한 10여 차례 사신단을 보내 대완 서쪽 여러 나라에 이르게 하여, 진기한 물건을 구하고 대완을 정벌한 위덕을 과시[風諭]하였다.주 005
각주 005)
顔注 : “風은 諷으로 읽는다.”
닫기
대완왕 선봉(蟬封)한나라와 약조를 맺고 매년 천마 2필을 헌상하기로 하였다. 한나라 사신은 포도·목숙의 종자를 갖고 돌아왔다. 천자는 천마가 많고 또 외국의 사신이 많이 오기 때문에, 포도와 목숙주 006
각주 006)
目宿 : 顔注 : “현재 北道의 諸州, 즉 예전의 安定․北地의 변경에는 종종 目宿이 있는데 이는 모두 漢나라 때에 심은 것이다.”
닫기
을 이궁(離宮)과 별관(別館) 옆에 더욱 많이 재배하여 끝이 없을 정도였다.

  • 각주 001)
    大宛國에 관한 내용은 『史記』 「大宛列傳」과 중복되는 부분들이 많기 때문에, 그 부분의 註釋을 참조하시오.
     바로가기
  • 각주 002)
    貴山(kjwei-șăn) : 月氏가 복속시킨 다섯 翕侯 가운데 하나인 貴霜과 어원적으로 동일하며 모두 Kushan/Kushaniya을 옮긴 것으로 보인다. Kushaniya는 사마르칸드에서 서북쪽에 위치.
     바로가기
  • 각주 003)
    天馬에 관해서는 「大宛列傳」의 관련 주석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4)
    顔注 : “大宛王에게 모욕을 주었다는 뜻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5)
    顔注 : “風은 諷으로 읽는다.”
     바로가기
  • 각주 006)
    目宿 : 顔注 : “현재 北道의 諸州, 즉 예전의 安定․北地의 변경에는 종종 目宿이 있는데 이는 모두 漢나라 때에 심은 것이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장건, 무제, 이광리, 무과(毋寡), 매채(昧蔡), 매채, 무과, 선봉(蟬封), 선봉(蟬封)
지명
대완국(大宛國), 귀산성(貴山城), 장안, 강거, 비전성, 대월지, 강거, 대월지, 대월지, 안식, 대완, 대완, 대완, 대완, 한나라, 한나라, 대완, 한나라, 대완, 대완,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대완, 한나라, 한나라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대완국(大宛國)에 대한 소개 자료번호 : jo.k_0002_0096_0240_0010